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 [막내기자의 과학실험실] 즐거운 ʻʻ뉴턴마스’엔 망원경을 만들자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상을 관찰할 수 있죠. 오목거울과 평면거울이라니, 만만한 재료잖아요? 오목거울이 한 개에 1750원, 평면거울은 갖고 있던 아크릴 거울을 사용했으니 0원입니다. 여기에 골판지 한 장이 2000원, 기타 재료는 편집실을 적당히 뒤져 찾았습니다. 앗! 망원경, 커피보다 싸다! 완성된 뉴턴식 반사망원경에는 ... ...
- [논문탐독] 나노분자 바구니에 담아 무게를 측정하다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제조업체의 분석 효율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필자소개.채수연. 고려대 화학과 박사과정 연구원이다. 환자의 맞춤형 치료 발전을 위해 항암치료에서 저항성에 대한 발색기작, 치료, 예후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dkfvk35@naver ... ...
- [NST, 모두를 위한 연구] “잠수함을 검증한 기술로 전기선박에 도전합니다”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있다”며 “도산안창호함은 400여 개 항목을 시험했고, 결과를 토대로 약 150개 항목을 개선했다”고 말했다한국전기연구원은 이 과정에서 전기추친체의 모든 부품을 이해하고, 부품의 연결 과정을 꼼꼼히 시험했다. 특히 전기추진 선박에서 배터리만큼 중요한 것이 모터다. 손 본부장은 “전기를 ... ...
- [수학뉴스] 통계로 체조 편파 판정 막는다!수학동아 l2021년 12호
- 발표했어요. 우선 연구팀은 2013~2016년에 열린 국제 및 대륙 단위의 체조 대회 21개의 자료를 모았어요. 그리고 경기에서 사용한 각 기술의 평균 점수를 구하고, 그 점수를 기준으로 다시 채점해 경기 당시 심판의 판정 결과와 비교해 봤지요. 이 두 값의 차이가 작을수록 정확성이 높다고 판단했어요. ... ...
- [수학뉴스] 지지율 차이에 따른 선거운동 전략 찾았다수학동아 l2021년 12호
- 가장 큰 두 개의 당 후보 중에서 대통령이 주로 뽑히는 양당체제라고 볼 수 있어요. 2022년 3월 9일 치러질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양당의 후보들이 벌써 치열한 선거 전략을 펼치고 있어요. 이러한 양당체제에서 선거운동이 유권자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모형화한 연구가 11월 15일 ‘물리 A: 통계 ... ...
- [핫이슈] 수학계에 산타가 나타났다!? 70년 만에 풀린 등각선 문제수학동아 l2021년 12호
- 학술지로, 1874년부터 시작된 수학계 최고 학술지입니다. 현재는 1년에 약 50편 정도만 소개하고 있는데 그중 하나가 자오 교수팀의 연구가 된 것이지요. 다음엔 또 어떤 난제가 풀려 수학계와 우리를 놀라게 할까요? 다음 크리스마스 선물이 기다려집니다 ... ...
- [기획] 세상에 없던 문제를 함께 해결하자! 폴리매스수학동아 l2021년 12호
- 문제예요. 기약다항식, hg 회원과 힘을 합쳐 문제를 해결했어요. 50번 문제는 소문제 4개로 구성돼 있어요. 가장 먼저 hg 회원이 1번부터 3번까지 풀었고, 이어서 저도 3번까지는 해결했어요. 하지만 4번이 풀리지 않아 제가 존경하는 학교 선배인 기약다항식 회원께 의견을 구했어요. 함께 아이디어를 ... ...
- [이달의 우주 날씨] 12월 14일 쌍둥이자리 유성우가 내려요!수학동아 l2021년 12호
- 올해에는 12월 14일에 가장 잘 관측될 것으로 보여요. 극대기에는 시간당 약 150개(ZHR=150)의 유성이 떨어질 예정입니다. 과학동아천문대에서도 특별한 행사를 준비하고 있으니 많이 기대해 주세요 ... ...
- [수학체험실] 2시 24분 밖에 모르는 정오각형 시계수학동아 l2021년 12호
- 나눌 수 있다. 이등변삼각형의 꼭지각은 정오각형 중심의 360°를 5등분한 360°÷5=72°다. 5개의 이등변삼각형 중 72°를 이루는 두 변을 잘 골라 그위에 각각 시침과 분침을 놓으면 2시 24분을 나타내는 정확한 시계를 만들 수 있다. 왜 그럴까? 분침은 60분에 360°를 회전한다. 즉, 1분에 6°를 회전한다. ... ...
- [만화 뉴스] 5개로는 부족해? 로봇 손가락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타마르 마킨 교수팀은 새끼손가락 옆에 장착할 수 있는 로봇 손가락을 개발했다고 발표했어요. 3D 프린터로 만든 이 로봇 손가락은 발가락에 장착한 압력 센서로 제어할 수 있지요. 실험 참가자 20명은 로봇 손가락을 장착하고 5일간 일상을 보냈어요. 그 결과 참가자들은 더 많은 물건을 들거나 ... ...
이전1671681691701711721731741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