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반대"(으)로 총 4,96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 우리는 왜 입으로 딴짓을 할까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갖고 있는 척추동물 사이에 있는 단계를 보여주고 있는 셈이다.아예 입을 원래와 반대 용도로 쓰는 동물도 있다. 앞으로 먹은 것을 뒤로 뽑는 것이 자연의 이치인데 거꾸로 앞으로 뽑아 버린다는 소리다. 지난해 싱가포르국립대 연구팀은 습지에 사는 자라가 입으로 오줌을 배출한다는 내용이 담긴 ... ...
- [hot science] 지구의 중력에 감사하라!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볼까요? 공기를 넣어 부풀린 풍선의 입구를 열어봅시다. 풍선을 꽉 잡고 있으면 공기만 반대로 빠져나오지만, 풍선을 놓으면 이번엔 풍선이 튀어 나갑니다. 영화 속에서 스톤 박사가 소화기를 이용해 우주 공간에서 움직이는 모습이 나오는데, 소화기에서 분출하는 힘을 이용한 거랍니다.코왈스키는 ... ...
- 5년을 몰입하면 인생이 재밌어진다 (박흥식 한국해양과학기술연구원 태평양해양연구센터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한다. 그는 끝까지 묵묵히 해냈다. 전 센터장이 자신을 후임으로 추천하자 많은 사람들이 반대했다. 국내 박사 학위에 영어도 잘 못하는 사람을 어떻게 센터장 시키느냐는 것이다. “전임 센터장이 제 열정을 본 거죠. 이 일을 정말 좋아하는구나. 이곳에서는 그런 사람 아니면 견뎌낼 수 없어요. ... ...
- 가게 명당, 통계로 찾는다!수학동아 l2013년 10호
- 상권 안에 사는 사람이 적은 경우에는 상권이 아무리 커도 고객이 많지 않거든요. 반대로 상권이 작아도 그 안에 사는 사람이 상대적으로 많으면 고객이 많을 수 있어요.이제 예상 매출액을 추정해 봐요. 여기에 가게를 차렸을 때 얼마나 벌 수 있는지 알아야 이곳에 가게를 내는 것이 타당한지 ... ...
- 10화 주사위의 방을 탈출하라수학동아 l2013년 10호
- 풍기는 주사위맨들이 말렸지만, 그들은 뒤도 돌아보지 않고 폴 일행이 올라온 언덕의 반대편으로 내려갔다. 폴 일행이 어리둥절한 표정으로 남은 주사위맨들을 쳐다보며 어깨를 으쓱하자 그들은 한숨을 푹 쉬며 말했다.”이곳은 원래 평화로운 주사위 마을이었어. 그런데 언젠가부터 두 파로 나뉘어 ... ...
- [화보] 무한 공간을 창조하다 쿠사마 야요이수학동아 l2013년 10호
- 그림❶과 같다. 반사란, 어떠한 물체가 거울에 비칠 때 거울로부터 거리는 같고 방향은 반대인 것처럼 보이는 현상이다. 이때 거울에 맺힌 상을 ‘허상‘이라고 부르는데, 예를 들어 거울 속에 비친 내 얼굴이 바로 허상이다.만약 거울이 하나면 허상은 한 개뿐이다. 그런데 거울 두 개가 서로 ... ...
- 새댁기자의 쿡쿡 맛있는 과학 - 6화 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살에 탄력이 생기지요. 약 70℃에서는 액틴마저 응고하면서 살이 단단하고 질겨진답니다. 반대로 결합조직은 가열하면 점점 약해지고 오그라들어요. 약 40℃부터 약해져 육즙이 바깥으로 빠져 나가기 시작하지요. 약 60℃에서는 콜라겐이 젤라틴으로 변해 살이 촉촉해지고 육즙도 더 이상 빠져나가지 ... ...
- [긴급진단] Part2_ 물고기, 방사능, 그리고 거짓말과학동아 l2013년 10호
- 바람을 타고 한반도로 넘어올 가능성이 없다고 예상했다가 노르웨이 기상연구소가 반대 결과를 내놓으면서 다시 수정하는 망신을 산 적도 있다. 또 이헌석 에너지정의행동 대표는 “일본은 원전에서 나오는 오염수뿐만 아니라 주변 지하수와 하천을 통해 바다로 나가는 방사성물질의 양도 ... ...
- 지구 자전의 비밀 300년 만에 풀리다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조건을 고려하면 외핵은 유체, 내핵은 고체 상태로 추정된다. 문제는 내핵이 지구 자전과 반대로 동쪽에서 서쪽으로 돌고 있다는 점이다.리버모어 연구팀은 스위스에 있는 슈퍼컴퓨터 ‘몬테 로사’를 사용해 지구핵의 움직임을 계산했다. 내핵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자기장의 세기, 회전속도를 ... ...
- 야구 기록, 그림만 보면 다 안다?!수학동아 l2013년 10호
- 알겠지만, 대체로 마무리 투수의 얼굴은 크기가 작고 이목구비도 오밀조밀하다. 반대로 선발 투수의 얼굴은 크기가 크고, 이목구비가 큼직하다. 이는 선발 투수와 마무리 투수의 투구 횟수 때문이다. 선발 투수의 경우 적어도 2000번 이상의 투구를 했지만, 마무리 투수의 경우에는 많아야 800번 정도 ... ...
이전1671681691701711721731741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