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설
원리
주의
체계
설
원론
견해
뉴스
"
이론
"(으)로 총 2,852건 검색되었습니다.
'꽉 막힌 귀성길 마음은 천근만근' 전기차 배터리 아끼는 방법은
동아사이언스
l
2019.02.02
같은 게 아니냐는 의문이 남는다. 이상영 UNIST 에너지및화학공학부 교수는 이에 대해 “
이론
적으로는 고속이든 저속이든 최대 주행거리는 차이가 없어야 하지만 실제 배터리와 모터의 기계적 결합 구조와 공기 저항 등 다양한 변수가 많아 고속으로 달리는 게 비효율적일 가능성이 높다”며 ... ...
실패를 통한 발견 '과학의 실패'展 과천과학관 대통령 표창
동아사이언스
l
2019.02.01
천동설이 지동설로, 연금술이 어떻게 화학으로 발전해 왔는지 등 옛
이론
이 새로운
이론
으로 대체되고 과학자들이 실패를 극복해 나가는 과정을 보여주는 전시다. 250㎡ 규모의 전시장으로 꾸며진 과학의 실패 전시는 관람객들의 눈길을 끌었다. 과학의 실패 특별전은 국립과천과학관에서 오는 2 ... ...
"블랙홀 미스터리 풀 열쇠"…韓, 중력파검출기 '소그로' 추진
동아사이언스
l
2019.02.01
속도로 전파되면서 주변 시공간을 휘게 만든다. 아인슈타인은 100여 년 전 일반상대성
이론
을 통해 중력파를 예측했고, 40여 년의 노력 끝에 2015년 미국 레이저간섭계중력파관측소(LIGO·라이고)에서 중력파가 최초로 검출됐다. 덕분에 2017년에는 노벨 물리학상의 주인공이 되기도 했다. 과학자들이 ... ...
양자컴퓨터 기술 개발에 5년간 445억원 투자
동아사이언스
l
2019.01.31
수 있어 계산 속도가 빨라진다. 현재 양자컴퓨터를 개발하기 위한 관건은 이런 양자 연산
이론
을 실제 양자를 이용해 가능한 많이, 안정적으로 구현하는 것이다. 물리 및 전자공학 기술이 뒷받침돼야 하고 전용 소프트웨어도 개발돼야 한다. 과기정통부는 앞으로 5년 동안 양자컴퓨터 구현을 위한 ... ...
차세대 2차전지
이론
용량 92%까지 따라잡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30
전지의 한계를 돌파하기 위한 새로운 물리화학적 원리를 제시했다”며 “리튬-황 전지의
이론
용량의 92%를 100회 이상 구동하면서도 용량 저하가 없음을 입증했다는 점에서 새로운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추현원 석사과정생과 노형준 박사과정생이 1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는 이달 14일 ... ...
주기율표 곳곳을 채운 화학의 '히든 피겨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9
국내에도 알려진 바로 그 원소다. 러더퍼드와 프레더릭 소디는 방사성 붕괴에 관한
이론
을 발표하고 업적을 인정받아 1908년 노벨 화학상을 탔다. 하지만 브룩스가 라돈 발견에 함께했음에도 라돈을 발견한 첫 논문에만 공동 저자로 이름을 올렸을 뿐 이후 러더퍼드가 네이처에 투고한 논문에서 ... ...
‘10대 바이오 유망기술’에 근육 생기는 약, 플라스틱 분해 미생물 등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19.01.29
기술, DNA를 기록매체로 이용하는 분자 레코딩 기술 등이 유망 기술로 꼽혔다. DNA는
이론
상 1g에 정보를 4억 5000만 테라바이트(TB) 기록할 수 있을 정도로 효율이 좋아 세포 내 신호전달 등 생명 현상을 직접 DNA에 기록해 질병이나 작물 연구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흥열 ... ...
이차전지 성능 최대 7배까지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7
필요성이 커졌다. 이중 주목받는 것이 리튬-황 이차전지다. 기존 리튬 이온 이차전지보다
이론
상 7배 이상 에너지를 저장하고 저렴하기 때문이다. 리튬-황 이차전지는 상용화를 위해 넘어야 할 산이 많다. 황의 전기전도도가 낮아 전기 생성량이 낮고 충전과 방전을 거듭하는 과정에서 황이 새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안데스 산맥은 어떻게 지구상 가장 긴 산맥이 됐나
동아사이언스
l
2019.01.27
년 전 중생대 후기 이후 나즈카 판의 섭입 과정과 이에 따른 안데스 산맥의 진화 과정을
이론
모델을 통해 시뮬레이션한 결과다. 연구진에 따르면 나즈카 판의 끝자락은 8000만 년 전 지금의 안데스 산맥의 북쪽 끝에서 남미 대륙과 맞닿아 섭입되기 시작했다. 당시만 해도 남쪽에서는 섭입이 ... ...
[Science토크]'저장시설 포화까지 2년' 답 못찾는 사용후핵연료 처리
동아사이언스
l
2019.01.27
SFR)에 활용한다. 한미원자력협정에 따라 한국과 미국이 공동으로 연구하고 있으며
이론
상 사용후핵연료 부피를 20분의 1 수준으로 줄일 수 있는 기술이다. 이에 따라 한국원자력연구원이 진행중인 파이로프로세싱 연구는 한미공동연구에 초점을 맞췄다. 한국은 모의사용후핵연료를 이용해 ... ...
이전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