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몸
신체
육체
인체염색체
염색체
몸채
사람몸
스페셜
"
인체
"(으)로 총 899건 검색되었습니다.
단백질 구조 해독 AI 만든 백민경 미 워싱턴대 연구원, 사이언스가 뽑은 최고 혁신 연구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1.12.17
바꿀 신기술로 주목받는다.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로 시력을 개선시켰다는 연구 등 올해
인체
적용 성공에 대한 조짐이 보였다는 평가다. 이밖에 코로나19 항바이러스제 개발과 전자의 ‘무거운 형제’같은 입자로 고에너지 양성자 입자를 총돌시킬 때 만들어지는 뮤온 입자에 대한 새로운 측정법과 ... ...
’기침이 먼저냐 열이 먼저냐’ 코로나19 변이 따라 증상 순서 다르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2.17
원조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미국은 ‘D615G’ 변이가 유행했다. D614G 변이는 바이러스가
인체
에 파고들 때 사용하는 스파이크 단백질 숫자가 더 많아져 감염력이 세진 것으로 분석되는 변이다. 모델 분석에 따르면 중국에서 유행했던 초기 코로나19 바이러스의 경우, 발열이 가장 먼저 나타나는 ... ...
[일문일답]코로나19 백신 3차 접종 3개월 만에 맞아도 괜찮나
동아사이언스
l
2021.12.16
보여주는게 증명되고 있다. 단 3차 접종을 해야 이런 효과가 나오고 있다. 3차 접종이
인체
의 그런 능력을 더 옆에서 키워주는 효과다.” - 오미크론 변이가 해외에서는 가벼운 감기 정도라는데 한국에서 굳이 오미크론 변이를 막기 위해 고령층 3차 접종이 필요한지. (최 교수)“오미크론 자료가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RNA 치료제의 부상과 우연한 인본주의
2021.12.16
코로나19 mRNA 백신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 정보를 코딩하고 있는 mRNA를
인체
의 세포에 주입해서, 우리 몸의 세포들이 원래 우리 몸 속에 존재하지 않는 코로나19 바이러스의 단백질을 만들어낼 수 있게 만든 것이다. ... ...
코로나19 대유행 끝내려면 HIV 잡아야
동아사이언스
l
2021.12.15
만연해 있는
인체
면역결핍바이러스(HIV)도 함께 퇴치해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HIV는
인체
내 면역기능을 파괴하는 바이러스로 후천성면역결핍증(AIDS·에이즈)을 일으킨다. 남아공 콰줄루나탈대와 남아공 AIDS연구프로그램센터 공동연구팀이 HIV 치료를 받지 못한 채 코로나19에 감염된 환자의 ... ...
[인간·공감·AI]미생물 세계의 복잡한 퍼즐 AI로 푼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2.15
임상이 실시되고 있다. 이 교수는 "가장 외부 물질을 많이 받아들이는 사람의 장은
인체
면역세포의 70%가 집중돼 있다"고 말했다. 생명과학 분야 선진국으로 여겨지는 미국과 유럽에서도 생명과학 분야에서 AI와 같은 데이터과학의 중요성을 인정하는 분위기다. 스웨덴 국내총생산(GDP)의 30%를 ... ...
"화이자 코로나 치료제 위중증·사망 위험 89%줄여…오미크론도 효과" 최종임상 결과
동아사이언스
l
2021.12.15
체내에서 증식할 때 반드시 필요한 '단백질 분해효소(프로테아제)'를 억제하는 원리다.
인체
면역결핍바이러스(HIV)나 C형 간염을 치료할 때 사용되는 약물과 작용 원리가 비슷하다. 전문가들은 미국 제약사 머크앤드컴퍼니(MSD)에서 개발한 몰누피라비르가 바이러스의 유전물질에 오류를 삽입해 ... ...
국내서 개발하는 코로나19 치료제 오미크론 변이도 대응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2.13
약물의 흡수량을 평가하는 지표다. 다만 이 경우 생체이용률이 높아진 만큼
인체
안전성 또한 다시 검증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다른 제약사들도 오미크론 변이에 대한 치료 가능성 공개하고 있다.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 후보물질 ‘ES16001’을 개발중인 제넨셀은 8일 오미크론 ... ...
코로나19 바이러스,
인체
지방 공격한다…비만 중증 위험 높은 이유 첫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1.12.09
비슈와 딥 딕시트 미국 예일대 의과대학 비교의학 및 면역학 교수는 “바이러스가
인체
의 면역반응을 피하기 위해 지방세포에 숨는 것이라면 우리에게는 아킬레스건일 수도 있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코로나19에 감염됐다가 회복된 후에도 몇 주 또는 몇 개월 동안 피로감과 함께 장기간 ... ...
화이자 "추가접종하면 오미크론 변이 무력화 가능"…"2회보다 항체생성 25배, 예방효과 95%"
동아사이언스
l
2021.12.09
설명이다. 스파이크 단백질은 바이러스 표면에 존재하는 돌기 형태로 바이러스가
인체
세포에 침투할 때 쓰인다. 화이자와 바이오엔테크는 또 “3차 접종을 맞고 한달이 지난 사람의 혈액으로 실험한 결과, 오미크론 변이에 대한 예방 효과는 2019년 말 중국에서 처음 발견된 초기 코로나19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