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운반
전송
수송
정보전달
정보
정보전달매체
매체
d라이브러리
"
전달
"(으)로 총 4,27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3. 뇌보다 똑똑한 인공 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전기가 통하는지 안 통하는지가 중요한 회로 접합부와 다르며, 뉴런에서 나오는 신경
전달
물질과 반응의 양상도 놀라울 정도로 다양했다. 1940년대 뉴런도 논리 계산을 할 뿐이라고 주장했던 이들이 틀렸던 것이다.“인공신경망은 뇌의 신경회로를 단순화해 공학적으로 구현한 모델로 실제 뇌와는 ... ...
눈으로 느끼는 소리의 세계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있었다. 마치 어류가 턱뼈를 이용해 소리를 느끼는 것처럼 치아를 통해 진동을 내이로
전달
해 연주 소리를 듣기 위해서였다. 에디슨은 장애 때문에 낙담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청력장애가 “보다 효과적으로 생각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주장했다. 그는 소리를 기록으로 남기려는 목적으로 음(音)을 ... ...
Part4. 인공 뇌에도 마음이 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붙어 있는 이온채널이 표면을 따라서 순서대로 열리고 닫히면서 전기신호가 발생하고
전달
된다. 신경계는 이런 신호에 의해 작동된다.1863년 프랑스 해부학자 폴 브로카는 전두엽의 특정 부위가 손상된 환자는 말을 하지 못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1874년 독일의 의사인 칼 베르니케는 좌측 측두엽의 ... ...
짝짓기가 낳은 ‘아버지’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가임기를 맞이합니다. 수컷은 이 기간동안 다른 수컷의 접근을 막은 채 자신만 정자를
전달
하면 짝짓기에 성공할 수 있습니다. 고릴라 수컷은 마치 골키퍼가 골문을 지키듯 가임기 암컷을 지키는전략을 세웠습니다. 짝짓기를 하지 않는 평소, 수컷들은 치열하게 다퉈서 서열을 정해 둡니다. 그런 뒤 ... ...
Morning Routines Are Creativity Killers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뇌세포를 감싸는 지방질인 미엘린을 파괴한다. 미엘린 덮개가 파괴되면 뉴런 사이의 신호
전달
속도가 떨어지며 아이디어가 번개처럼 번뜩이는 순간을 느끼기 힘들다. 학술지 ‘심리과학’에 나온 최근 연구결과에 의하면, 즐거운 영상을 본 피험자는 슬픈 영상을 본 피험자보다 창의적으로 문제를 ... ...
뇌-컴퓨터 접속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간병인의 질문에 ‘예’, ‘아니오’로만 대답할 수 있어도 충분히 환자의 의사를
전달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뇌-컴퓨터 접속 기술이 실용화되면 의식이 깨어 있는 식물인간이 자신이 선택하지 않은 죽음을 맞게 되는 일은 사라질 것이다. [‘뇌-컴퓨터 접속’ 기술로 뇌파를 측정하면 말을 하지 ... ...
과학으로 뭉친 열정 아이돌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2호
허리가 아픈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는데 있다. 우리 몸은 뇌에서 신경을 통해 명령을
전달
받아 움직인다. 척추는 이 신경다발들이 모여 지나가는 곳으로, 척추에 문제가 생기면 자연히 신경에도 이상이 생긴다. 심한 경우 손이나 발처럼 허리에서 먼 부위에 마비가 오기도 한다.아이돌, 그룹이 ... ...
소리 없이 다가오는 죽음의 공포, 공황장애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발생할 수밖에 없다.감정 제어 기능에는 세로토닌이 작용한다. 세로토닌은 흥분성 신경
전달
물질로 대뇌변연계에 영향을 미쳐서 감정을 조절한다.공황장애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이 두 물질의 작용을 조절하면 된다. 선택적 세로토닌 흡수 억제제(SSRI)가 포함된 항우울제는 세로토닌의 방출을 ... ...
PART 1. 낭낙이와 순대 이야기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개를 야단치거나 때리는 등 강제적인 방법을 쓰지 않고서도 우리가 원하는 것을 개에게
전달
할 수 있다.클리커 트레이닝의 가장 큰 장점은 개가 자발적으로 움직인다는 것이다. 반려동물이 내가 원하는 것을 알고, 내가 원하는 것을 반려동물이 아는 소통의 순간. 그 짜릿함을 독자 여러분도 느껴 ... ...
이산화탄소에 취한 물고기는 용감해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세포 안으로 염소 같은 음이온을 들어오게 한다. 음이온이 들어오면 신경세포는 자극
전달
을 억제하게 된다(반대로 음이온이 나가면 흥분한다). 실험 결과 이들 실험 물고기들의 가바-A 수용체는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은 환경에서 음이온을 내보냈다. 이 때문에 신경세포는 흥분 상태가 돼 행동 ... ...
이전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