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찬성
저항
이의
상반
역
항쟁
항거
d라이브러리
"
반대
"(으)로 총 4,967건 검색되었습니다.
‘스마트’하게 즐기는 수백 년 전 과학실험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1호
볼록렌즈 : 돋보기를 이용하자. 돋보기에 쓰는 렌즈가 볼록렌즈다.오목렌즈 : 돋보기와
반대
역할을 하는 ‘졸보기’가 있다. 문구점이나 인터넷 쇼핑몰.MISSION 2 번개를 맞은 사나이 벤자민 프랭클린1752년, 비가 쏟아지는 어느 날이었어. 나는 하늘에 연을 띄우고 번개가 치길 기다렸지. 번개가 ... ...
사회적 거리 가까울수록 눈치 더 본다?
수학동아
l
2013년 11호
하고 싶지 않은데 학급 친구들이 다 하니까 하고,
반대
로 하고 싶은데 친구들이 다 안 하니까 안 한 경험, 누구나 한 번쯤 있을 것이다. 이처럼 사람은 알게 모르게 주변 친구나 동료들로부터 사회적인 압력을 받으며 의사 결정에 영향을 받는다.영국 스트라스클라이드대 수리통계학부 교수 ... ...
수학을 사랑한 기기묘묘 음악가 열전!
수학동아
l
2013년 11호
음악의 속도에 영향을 미치도록 알고리즘을 짰지요. 음이 낮아지면 속도가 느려지고,
반대
로 음이 높아지면 속도가 빨라지게 만든 거예요. 그 결과 각 음악들의 시작점이 모두 달라져 모든 음악은 1000년이 지나야 비로소 일치한답니다.여섯 개의 음악이 어느 지점부터 연주될지 계산하고, 각기 다른 ... ...
Part|. 입은 어떻게 진화했나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필요한 앞어금니와 어금니의 크기가 커졌다. 구조도 잘 씹을 수 있도록 바뀌었다. 이와
반대
로 개와 같은 육식 동물은 먹잇감을 공격하고 살을 잘라 먹어야 하기 때문에 송곳니가 크고 잘 발달했다.매머드나 마스토돈 같은 포유류의 입은 형태가 더욱 특이하다. 앞니가 아주 크게 발달해 있다. 높이 ... ...
PART 1. 물리학상 - 힉스에 대한 치명적인 오해5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시차를 두고 발표됐다. 유명세 때문에 힉스 교수가 먼저 발표했을 것 같지만, 사실은
반대
다. 그것도 거의 두 달이나 늦었다. 논문이 투고된 날짜와 게재된 날짜를 보면, 공교롭게도 앙글레르 교수가 보낸 논문이 미국물리학회지에 게재된 바로 그 날 힉스 교수가 같은 곳에 논문을 투고했음을 알 수 ... ...
PART 4. 이그노벨상 - 암소가 바닥에 누울 확률은?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정확히 일치하는 결과였다.하지만 연구팀의 또 다른 가설은 빗나갔다. 첫 번째 가설과 정
반대
로 오래서 있던 암소일수록 누울 확률이 높아질 거라고 예측했지만 의외로(?) 상관없다는 결론이 나왔다. 웃기자고 한 연구가 아니다. ‘응용동물행동과학’이라는 학술지에 10페이지에 걸쳐 투고한 정식 ... ...
다시 별의 낭만을 꿈꾸며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지구도 자전과 공전을 한다. 이것을 지구가 움직이는 게 아니라 천구의 다른 천체들이
반대
로 움직이는 것처럼 해석해야 한다. 이쯤 되면 대개 머리가 복잡해져 관측을 포기하고 싶어진다.이 책은 먼저 밤하늘을 그냥 바라보는 일부터 알려준다. 맨눈으로 보고 쌍안경으로 본다. 복잡한 공간은 ... ...
초원의 시간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유수프와 함께 다시 차에 올랐다. 조사단장 하마드 사마니의 요청 때문이었다. 제일
반대
했던 윤희나가 직접 동행하면서 균형 잡힌 시각을 잃지 않도록 도와야 한다는 것이었다. 그동안 다른 조사관 세 명이 그곳에 남아 피해 주민들의 진술을 채록하기로 했다. 차량 연료를 구하는 일도 함께였다. ... ...
꿈꾸는 삶이 아름다운 삶이다 (정형민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갈 수 없게 되자 그는 재수를 결심했다.재수 결심을 알렸더니 어머니와 작은 아버지가
반대
하고 나섰다. 첫 째가 재수하면 동생들도 재수할 수 있다는 어찌 보면 단순한 논리였다. 그래서 나온 점수를 들고 담임교사에게 적당한 곳에 보내달라고 했단다. 그래서 추천받은 곳이 건국대학교 축산대. ... ...
좋아하면서 동시에 성장할 수 있는 일을 직업으로 삼아라 (노준용 KAIST 교수)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이해도가 높아서 ‘왜 그러냐’고 물어보면 ‘왜 그러면 안 되냐’는 답이 돌아왔지요.
반대
로 공학을 하는 사람인데 디자인 감각이 뛰어난 경우도 있고요. 콘텐츠를 만드는 회사에서는 양쪽을 다 잘 하는 게 성공하는 길입니다. 실제로 그런 사례를 아주 많이 봤어요.”노 교수는 사실 학창 시절에 ... ...
이전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