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운반
전송
수송
정보전달
정보
정보전달매체
매체
d라이브러리
"
전달
"(으)로 총 4,277건 검색되었습니다.
브레인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뜬 눈으로 날을 지새우며 치열하게 살고 있는 신경외과 의사의 이야기를 안방까지
전달
함으로써 의사에 대한 좋지 않은 편견들을 바로잡을 수 있는 부가적 효과도 톡톡히 누리고 있다.치료가 어려운 교모세포종‘브레인’의 영향인지 요즘 교모세포종에 대해 묻는 사람이 많다. 교모세포종은 전체 ... ...
휴대전화 발열 잡는 기술 등장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실제로 위 두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나노 구조물들 사이에서는 반 데르 발스 힘이 열을
전달
하는 ‘전도사’ 역할을 하는 입자(포논)의 움직임을 방해해 열전도성을 떨어뜨렸다.리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가 “초소형 광전자 소재나 나노구조물 기반의 열전자 소재의 발열을 관리하는 데 큰 역할을 ... ...
실험실에서 탄생한 공포의 바이러스 H5N1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즉, 동물마다 다른 세포 특성 때문에 바이러스가 한 동물에서 다른 동물로 쉽게
전달
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번 연구는 이 장벽을 무너뜨렸다.네덜란드 에라스뮈스 메디컬센터의 론 푸히르 교수와 미국 위스콘신-매디슨대 병원생물학과 요시히로 가와오카 교수는 각각 돌연변이 시킨 H5N1 ... ...
늦잠, 유전자 때문이야!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신경정보를 뇌로
전달
한다. 그런데 ABCC9 유전자가 이 통로를 망가뜨려 신경정보를 제대로
전달
하지 못해 수면의 양에 변화가 생긴 것이다. 초파리의 잠 유전자를 연구하는 최준호 카이스트 생명과학과 교수는 “칼륨 이온 통로가 수면 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분명하지만 그 이유에 대해서는 아직 ... ...
수학으로 꿰뚫는 추리 셜록홈즈 그림자 게임
수학동아
l
2012년 02호
위해 암호가 적힌 쪽지를 건넨다. 이는 살인을 당할 위험에 처해 있는 피해자에게
전달
될 쪽지였다. 영화에서는 쪽지의 내용을 자세히 다루지 않지만, 원작 소설에서 자세히 볼 수 있다.소설 속에서 홈즈는 우연히 이 쪽지를 손에 넣게 된다. 하지만 숫자와 알파벳이 불규칙하게 섞인 이 쪽지를 본 ... ...
1999년 제이 기드 박사의 청소년 뇌 발달 장기 추적 MRI 연구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청소년들은 더 감정적이 되고 보상이나 스트레스에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 흥분성 신경
전달
물질의 우세와 도파민 활성의 증가는 제대로 보살핌을 받지 못한 청소년들이 폭력, 흡연, 음주, 성관계 등 위험한 행동에 쉽게 빠져드는 현상을 설명해준다.한편 뇌 발달 과정은 유전자의 프로그램에 ... ...
[2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자연스럽게 기사의 흐름을 쫓아갈 수 있도록 한 것은 과학 기사에서 사실과 정보를
전달
하는 좋은 방법이다. 아쉬움도 남는다. 기사는 도입부에서 지난해 10월 말 태국에서 발생한 폭우와 홍수를 언급하며 당시 하드디스크 가격이 폭등한 현상을 소개했다. 때문에 하드디스크에 대한 관심이 ... ...
나도 생방송 보니하니 진행자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최종 영상과 음성은 전파로 바뀌어 방송국 안테나를 통해 관악산과 남산의 송신타워로
전달
해. 그러면 송신타워가 다시 전국으로 보내지. TV는 이 전파를 받아 방송 화면으로 바꿔 친구들이 볼 수 있는 거야. 진짜 ‘보니하니’가 말하는 ‘MC의 자격’‘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 중에도 MC ... ...
꿈을 저장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다발이 아닐까 생각한다. 뇌의 모든 부분에 이런 미세바늘을 꽂고 전기신호를 컴퓨터로
전달
하면, 모든 뇌 활동을 읽어낼 수 있다. 각 바늘에 전류를 흘려 실제와 같은 감각을 느끼게 하는 것도 이론적으로 불가능한 일은 아니다. 하지만 살아 있는 사람에게 미세바늘을 이식하는 것은 너무나 위험한 ... ...
모기 감각의 비밀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감각수용체는 아미노산으로 이뤄진 단백질의 일종으로 외부자극을 감각신경세포로
전달
한다. 연구 결과, 모기는 감각수용체 끝부분의 아미노산 구조를 바꿔 여러 감각을 구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파리와 말라리아 매개의 모기에서도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연구팀은 “염기서열을 분석해 본 ... ...
이전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