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내아이
보이
남자아이
소년
아들자식
꼬마
동자
d라이브러리
"
남아
"(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호랑이, 넌 누구냐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중국에는 호랑이를 좁은 공간에 가두고 사육하는 ‘비인간적인’ 호랑이 농장도 아직
남아
있다. 호랑이의 해를 맞아 ‘호랑이가 행복해질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볼 때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한반도 호랑이 복원 프로젝트호랑이, 넌 누구냐호랑이는 왜 가로줄무늬를 ... ...
두 남자의 호주 사막 조난기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필요한 만큼만 물품을 골랐다. 항상 필요한 만큼만 자연에서 얻어온 생활방식이 아직도
남아
있는 듯 보였다. 문득 ‘총균쇠’의 저자 제레드 다이아몬드의 말이 떠올랐다. “오스트레일리아는 인간사회의 대륙 간 불균형에 대한 이론들을 검증하는 결정적인 판단 기준이 된다. 이곳의 환경은 가장 ... ...
어흥~! 한국호랑이를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1호
클릭! www.21stcenturytiger.org야생으로 가는 그 날까지야호~! 시베리아호랑이가 꿋꿋하게 살아
남아
서 언젠가 백두산에 늠름한 모습을 보였다는 뉴스가 나오면 좋겠어. 하지만 그 전에 모두 멸종해 버리면 어떡하지?오호, 내 걱정을 미리 알았던 걸까? 환경부에서는 멸종 위기에 처한 호랑이를 보존하기 ... ...
1부. 아름다움의 비밀은 수학!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따로 있기 마련이니까요. 하지만 모든 한옥을 구고현의 정리를 기초로 지었다는 것은
남아
있는 역사 자료를 통해 알 수 있습니다.실용성까지 생각한 곡선의 미한옥이 놀라움의 대상이 되는 것은 실용성은 기본이요, 아름다움까지 추구한 우리 조상들의 멋스러움 때문입니다.무엇보다 세계가 ... ...
아귀 땀 뻘뻘 흘리며 먹는 한겨울 제맛 아귀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그중에서도 오래된 술집이 즐비한 오동동 네거리 일대는 지금까지도 아귀찜의 중심지로
남아
있다. 이태원 교사는 서울대 대학원에서 세포생물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우리나라 전통 문헌에 나타난 과학 관련 내용에 관심이 많다. 저서로 조선 후기 학자 정약전의 어류학서 ‘자산어보’를 ... ...
미래 기후 예측 빙하시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6호
있어요. 사람에게 뼈가 있듯이 조개와 게 등의 단단한 부분이 오랜 세월이 지난 뒤에도
남아
있는 거지요. 그 주요 성분이 바로 탄산칼슘(CaCO₃)이랍니다. 탄산칼슘은 바닷물에 녹아 있던 이산화탄소와 산소, 칼슘이 만나서 만들어진 거예요. 그런데 대기와 바다는 서로 상호작용하기 때문에 바다에 ... ...
꽃매미를 추적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3호
유명한 녀석일세. 이 종이 우리나라에도 있었다면 최소 조선시대부터라도 문헌에 기록이
남아
있어야 하네.지구온난화로 환경이 변했기 때문에 최근에 나타났을 가능성도 있지 않은가?꽃매미는 중국에서도 거의 전역에 분포하는 종일세. 이 말은 따뜻한 남쪽에만 살고 있는 종류가 아니라는 걸세. ... ...
다윈은 아르헨티나에서 무엇을 보았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3호
탐사하기 위해 찾아간 콜로니아 요새에는 번개에 맞아 무너진 건물의 흔적이 아직도
남아
있다. 다윈은 번개에 맞은 건물을 직접 찾아가 보고 기록을 남겼다 ... ...
Part 2. 통계 바로 알기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바라셨지. 그래서 딸보다 아들이 수학을 못 할 때 더 많은 걱정을 하신대. 이런 생각이
남아
있는 한 여자가 수학과 친해지기 어려운데도 말이야. 다른 어떤 것보다 학생에겐 선생님이 가장 중요해. 남자가 여자보다 원래부터 수학을 잘 한다고 생각하는 선생님이 있다면 여학생은 수학에 대한 ... ...
[수학의 위대한 발견] 별난 수, 소수의 발견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수 있게 되기 때문이죠. 이 외에도 소수에 관한 여러 가지 의문이 아직 해결되지 않은 채
남아
있습니다. ‘가장 큰 쌍둥이 소수는?’과 ‘메르센 소수가 무한한가?’ 등입니다. 최근에 알려진 가장 큰 소수의 기록을 세운 소수는 모두 메르센 소수입니다. 1997년부터 인터넷 서버를 이용해 수많은 ... ...
이전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