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취
자국
발자취
자욱
상처
얼룩
징후
스페셜
"
흔적
"(으)로 총 333건 검색되었습니다.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요거트와 노벨상
2020.10.22
21개의 염기서열들은 해당 박테리아에 감염되었던 박테리오파지의 유전체에서 나온
흔적
이며, 이렇게 박테리아 유전체에 박테리오파지의 짧은 염기서열이 기록되고, 그 서열 옆에 존재하는 캐스(cas)라는 단백질에 의해, 유산균이 적응면역 능력을 갖게 된다는 사실이 발견된다. 이 발견은 2007년 ... ...
[코로나19 연구속보] 우리 몸속 고대 바이러스
흔적
이 코로나19 퇴치법 알려줄까?
2020.10.20
추옹은 “인간 게놈 어느 곳에서나 전염병의 화석기록처럼 이들 침입
흔적
을 찾아낼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침입자 가운데 ‘내인성 레트로바이러스’(숙주의 디엔에이인 것처럼 오랜 기간 숙주의 디엔에이에 삽입된 채로 존재한다)가 있다 ... ...
작년 노벨상 수상자 논문 조작설에 과학계 떠들썩…한국인 연구자 포함 '파장'
동아사이언스
l
2020.10.19
5번 그림에서 집중적으로 웨스턴블롯 결과 그림을 복사해 붙이거나 흐릿하게 처리한
흔적
이 발견됐고(아래 그림) 2번 그림에서도 한 개의 조작 의심 사례가 발견됐다. 그 외에 1저자가 한국인은 아니지만, 한국인 연구자가 2저자로 참여한 2009년 신경과학저널 논문 등이 있다. 서멘자 교수가 ... ...
세계 최대 규모 실험으로 은하 형성과 진화 이론 가장 사실적으로 재현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19
우주 초기에 공간이 팽창함에 따라 생긴 요동이 일종의 화석처럼 현재까지 남아있는
흔적
을 말한다. 우주의 나이가 38만년일 때 빛과 물질이 분리되며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박창범 고등과학원 교수는 “HR5는 국내 연구진이 주도한 세계 최대 규모의 우주론적 유체역학 시뮬레이션으로 우주 ... ...
충격 받으면 멍드는 소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15
사람의 피부처럼 푸르스름하게 멍드는 소재가 개발됐다. 조금만 당기거나 구부려도
흔적
이 색으로 선명하게 남는 소재로 인공 피부를 만드는 용도부터 항공기 표면이나 건물 표면 등 안전 검사가 필요한 부위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김재우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전북분원 ... ...
2940만km서 보내온 셀피… 中 화성탐사선 톈원1호
동아사이언스
l
2020.10.13
또 톈원 1호 발사 일주일 뒤인 7월 30일에는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화성에서 미생물의
흔적
을 찾기 위한 로버인 ‘퍼서비어런스’와 최초로 화성 상공을 날며 탐사할 드론 ‘인제뉴이티’를 탑재한 ‘마스 2020’을 쏘아 올렸다. 이들은 내년 2월 모두 비슷한 시기에 화성 궤도에 도착해 화성 탐사에 ... ...
화성 남극 지하에 거대한 소금물 호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9
대규모 호수가 존재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향후 진행되는 화성 탐사에서 생명체의
흔적
을 발견할 기대감을 높였다. 엘레나 페티넬리 이탈리아 로마 트레대 교수 연구진은 화성 남극 얼음층 지하에서 대규모 염수 호수가 존재한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천문학’ 28일자에 ... ...
[코로나19 연구속보] 美 ‘코로나 항체’ 10명중 1명도 안돼…‘집단면역’ 불가능
2020.09.28
9 감염에 취약했다. 픽사베이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감염
흔적
’인 항체를 보유한 미국인은 10% 미만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내용 그대로 해석하면 코로나19 항체를 가진 미국인은 10명 가운데 1명도 채 되지 않는다는 얘기가 된다 ... ...
도시 발 아래에 '땅 속 탄소 저장고'가 있다...새롭게 주목 받는 지하 탄소
동아사이언스
l
2020.09.28
되는 시간 사이에 논에서 도시로 큰 변화를 겪었다. 하지만 지하에는 과거 농지 시절의
흔적
이 유기 탄소의 모습으로 남아 있다. 경관및도시계획 논문 캡쳐 ●또다른 탄소 저장고 해안습지가 줄고 있다 인류의 도시 건설은 지구의 퇴적물 양상을 바꿨다. 육지의 강은 주변의 퇴적물(흙)을 실어나르며 ... ...
4억년전 바다의 제왕 '판피어류' 대전서 만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4
턱힘이 매우 강한 것으로 추정된다. 두개골 화석에 남아 있는 턱 주변 근육과 인대
흔적
을 통해 추정해 보면, 턱의 힘은 600~750km의 무게로 짓누르는 것과 맞먹는 것으로 예상된다. 둔클레오스테우스는 이 같이 강력한 턱을 0.02초만에 입을 벌려 먹이를 빨아들인 뒤 톱날 같은 이빨로 잘게 잘라 삼켰다.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