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아지
개새끼
강아지새끼
도그
개봉
첫상연
잡종개
d라이브러리
"
개
"(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스미스의 탐구 생활] 풍력 발전기가 달린 건물이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2호
수 있는 부품도 들어 있어요. 스티커로 몸체와 날
개
를 붙이면 되죠. 풍력 발전기 뒤의 덮
개
를 벗기면 글라이더를 충전할 수 있는 부분을 찾을 수 있어요. 이곳에 글라이더를 연결해 충전한 후 날릴 수 있답니다. 바람의 힘으로 만든 전기로 바람을 타는 글라이더를 날리는 거죠. 멋진 여행 되시길!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나의 첫 반려 로봇?! 보행 로봇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2호
기업 애질리티 로보틱스는 2족 보행 로봇 ‘캐시’가 계단을 오르내리는 영상을 공
개
했답니다. 보행 로봇은 어떻게 만들까? 다음 실험 예고백악기를 누비던 날갯짓! 전동 프테라노돈 만들기 다음 마이랩앳홈 메이커 시간에는 백악기 시대의 익룡 ‘전동 프테라노돈’ 만들기에 도전할 ... ...
[수학 잘하는 동물 친구들] 동물에게 배운 지혜 사막
개
미를 닮은 로봇, 앤트봇!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12호
스스로 가는 방향을 결정하는 센서예요. 사막
개
미 눈을 닮게 만들었지요. 앤트봇은 사막
개
미 눈의 특징을 로봇에 적용한 첫번째 사례라고 해요. 두 번째는 눈으로 볼 수 있는 주변 환경과 지면의 거리를 재서 움직임을 결정하는 센서예요. 움직일 때마다 자신의 걸음수를 계산해 짧은 길을 찾아갈 수 ... ...
[특집] 뱀파이어의 송곳니는 어디에?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12호
들여다보더니 기뻐하며 소리쳤어요.“정말이네! 숫자의 구성은 그대로인 채로 0의
개
수만 늘어나고 있어. 이제 혼자서도 송곳니 쌍을 찾을 수 있겠군. 약속대로 피 맛 초콜릿을 줄게!”피 맛 초콜릿을 양손에 든 뱀파이어의 발밑으로 피가 뚝뚝 떨어졌어요.“저희는 초콜릿을 먹지 않아도 괜찮을 것 ... ...
[과학뉴스] 중국발 요소수 공급부족 사태, 진정 국면 들어서나
과학동아
l
2021년 12호
국가에서도 물량을 확보했다. 이에 13일에는 화물차 6만 대분의 요소수 180만 L가 전국 100
개
주유소에 공급되며 사태는 조금씩 진정되고 있다. 김법정 환경부 기후탄소정책실장은 11일 브리핑에서 “중국과 제3국을 통해 들어온 물량을 종합하면 올해 말까지 요소수가 크게 부족한 상황은 ... ...
[과학뉴스] 과학동아 결산, 2021년 과학기술 이슈
과학동아
l
2021년 12호
대한 논란이 일었다. 마지막은 ‘항공우주’이다. 지난 10월 한국이 독자적 기술로
개
발한 첫 우주발사체 누리호(KSLV-Ⅱ)가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됐다. 위성의 궤도 진입이라는 마지막 문턱을 넘지는 못했으나, 발사 대부분의 과정을 잘 마쳐 한국 항공우주 기술의 발전 가능성과 ... ...
불완전한 표준모형 너머를 꿈꾸다
과학동아
l
2021년 12호
12
개
지부가 생겼을 만큼 규모가 커졌다. 중·고등학생과 그들의 학부모를 위한 행사도
개
최하고 있다. 한국에서도 과학,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여성이 많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은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급격한 성장을 이뤄냈습니다. 출생률이 낮아져 일하는 인구가 점점 줄어들고 있는데, ... ...
“가장 먼 퀘이사에서 온 어두운 빛 검출을 기대합니다”
과학동아
l
2021년 12호
통해 초대질량블랙홀이 초기 우주에서부터 어떻게 자라 왔는지를 연구할 수 있습니다. 3
개
의 프로그램에 참여한다고 들었습니다초대질량블랙홀을 향해 빨려가는 물질은 활동 은하를 빛낼 뿐 아니라, 블랙홀과 그 주변에 대한 정보를 줍니다. 블랙홀 근처에서 나타나는 운동으로부터 블랙홀의 ... ...
물리 논문에 이름 올린 나는…고양이로소이다
과학동아
l
2021년 12호
발표되며 폴링 교수의 주장이 틀렸다는 사실이 증명됐다. 심지어 이들도 폴링이
개
발한 실험법을 이용해 이중나선을 증명했다.그런데 폴링 교수의 ‘틀린’ 주장이 담긴 PNAS 논문은 철회되지 않은 채 그대로 남아있다. PNAS는 “(이 논문이) 틀렸다는 사실은 너무나 당연히 모두가 알고 있다”는 ... ...
현실과 가상을 잇는 관문에 서다
과학동아
l
2021년 12호
현장에서 보듯 즐길 수 있는 실감형 콘텐츠로 재탄생시킬 수 있다. 다만 3D 홀로그램 기기
개
발, 메타버스 환경 구현 등 선행돼야 할 과제가 남아있다. 임 선임매니저는 “앞으로 가상공간에서 3D 콘텐츠를 즐길 수 있는 하드웨어가 보급되기 시작하면 영상 콘텐츠의 패러다임이 급격히 바뀔 수 ... ...
이전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