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줄
라인
철사
덕
케이블
전선
line
스페셜
"
선
"(으)로 총 730건 검색되었습니다.
길거리 쓰러진 사람 찾아내는 CCTV 영상 AI기술, 대전서 첫 적용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1.17
최대 영상보안학회 정규 논문으로 발표됐으며 올해 국가 연구개발 우수성과 100
선
에도
선
정됐다. 민옥기 ETRI 지능정보연구본부장은 “사람의 자세가 반듯하지 않아도 높은 정확도로 빠르게 이상행동을 인지하는 ETRI 시각 인공지능 기술로 안전하고 쾌적한 도시를 견인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 ...
박주현 현택환
선
양국 교수 등 상위 1% 연구자에...국내 대학·기관 연구자 55명
선
정
동아사이언스
l
2021.11.17
연구단장)와 현택환 교수(IBS 나노입자 연구단장)는 HCR 발표가 시작된 2014년부터 8년 연속
선
정됐다. 논문 피인용 횟수 상위 1%에 오른 한국 대학·기관 연구자 47명 명단이다. 소속란의 괄호 안은 동시 소속된 대학·기관명이다. 클래리베이트 제공 ... ...
[과학게시판] 제2회 KAIST 국제 이머징 소재 심포지엄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11.16
참여한다. 이번 심포지엄은 첨단 에너지 재료, 차세대 바이오·나노재료, 신소재
선
도 분야 및 최신 나노연구 등 3일간 7개의 세션에서 열띤 강연이 진행된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왜 화학자들은 여전히 요소 합성 연구에 매달릴까
2021.11.09
○ 전기촉매 합성으로 요소 만들어 최근 난양공대가 주축이 된 공동연구팀은
선
택적 전기촉매 합성법으로 상온에서 질산염과 이산화탄소로 요소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왼쪽). 인듐수화물 촉매는 수소이온에서 수소분자(H2)가 만들어지는 반응은 억제해 효율을 더 높인다(오른쪽). ‘네이처 ... ...
학교 휴교 코로나19 막는 효과 없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1.04
'얘들아 반갑다!' 세종시 연양 초등학교
선
생님이 등교가 시작되면서 학생들을 반기고 있는 모습이다 .연합뉴스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 ... 전염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교내 예방조치를 시행하고 교육 종사자에게 백신을 우
선
제공해야 한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 ...
2029년 한반도 산불 물론 우주기상까지 관측하는 천리안 위성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0.20
천리안 5호 개발 사업의 기대성과와 파급효과. 과기정통부 제공 2029년 발사될 정지궤도 기상·우주기상 시스템 ‘천리안5호’ 개발에 대한 논의가 시작됐다. 과학기술 ... 위해 이번 예비타당성 조사에
선
정돼 2023년부터 본 사업이 정상 추진될 수 있도록 최
선
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
누리호에 함께 한 우리 기업들…민간 주도 '뉴 스페이스' 속도낸다
연합뉴스
l
2021.10.20
열리게 됐다"며 "미국 나사(NASA)가 민간에 기술을 이전하며 미국에서 세계적인 우주
선
도 기업들이 배출된 것처럼 누리호 사업이 민간 주도의 뉴 스페이스를 향한 중대 분기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초파리에게 간헐적 단식을 시켜보니
2021.10.19
늦어질수록 자가포식 활동으로 인한 건강증진 또는 수명연장 효과는 점차 줄어들다 어느
선
을 넘으면 사라질 것이다. 우리 몸의 생체시계에 따르면 그렇다는 말이다. 1971년 생체시계 돌연변이 초파리를 발견한 벤저와 코놉카는 염색체에서 per 유전자가 있는 위치를 알아내는 데서 그쳤다. per ... ...
단계적 일상회복 정상 진입 위해 "유행 규모 유지하되 접종률 더 높여야"
동아사이언스
l
2021.10.15
시작하면 확진자 수가 늘어날 수 밖에 없으므로 현 상황에서는 유행 규모가 커지지 않는
선
에서 방역과 경제적 측면을 모두 고려해 단계적 일상회복에 대한 구체적인 로드맵을 정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재욱 고려대 의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기본적인 전제 조건은 이 기간 동안 코로나19 ... ...
태양계 50억년 뒤 '미래' 백색왜성 도는 목성급 행성 첫 발견
연합뉴스
l
2021.10.14
W. M. 켁 천문대에 설치된 10m 구경 망원경의 레이저 유도 항성 적응 광학 시스템과 근적외
선
카메라(NIRC2)를 이용해 백색왜성은 태양 질량의 약 60%, 행성은 목성 질량보다 약 40% 더 큰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NASA가 2020년대 중반에 발사할 '낸시 그레이스 로먼 우주 망원경'이 가동되면 은하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