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루
끌채
픽
스페셜
"
채
"(으)로 총 950건 검색되었습니다.
누리호 3단 산화제 탱크 설계 결함 발견…내년 5월 '발사 불가' 하반기로 연기
2021.12.29
탱크 내부에 장착된 헬륨탱크의 고정 장치가 누리호의 비행 환경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채
설계되면서 비행 중 떨어져 나간 것으로 드러났다. 이 과정에서 헬륨탱크가 산화제탱크 내부를 돌아다니며 충격을 줬고 결국 연료를 태우는 역할을 하는 산화제가 누설되며 3단 엔진이 일찍 꺼진 것이다. 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아데노신과 카페인의 두 얼굴
2021.12.28
역할을 했다. 아데노신을 없애거나 약물로 뉴런 세포막 표면의 A2A수용체를 비활성화한
채
20분만 지나도 뉴런의 시냅스가 파괴됐다. 성체의 뇌에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는데 왜 어린 생쥐에서만 이럴까. 어린 생쥐의 뇌에서는 시냅스 가지치기가 활발하게 일어나기 때문이다. 일단 뉴런 사이에 ... ...
한달 반만에 일상회복 멈춤...전문가들 "의료 응급현장에 대한 현실적 대책 없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2.20
18일 단계적 일상회복을 시행 한 달 반만에 중단했다. 국내 전문가들은 준비가 덜 된
채
성급하게 위드코로나를 시행했다고 지적했다. 방역 조치를 완화하면 확진자 수가 폭증하는 것은 당연한 결과인데, 이에 따른 중환자 병상 순환과 의료진 번아웃, 의료진 부족, 재택치료 시스템 등에 대한 ... ...
"실리콘 젖꼭지 스팀소독 반복하면 미세플라스틱 발생"
연합뉴스
l
2021.12.17
미만 크기의 플라스틱 입자를 말한다. 크기가 작아 하수 시설에서 걸러지지 않은
채
강과 바다로 흘러가고 자연 분해도 되지 않기 때문에 생태계 파괴의 주범으로 불린다. 연구팀은 중국 현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4가지 종류의 젖병을 구매해 실험에 사용했다. 이들은 젖병의 실리콘 젖꼭지를 1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RNA 치료제의 부상과 우연한 인본주의
2021.12.16
주입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 그리고 윤리적 논란을 피하기 위해서, 환자의 조직을
채
취해서 유전체를 변형한 후, 이렇게 변현된 세포를 다시 환자에게 주입하는 방식이 현실적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우연히 얻은 인본주의 - 암에서 유전병과 감염병으로 RNA 기반 신약개발 시장은 빠르게 ... ...
코로나19 대유행 끝내려면 HIV 잡아야
동아사이언스
l
2021.12.15
남아공 콰줄루나탈대와 남아공 AIDS연구프로그램센터 공동연구팀이 HIV 치료를 받지 못한
채
코로나19에 감염된 환자의 혈장을 분석한 결과, 코로나19 바이러스가 216일간 머물며 변이 32개를 만들어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변이 중에는 베타 변이와 유사한 형태로 백신 효과를 피할 가능성이 높은 것도 ... ...
태양탐사선 파커호, 인류 우주선 최초로 바깥 대기 코로나 통과
연합뉴스
l
2021.12.15
수도 있지만, 초속 100㎞로 비행 중이어서 방대한 지역을 지나가며 코로나 속 입자를
채
집하고 자기장을 측정하는 등 과학 장비를 가동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논문 공동 저자인 존스 홉킨스대학의 파커호 프로젝트 과학자 누르 라우아피 박사는 앞으로 파커호 탐사를 통해 태양풍의 기원과 함께 ... ...
[인간·공감·AI]미생물 세계의 복잡한 퍼즐 AI로 푼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2.15
리팍시민이 이상하게도 간경화에 잘 듣는 약인 것은 알았지만 이유는 알지 못한
채
써 왔다. 연구팀이 마이크로바이옴을 분석한 결과 다른 곳에서 문제가 확인됐다. 간경화 환자는 구강 미생물이 장까지 침투해 장과 연결된 간에 염증을 일으키는 현상이 확인된 것이다. 구강미생물은 산성 환경인 ... ...
[강석기의 과학카페]기장의 재발견
2021.12.14
65t을 생산했다. 이는 전국 재배면적의 70%에 이르는 넓이다. 기장은 재배 기간이 짧아 월동
채
소 사이 작물(이모작)로 적합하다. 지난 수년 사이 제주 지역에 적합하고 수확량이 많은 한라찰, 올레찰 등 신품종이 잇달아 개발됐고 시험재배를 거쳐 2023년부터 본격적으로 보급될 계획이다. 한국인의 ... ...
[우주산업 리포트]중국판 뉴스페이스 엿보기
2021.12.03
우주선 두 대가 짝을 이뤄 운영하도록 설계되었다. 큰 우주선이 작은 우주선을 등에 엎은
채
지상에서 수평으로 이륙하고 일정 고도에 올라가면 업혀있던 작은 우주선이 큰 우주선에서 분리되어 우주로 올라가는 방식이다. 탱윤은 2025년까지 개발될 예정으로 화물은 물론 우주인도 탑승할 수 있도록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