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에너지"(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추워도 좀 참자, 살 빠지니까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것으로 나타났다. 체중 감소는 3주 뒤 멈췄다.트라이코프스키 교수는 “장내미생물은 에너지 소비를 조절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며 “비만과 대사관련 질병 연구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셀’ 2015년 12월 3일자에 실렸다 ... ...
- [News & Issue]4세대 방사광가속기 준공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밝은 빛을 얻을 수 있어 원자나 분자의 3차원 결합구조를 분석할 수 있다. 앞으로 친환경 에너지 기술과 신소재 개발, 세포와 단백질 구조 분석, 플라즈마 물리학 연구, 표면 및 계면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예정이다. 미국과 일본에 이어 세계에서 세 번째로 준공된 4세대 방사광가속기이며, ... ...
- [News & Issue]디웨이브, 진실을 말해줘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되도록 설정하고, 극저온을 만들면(어닐링의 사전적 의미는 ‘냉각’이다) 큐빗은 에너지가 가장 낮은 상태로 이동한다. 이 방법은 2002년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물리학과 에드워드 파르히 교수가 처음으로 제안했다.이런 논란에도 불구하고 NASA, 구글, 미국 대학우주연구협회(USRA)가 공동으로 ... ...
- PART2. 광유전학, 마음을 치료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않아도 뇌 속으로 자극을 배달할 수 있다. 유전자 삽입이 더 큰 문제사실 뇌 안에 빛에너지를 배달하는 것은 다른 문제에 비하면 작은 장벽이다. 더 큰 기술적 장벽은 빛을 감지해서 신경회로를 조절할 수 있는 빛감지유전자를 배달해 주는 것이다. 광유전학으로 정신질환을 치료하려면 신경회로의 ... ...
- [Knowledge]파충류의 속사정 ➒ 익룡 中 ‘중생대 뷔페’가 만든 기기묘묘한 머리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먹이만 먹던 과거에 비해 더 많은 에너지를 얻을 수 있게 됐다. 이 말은 번식에도 더 많은 에너지를 마음껏 이용할 수 있게 됐다는 뜻이다. 공작의 꼬리 깃털과 코끼리의 상아처럼, 익룡의 큰 벼슬 역시 이성을 유혹하는 데 쓰였을 것이다. 니오브라라층에서 발견되는 프테라노돈의 종류는 작은 ... ...
- Part2.커피잔 속에서 우주의 원리를 보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하이퍼전하량’이라고 부르는 핵자의 양자수(입자의 특성)가 결합한 뒤 결국 낮은 에너지에서 전자기력과 약력으로 분화한다는 놀라운 구조를 밝혀냈다. 그가 이 과정에 ‘힉스 입자’가 관련된 메커니즘을 도입하면서, 물리학자들은 이미 45년 전부터 힉스 입자가 발견되리라 예측했다. 실제로 2 ... ...
- Part 4. 그들은 더 완벽한 우주이론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가속기와 새로운 물리학유럽에 LHC가 있다면, 아시아에는 켁비(KEKB)가 있다. KEKB는 일본고에너지가속기연구기구(KEK)가 운영하는 가속기로, 1999년부터 2010년까지 벨(Belle) 실험이라고 부르는 국제공동 연구를 진행했다. 벨은 입자 검출기의 이름이다.KEKB는 전자와 그 반입자인 양전자를 거의 빛의 속도에 ... ...
- [과학뉴스] 오줌으로 만드는 전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흡수하고 분해해 전기 에너지를 만든답니다.연구팀은 웨어러블 발전기가 만든 전기 에너지로 무선 송신기를 작동시키는 데 성공했어요. 이 무선 송신기는 2분에 한 번씩 컴퓨터로 신호를 보낼 수 있었답니다.이로폴로스 교수는 “이 기술은 앞으로 군사용 장비나 생존 키트에 응용될 수 있을 ... ...
- [숲 이야기 하나]수목원 나무들의 겨울나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많이 들어 있는데, 겨울이 다가오면 지방의 양이 더욱 늘어나요. 이 지방은 겨우내 쓸 에너지원이 되고, 외부 추위를 막아 주는 역할도 한답니다. 잎에 있는 구멍인 ‘기공’을 통해 찬 기운이 드나드는 걸 막는 일도 중요해요. 낙엽활엽수는 잎이 있던 자리에 ‘떨켜’를 만들고 잎을 떨어뜨려서 ... ...
- [지식]2억 년 뒤 세계지도는? 대륙 퍼즐 맞추기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지구가 탄생할 때부터 있었던 우라늄과 토륨, 칼륨 같은 방사성 원소가 붕괴하면서 열에너지를 만든다고 설명한다.유리 냄비에 물을 붓고 끓이면 물이 빙글빙글 돈다. 열이 닿는 부분에서는 물이 솟구치고 그 주변에서는 다시 내려오기 때문이다. 이처럼 맨틀도 아래에서 열을 받는 곳은 상승류가, ... ...
이전1661671681691701711721731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