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몸
신체
육체
인체염색체
염색체
몸채
사람몸
스페셜
"
인체
"(으)로 총 899건 검색되었습니다.
먹는 코로나19 치료제 1인당 95만원선…정부 "국가가 부담 예정"
동아사이언스
l
2021.09.13
이른바 알약 형태의 먹는 치료제다. 주사제 형태의 다른 치료제와 비교해 비교적 쉽게
인체
내 주입이 가능하다. 신종인플루엔자에 대한 항바이러스제로 쓰이는 '타미플루'처럼 먹기만 하면 된다. 현재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코로나19 치료 목적으로 긴급 승인한 렘데시비르는 정맥주사제로 병원에 ... ...
디스플레이 권위자 권오경 한양대 석좌교수,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1.09.09
했다. 디스플레이 기술은 공학적 요소뿐 아니라 인간의 감각기관인 눈의 색채과학 등
인체
공학적 요소도 고려해야 하는 종합적인 분야다. 권 석좌교수는 “처음 디스플레이 연구를 시작하고 6개월까지는 반도체 분야만 했으면 훨씬 편하게 살 수 있었을 것이라는 생각에 후회도 많이 했다”며 ... ...
휴온스, 러 코로나백신 '스푸트니크V' 델타변이 효력 시험 착수
연합뉴스
l
2021.09.09
효과가 91.6%에 달한다는 임상 3상 결과가 실렸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과 마찬가지로
인체
에 무해하게 만든 전달체(벡터)인 감기 아데노바이러스에 코로나19 바이러스 유전자를 삽입해 제조하는 벡터 방식 백신이다. 스푸트니크V의 국내 허가권과 판권은 휴온스에 있으며, 모회사인 휴온스글로벌[0 ... ...
EU,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부작용에 길랭-바레 증후군 추가
연합뉴스
l
2021.09.09
버전의 감기 바이러스(아데노바이러스)에 비활성화한 코로나바이러스를 집어넣은 뒤
인체
에 투입해 면역반응을 끌어내는 원리다. EMA는 지난 4월 희귀 혈전증을 아스트라제네카와 얀센 백신의 부작용 중 하나로 분류한 바 있다. ... ...
[논문감시]"이름 훔쳐도 검증시스템 없다" 기관·연구원 명의 도둑맞은 한국파스퇴르연구소
동아사이언스
l
2021.09.08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논문은 바이러스성 만성질환인 ‘C형간염’과 관련된 것으로
인체
내 바이러스 침입을 막는 새로운 억제제로 ‘티오펜 요소 유도체’가 가능성을 보였다는 내용을 담았다. ‘티오펜 우레아’라는 유도체를 합성하고 세포 수준에서 실제 침투를 억제하는지 관찰했더니,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축적된 기초연구 지식이 '질병 X'를 막는다
2021.09.08
겨울철에 발생하여 더운 여름철에는 거의 사라진다”든가 “팬데믹 전에는 어느 정도
인체
간 감염이 발생하여 적응하는 기간이 필요하다” 등의 기존의 정설을 무너뜨렸다. 게다가 변이 바이러스의 발생도 빈번해지고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새로운 과학적 접근 및 병인기전에 대한 기초지식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바이러스 감염이 자가면역질환을 일으킬까
2021.09.07
보인다. 헤르페스바이러스는 일단 감염하면 면역계 공격을 받아도 소탕되지 않고
인체
에 잠복해 있다가 면역력이 떨어질 때 준동한다. 그런데 이때 면역계가 대응하는 과정에서 자가면역질환이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르페스바이러스의 일종인 엡스타인바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심각한 ... ...
델타에 이어 뮤까지…새 변이 등장에 복잡해지는 코로나19 지형도
동아사이언스
l
2021.09.06
이 중 3개는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에서 나타났다. 과학자들은 P.1에 나타난 변이가
인체
의 면역계를 회피해 재감염률을 높이고 있는 것으로 추정한다. 감마 변이는 91개국, 국내에서 발견된 감마 변이 감염자는 누적 22명이다. WHO가 현재까지 지정한 마지막 우려 변이는 델타 변이(B.1.617.2)다. ... ...
[인터뷰]"세계 네 번째로 구축한 코로나 영장류 감염 모델, 백신 개발 일등공신될 것"
과학동아
l
2021.09.04
통제할 수 있어 다른 동물에 비해 운영비가 적게 든다. 국가영장류센터의 BSL-3 실험실.
인체
치명적인 미생물을 다루기에 방호복을 입은 관련 연구자만 출입할 수 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하지만 쥐 외의 다른 동물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신종 ... ...
정부가 도입한다는 '먹는 코로나 치료제' 얼마나 개발됐나
동아사이언스
l
2021.09.01
코로나19 치료제 '코비블록'을 개발했다. ACE수용체와 ACE2수용체는 코로나19 바이러스가ㅋ
인체
에 침투하기 위해서 반드시 결합해야 하는 부위로, 여기를 닫아버리면 바이러스를 차단할 수 있다. 대웅제약은 지난달 27일 코비블록의 임상 2상 시험 결과를 발표했다. 기침이나 호흡곤란 등 호흡기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