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혈통
변화
공학
변천
유전공학
유전공학연구소
스페셜
"
유전
"(으)로 총 2,088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전 세계 소아암 게놈 데이터를 모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17
대부분
유전
적 요인에 따라 발병한다. 그렇기 때문에 소아암 발병 기전을 알아내려면
유전
적 요인이 체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해야 한다. 그들은 소아암 게놈 데이터를 활용해 정밀의학 연구를 진행하면 소아암 치료율을 높이는 날이 곧 올 것이라고 기대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동일한 생존전략 택한 세 지역의 토끼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7
분석했다. 사는 곳과 환경이 달랐음에도 세 곳의 토끼는 DNA속 비슷한 위치의 면역 관련
유전
자가 변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바이러스에 감염된 동물에게서 생산되는 항바이러스 단백질인 인터페론의 활성화 정도가 높아진 것이다. 연구팀은 “세 국가에서 바이러스 저항을 위한 진화가 ... ...
[과학게시판] 카오스재단 '기원, 궁극의 질문들' 주제로 봄 정기강연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2.11
신청하면 된다. 추첨을 통해 청중을 선정한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시험·연구용
유전
자 변형생물체(LMO) 연구시설 현장검사 사전 설명회를 이달 12일 오후 1시 30분 서울 서초구 aT센터, 14일 오후 1시 30분 대전 서구 대전무역회관에서 연다. 설명회에서는 시험·연구용 LMO를 개발하고 이용하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기후변화 이길 '감자 2.0'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0
칠레 등 6개국에서 현재까지 39종의 야생 감자를 수집했다. 다만 기후변화 적응
유전
자를 찾더라도 기존에 생산해왔던 감자들을 개량 품종으로 대체하기까지는 10년 이상의 긴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젊을 때 근력운동을 해두면 좋은 이유
2019.02.06
세포핵이 하나 들어있지만 근육세포에는 보통 수백 개가 들어있다. 세포핵 하나에 있는
유전
자 한 쌍으로는 근육세포가 필요로 하는 단백질을 공급할 수 없기 때문이다. 소읍에는 주유소가 한두 곳만 있어도 되지만 대도시에는 수백 곳이 있어야 하는 것과 마찬가지다. 근력운동을 하면 근육량이 ... ...
ISS로 간 식중독균, 우주 생활 적응 중
과학동아
l
2019.02.01
관련이 없어 ISS 우주비행사에게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유전
자분석 전문 저널 ‘엠시스템즈(mSystems)’ 1월 8일자에 게재됐다. doi:10.1128/mSystems.00281-1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백년을 산다는 것의 의미
2019.01.22
것 같다(술은 잘 모르겠지만 최소한 과음은 아닐 것이다). 김 교수의 게놈을 분석해 다중
유전
자위험점수를 내보면 상위 10%에 들지 않을까(어머니도 101세까지 사셨다). 그리고 운도 김 교수의 편인 것 같다(심각한 사고나 임의의 돌연변이로 인한 암 발생 등을 피했다). 백년을 산다는 게 어디 쉬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리 몸에 운동이 필요한 이유
2019.01.15
아니다. 그런데 영장류와 과일박쥐 같은 몇몇 동물은 아스코르빈산을 생합성하는 효소
유전
자가 고장나 만들지 못해 음식물에서 섭취해야만 하는 비타민이 된 것이다. 인간을 제외한 영장류(원숭이와 유인원)와 과일박쥐는 여전히 과일과 잎을 주식으로 하므로 문제가 될 게 없다. 반면 사람은 ... ...
[표지로 읽는 과학]'부자연 선택설'로 진화한 박테리아 효소
동아사이언스
l
2019.01.05
바꾸는 효소를 개발했다. 아널드 교수는 진화를 위해 단백질에 대한 정보를 담은
유전
자에 여러 돌연변이를 도입했다. 이렇게 만들어진 단백질 중 기능이 가장 향상된 단백질 변이체를 생산하는 개체를 골라낸다. 기능이 향상된 효소를 찾아내면 여기에 다시 돌연변이를 가해 돌연변이를 ... ...
완전 분해 ‘친환경 플라스틱’ 가능할까
2018.12.31
플라스틱을 만드는 연구가 활발하다. 이상엽 KAIST 생명화학공학과 특훈교수팀은 올해 1월
유전
자를 개량한 대장균을 이용해 포도당으로 페트(PET)병의 원료인 방향족 폴리에스테르를 생산하는 데 성공해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발표했다(아래 사진). 2016년에는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로지’에 ... ...
이전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