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취
자국
발자취
자욱
상처
얼룩
징후
스페셜
"
흔적
"(으)로 총 336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민항체조사는 방역정책 참고용…집단면역 근거 안 돼
동아사이언스
l
2020.09.14
IgG)다. 혈액 내에서 IgM과 IgG가 검출되면 바이러스가 체내에 침투해 병을 앓고 난
흔적
에 대한 증거로 본다. 세계보건기구(WHO)가 코로나19 면역반응과 관련해 그간의 조사결과를 종합해 8월 2일 공개한 보고서(What we know about the COVID-19 immune response)에 따르면 항체 검사에서 양성이 나와 항체가 형성된 ... ...
우주에서도 확인한 코로나19가 바꿔놓은 지구의 풍경
동아사이언스
l
2020.09.09
하늘에서 사라진 것이 있다. 바로 비행운이다. 맑은 하늘 위로 비행기가 지나갈 때 하얀
흔적
을 남기는 것을 볼 수 있다. 항공기의 배기나 기압 변화로 구름이 만들어지는 현상이다. 사실상 인간이 만드는 유일한 구름이다. 비행운이 대기에 미치는 효과를 정량화하기는 어렵지만 전문가들은 ... ...
지구의 바다 0.5%는 인간이 만든 구조물로부터 직접적 영향 받아
동아사이언스
l
2020.09.02
한국 EEZ의 0.77%가 인간의 활동으로 오염되고 있다는 것이다. 바다에 지어지는 인간의
흔적
은 빠르게 늘 것으로 예측됐다. 연구팀은 2028년에는 바다 구조물의 면적이 3만 9400㎢로 넓어지고 영향을 주는 면적도 최대 340만 ㎢로 넓어질 것으로 예측했다. 바다에서 인간이 오염을 미치는 면적이 10년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고무줄이 돼버린 방역 대책
2020.09.02
살려야 한다는 조급증이 방역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 경제가 살아나고 있다는
흔적
도 찾을 수 없다. 그래도 ‘과학적 방역’을 믿어야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질병관리본부장, 가운데)을 비롯한 직원들이 충북 오송 질병관리본부에서 코로나19 환자 진료 및 치료에 힘쓰는 의료인에게 ... ...
[오늘의 우주과학]급속히 어두워졌던 베텔게우스, 밝기 떨어진 원인은 '먼지 구름'
동아사이언스
l
2020.08.14
물질이 지구에서 봤을 때 베텔게우스의 남동쪽 표면에서 방출돼 대기를 통과해 간
흔적
을 발견했다. 이 물질은 시속 32만km의 속도로 대기중으로 방출됐다. 듀프리 연구원은 “이 물질은 베텔게우스보다 2~4배쯤 밝았는데, 약 한 달 뒤부터 별의 남쪽을 중심으로 어두워지는 현상이 발견됐다”며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유전자은행과 수집가의 전통
2020.08.13
단백질의 기능에 대한 연구 외에도 서로 다른 종 간의 단백질 서열을 비교분석해 진화의
흔적
을 찾을 수 있는 연구로 확장가능했다. 막스 델브릭 같은 물리학자들이 대거 생물학으로 넘어오면서 분자생물학의 시대가 열렸고, 1950년대 분자생물학은 DNA의 정보가 생체분자로 전환되는 과정을 ... ...
소행성 '세레스' 땅 속엔 거대한 소금 호수가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11
언덕이 충돌로 물이 흘러가다 얼며 만들어진 것으로 분석했다. 물이 얼며 지표에
흔적
을 남긴 것이 발견된 것은 지구와 화성 외에 처음이다. 라이언 박(한국이름 박상현) NASA JPL 연구원은 세레스 지각이 물에 의해 아래로 내려갈수록 점차 밀도가 낮아진다는 분석결과를 내놨다. 돈은 2007년 9월 ... ...
[프리미엄 리포트] 마스2020 ‘인내’와 ‘끈기’로 흙 가지러 떠납니다
2020.08.08
끌어모아 이번에는 화성 지표의 시료를 가지고 오기 위한 첫걸음을 뗀다. 그간 물의
흔적
을 찾는 데 주력했다면 이제부터는 외계 생명체 발견이 목표다. 마스 2020이 담아 놓을 화성 시료가 기다려지는 이유다. 출처 사이언스 / 과학동아DB ※필자소개 전인수. 미국 매사추세츠주립대 ... ...
12일 밤 시간당 110개 별똥별 쏟아지는 우주쇼…관측 전망 '흐림'
동아사이언스
l
2020.08.05
흔적
이고, 12월에 떨어지는 쌍둥이자리 유성우는 혜성처럼 움직이는 소행성 '파에톤'의
흔적
이다. 유성체들은 대기와 충돌할 때 한 지점에서 나오는 것처럼 보인다. 사실 유성체는 지구 대기로 한 방향으로 평행하게 들어오며 빛나지만 이를 지상에서 바라보면 상대적인 위치 때문에 한 지점을 ... ...
코로나19 혼란 속에서 괴물이 크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05
20억 인구가 결핵균을 가진 것으로 추정된다. 기원전 7000년 경 석기 시대 화석에서도 그
흔적
이 발견됐다. 인류 역사상 가장 많은 생명을 앗아간 감염질환으로 평가받는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지난 2018년 전세계 150만명이 결핵으로 사망했다. 전 세계 결핵환자는 1000만명으로 추정된다. 이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