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에너지"(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 10년의 대탐험 뉴호라이즌호, 명왕성을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6호
- 뉴호라이즌호에는 효율이 높은 수소와 질소로 이루어진 액체 연료 77kg이 실렸답니다.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해 7년 동안 모든 기계 전력을 끈 동면 상태로 비행하도록 명령하기도 했지요.또한 명왕성에 최대한 가까이 가기 위해서는 궤도 주기 등을 정확하게 계산해 비행 방향을 정밀하게 정해야 ... ...
- [대결~! 섭섭박사를 이겨라!] 가장 멀리까지 달려라! 고무줄 자동차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6호
- 연료가 아닌 고무줄의 탄성이 자동차를 움직이는 에너지가 되지요. 고무줄이 어떻게 에너지를 내냐고요? 그건 본격 대결을 통해 알려 줄게요~!오늘 대결 종목은 ‘고무줄 자동차’ 경주! 손에 쏙 들어오는 작은 크기지만, 바퀴의 축부터 작은 ‘타이어’까지, 갖출 건 모두 갖춘 정교한 ... ...
- 보아뱀이 먹이를 먹는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6호
- 1주 정도, 길게는 몇 달까지 먹이를 잡지 않아도 돼요. 우린 대사 작용이 느려서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죠.와, 멋지다! 너를 한 번 만나고 싶은데….저는 열대우림에서 반사막지역까지 다양한 지역에 살 수 있어요. 하지만 열대우림, 그 중에서 특히 강이나 하천 근처를 더 좋아한답니다. ... ...
- 바다의 숨은 지배자 플랑크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5호
- 많기로 유명한 유공충 화석이 많이 발견돼, 이런 주장에 힘이 실리고 있답니다. 미래 에너지원, 플랑크톤이 책임진다석유가 플랑크톤에서 만들어졌다는 것은 또다른 가능성을 열어 주고 있어요. 바로 플랑크톤을 이용해 과학으로 연료를 만드는 거지요. 이렇게 만드는 연료를 ‘바이오디젤’이라고 ... ...
- 우주먼지부터 인공먼지까지, 먼지를 팝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2호
- 8배 이상 무거운 별이 수명을 다하면 대폭발을 일으켜요. 이때 별은 태양이 평생 방출할 에너지를 한꺼번에 방출해요. 태양 10억 개의 밝기로 빛나는 초신성 폭발을 일으키지요. 이때 많은 양의 물질이 우주 공간으로 방출되며 역시 우주먼지가 만들어져요.이렇게 만들어진 우주먼지는 우주를 ... ...
- 나는 드론 위에 막는 안티드론 기술과학동아 l2015년 12호
- Industry-Science-Medical) 밴드 대역의 전파다. ISM 밴드는 산업이나 과학, 의료 분야에서 고주파 에너지를 가할 때 쓸 수 있게 지정해놓은 주파수 대역으로, 이것을 쏘면 드론 주변에 강력한 전자기장이 형성돼 내부의 전자회로가 망가진다. 드론디펜더의 유효 사격 각도는 30° , 사정거리는 최대 400m이다. ... ...
- ‘ 공학이 좋은’ 공대생, 고등학교로 가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휴대전화의 메모리는 반도체 분야, 두뇌를 담당하는 칩(AP)은 회로 분야, 배터리는 전기에너지 분야, 카메라는 신호처리 분야, 통신 칩은 통신 분야와 직접 관련이 있었다.이번 설명회에서 가장 호응이 좋았던 순간은 재료공학과 발표 중 막힌 혈관을 뚫어주는 장치인 스텐트 삽입 영상이 나올 때였다 ... ...
- [Editor’s note] 끝과 시작과학동아 l2015년 12호
- 것, 가지런한 것은 모두 변화와 거리가 멀기 때문이다. 우주도 그렇지 않은가. 태초에 에너지의 미약한 불균질함이 생긴 뒤에야 은하와 별도 탄생할 수 있었다.‘변화의 책’인 주역은 결코 완성이라는 일방향으로 향할 수 없었을 것이다. 그래서 굳이, 우주적 완성을 의미하는 괘 다음에 다시 모든 ... ...
- 눈에 보이는 양자세계,초전도 현상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에너지보다 클 수 없다. 하지만 양자역학에서는 가능하다. 퍼텐셜에너지가 입자의 에너지보다 큰 영역에도 입자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 영역을 입자가 꿰뚫고 지나갈 수도 있다. 이 현상이 바로 터널링이다.두 초전도체 사이에 부도체를 끼웠다고 생각해 보자. 전기가 통하지 않는 부도체는 쿠퍼짝 ... ...
- 양자역학과 수학을 연결하는 다리, π수학동아 l2015년 12호
- 대입하면 에너지 준위 값을 구할 수 있습니다.양자수란 양자역학에서 불연속적인 에너지 값을 표현하기 위한 수입니다. 양자수가 점점 커질수록 결과가 1655년 영국의 수학자 존 왈리스가 발표한 π의 공식에 가까워지고, 마침내 그 공식과 일치하게 됐습니다.프리드먼 교수는 “π와 양자역학이 ... ...
이전1701711721731741751761771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