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유전"(으)로 총 2,088건 검색되었습니다.
- “엄마는 네안데르탈인, 아빠는 데니소바인” 게놈 연구 결과 첫 확인동아사이언스 l2018.08.23
- 빙하기가 이어지던 어느 추운 날, 러시아 시베리아의 알타이산맥에 위치한 데니소바 동굴에서 13세의 어린 소녀가 세상을 떠났다. 5만 년 뒤, 손가락 ... 이종교배가 확인된 개체는 빨강과 파랑이 반씩 섞여 있다. 유전자에 일부 다른 종의 유전자가 포함된 경우는 점이 찍혀 있다. - 사진 제공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정자에 왜 후각수용체가 있을까?2018.07.31
- 코뿐 아니라 몸 전체에 분포하며 다양한 기능을 한다는 사실은 ‘게놈이 후각수용체 유전자에 왜 그렇게 많은 투자를 했는가?’라는 의아함을 상당 부분 누그러뜨렸다. 우리가 냄새로 지각하는 게 후각 정보의 전부는 아니라는 뜻이기 때문이다. 숲을 슬쩍 들여다본 뒤 그때까지 나무만 봐왔다는 걸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알라는 어떻게 유칼립투스 잎만 먹고 살까 2018.07.17
- 정반대의 상황에 적응했다. 폴란은 “음식 선택에 관련된 정보들이 너무 많아 유전자에 모든 잠재적인 음식과 독에 대해 기록할 수 없었다”며 “대신에 복잡한 정신적 수단을 발달시켜 먹을 수 있는 것과 먹을 수 없는 것을 구분하는 데 활용했다”고 설명했다. 그럼에도 사람은 “지나치게 ... ...
- [지구를 위한 과학] 제돌이의 고향에서 남방큰돌고래 연구팀을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07.11
- 남방큰돌고래는 우리가 흔히 돌고래라고 알고 있는 ‘큰돌고래’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유전적으로 다른 종이에요. 연안과 먼바다에서 모두 생활하는 큰돌고래와 달리, 남방큰돌고래는 주로 연안 1~2km안에서 생활한답니다. 귀엽게 생긴 외모 때문에 온순한 성격의 동물이라고 착각하기 쉽지만,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 다세포성의 기원에 대한 고찰2018.07.10
- 이런 분석이 새로운 암 치료법을 찾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했다. 즉 단세포 유전자의 득세로 부적절하게 활성화된 경로를 다시 잠재우는 방법을 찾는다면 효과적으로 암을 통제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어떻게 보면 다세포생물이란 공(公, 개체)을 위해 사(私, 개별 세포)는 언제라도 희생될 수 ... ...
- [표지로 읽는 과학] 한국, 日-中 빠진 '우리만의 리그'에서 아시아 과학 허브 한자리 차지?동아사이언스 l2018.07.01
- 한국이 바이오 분야 강국이라는 사실이 영향을 미친 듯, 공교롭게도 두 선정자 모두 유전자가위(김진수 단장)와 마이크로 RNA(김빛내리 단장)라는 생명과학 주제를 연구하고 있다. 하다못해 비슷하게 뛰어난 성과를 낸 과학자 중에서도 화학처럼 상대적으로 대중에게 덜 알려진 분야의 과학자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천재에게 좋은 인간성까지 바라지는 마세요”...아인슈타인을 위한 변명2018.06.19
- 학술지 ‘열린 고고학’ 5월호에는 구석기시대 벽화가 현생인류의 진화에서 자폐 성향 유전형이 양성선택됐음을 보여주는 한 예일 수 있다고 주장하는 논문이 실렸다. 지난 2월 학술지 ‘사이언스’에는 유럽 스페인에서 발견된, 네안데르탈인이 그린 게 확실시되는(적어도 6만4000년 전 것으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잠 안 설치려면, 커피 언제 얼마나 마셔야 하나 2018.06.12
- 수용체를 지닌 사람은 둔감하다. 결국 카페인 민감도는 대사 효소 유전자형와 수용체 유전자형 조합의 결과다. 예를 들어 아데노신수용체가 카페인과 강하게 결합하고 분해효소는 카페인을 제대로 대사하지 못하는 사람은 카페인에 극도로 민감할 것이다. 반면 수용체가 카페인을 제대로 ... ...
- 공룡인가, 도마뱀인가.... 2억 4000만 년 전 도마뱀동아사이언스 l2018.06.03
- 연구팀이 이탈리아 알프스 산맥에서 발견했다. 연구팀은 고해상도 미세초점 단층촬영과 유전자 분석을 이용해 연령을 측정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조하면 된다. ☞ 알프스산에서 2억 4000만년전 도마뱀 조상 찾았다 ☞doi:10.1038/s41586-018-0093-3 Tiago R. Simões et al (2018), The origin of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밀가루 글루텐 유해성, 여전히 논란 중2018.05.29
- 하는 서구사회에서 ‘글루텐이 없는(gluten-free)’ 식품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유전적 요인이 있고 소장벽을 이루는 세포 사이가 느슨할 경우 밀가루 음식을 먹으면 글루텐이 틈 사이로 투과해 자가면역반응을 일으켜 소장벽 세포를 파괴한다. 그 결과 영양결핍과 설사 등의 증상이 ... ...
이전1691701711721731741751761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