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내아이
보이
남자아이
소년
아들자식
꼬마
동자
d라이브러리
"
남아
"(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마음도 음양의 조화가 필요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반동형성이 일어나더라도 원래의 감정이나 충동은 사라지지 않고 무의식 속에
남아
있다. 자연에 존재하는 모든 것들은 반드시 상반되는 두 가지 성질을 갖고 있다. 팽창하려는 성질(이것을 양(陽)이라 하고)과 수축하려는 성질(이것을 음(陰)이라고 한다)이다. 그와 같은 팽창과 수축, 다시 말해 ... ...
천 년을 견디는 종이 ‘한지’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합지를 만들기 때문에 종이가 더욱 질기고 강해진다.이렇게 해서 대나무발 위에 물기가
남아
있는 상태의 종이가 만들어진다. 이렇게 만들어진 종이는 평평한 곳에 400~500장 정도를 쌓고 무거운 돌을 올려놓아 서서히 물기를 뺀다. 수분이처럼 전통 방식으로 한지를 만드는 과정에는 복잡하고 어려운 ... ...
동계스포츠에 숨은 과학원리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막)을 만들기 때문. 열 전도성이 낮으면 열이 날로 흡수되지 않으므로 수막이 더 오래
남아
있는다. 주목할 선수 '피겨스케이팅 김연아 20·고려대'‘피겨여왕’의 우승 세리머니가 밴쿠버의 얼음판 위에서도 펼쳐질 것인가. 2006년 시니어 무대에 데뷔한 이후 참가한 대회에서 메달을 목에 걸지 ... ...
유해균까지 감싸 안는 장의 고차원 전략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장내 면역계를 안정화시키는 여러 메커니즘을 밝혀냈지만 아직도 연구할 분야가 많이
남아
있다. 왜 장 속에 공생균이 있어야 하는지, 어떻게 공생균은 장의 면역체계를 피하고 장에서 함께 살아가는지, 세균을 어떻게 인지해 선택적으로 반응하는지 아직 알려지지 않고 있다.하은미 박사는 “이에 ... ...
특명! 사라진 생물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2호
0년 전 멸종된 쇼트페이스 불곰이 각각 2위와 3위를 차지했다. 공룡은 유전 정보가 충분히
남아
있지 않아 복원이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포함되지 않았다.➊ 네안데르탈인(멸종 2만 5000년 전)➋ 세이버투스(멸종 1만 년 전)➌ 쇼트페이스 불곰(멸종 1만 1000년 전)➍ 태즈메이니아 호랑이(멸종 1936년)➎ ... ...
태양보다 200배 큰 별 폭발 장면 잡았다 !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우주에 비하면 금속 함량 여전히 많아지난 수십 년 동안 빅뱅우주진화이론의 수수께끼로
남아
있던 쌍불안정성 초신성의 존재가 관측에 의해 최초로 확인됐다. 이런 사실은 갈-얌 박사팀이 초신성 2007bi의 관측 자료를 분석한 결과 폭발 직전 핵의 질량이 태양의 100여 배로 해석됐기 때문이다. ... ...
2부. 훌륭한 리더는 수로 다스린다!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수학만큼이나 발달했습니다. ‘구장산술’, ‘구수략’, ‘산학정의’와 같은 수학책이
남아
있는 것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에는 산학시험이라는 것이 있어서 이 시험에 합격해야 산학자가 될 수 있었습니다. 공인 수학자제도가 있었던 것이죠.”그렇군요. 수학이라고 하면 수가 먼저 ... ...
한반도 호랑이 복원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시달렸다. 2차 세계대전이 끝날 때쯤에는 극동러시아 전 지역을 통틀어 약 50마리만
남아
있었다. 이에 당시 소련 정부는 호랑이 사냥을 전면적으로 금지시키고 호랑이의 주요 먹잇감인 멧돼지와 사슴의 사냥도 제한적으로만 허용했다. 엄격한 보호조치는 성과가 좋았다. 세계의 다른 지역 호랑이는 ... ...
달리는 인간형 로봇 휴보2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정말로 세계에서 2번째로 달린 로봇은 2008년 3월 개발된 KHR-2가 아닐까.아직 숙제는
남아
있었다. KHR-2의 달리기 기능을 휴보2에 이식해야 했다. 그리고 구현된 달리기 기능을 좀 더 안정적으로 가다듬어야 했다.연구팀은 아예 달리기 기능 개발용으로 휴보2를 한 대 더 만들었다. 모든 기능을 ... ...
거꾸로 자라는 고드름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만들어지는지는 아직 밝혀내지 못했다. 또 역고드름을 왜 보기 힘든지도 의문으로
남아
있다. 사실 이 점은 역고드름 연구 자체의 걸림돌이다. 역고드름이 생성되는 과정을 밝혀내려면 직접 생성 환경을 관찰해야 하지만 일상에서 쉽지는 않다.과학자들은 대신 역고드름을 실험실에서 만들어 보기로 ... ...
이전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