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이"(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 신비┃인류는 정말로 달에 갔을까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여러 천문대들은 우주비행사들이 달 표면에 설치한 레이저 반사경을 이용해 지구와 달 사이의 거리를 측정했다. 21세기 들어서는 여러 나라의 달 탐사 위성이 아폴로호의 착륙 흔적을 확인하기까지 했다. 무엇보다 우주비행사들은 지금까지 382kg이나 되는 월석을 지구로 들고 왔다.그럼에도 불구하고 ... ...
- 질서┃오리온자리 팔, 태양계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오리온자리 팔우리은하는 생성 초기에 폭발적으로 항성이 탄생한 뒤, 남은 가스가 회전하며 길게 뻗어 나와 나선팔을 만들었다. 그래서 ... 상태로 접어들면서, 항성풍을 발산해 주변의 가스들을 날려 보냈고, 태양과 행성들 사이에 텅 빈 공간만 남게 됐다. 비로소 태양계가 완성된 것이다 ... ...
- [프리미엄] 부활한 돼지 뇌세포 생명의 경계를 흔들다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세포도 본래의 면역 기능을 회복했다. 무엇보다도 우측 뇌의 중심에 위치한 신경세포 사이의 접합 부위인 시냅스에서 신호 반응이 포착됐다. 죽은 뇌세포가 다시 살아나 본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가능성이 확인된 것이다. 이런 상태는 사후 10시간째인 실험 6시간 뒤까지 지속됐다. 뇌세포가 ... ...
- [수학 THE LOVE] 수학과 물리는 한 몸입니다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때 수학부와 물리부를 따로 모집하지만, 실제로는 함께 활동한다”며 “수학과 물리학 사이에 접점이 많다 보니 서로의 분야에 관심을 두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리만가설, 열역학…한 학기에 스터디 9개 진행EOE의 활동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스터디와 세미나, 그리고 외부 활동이다. ... ...
- 시스템반도체가 뭐기에? 3대 키워드과학동아 l2019년 06호
- 1만분의 1 수준으로 적은 전력(25~275mW)으로 구동했다. 덕분에 그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가 선정한 ‘올해의 10대 연구 성과’에 선정되기도 했지만, 사실 자가 학습능력은 없었다. 인텔은 2017년 학습 기능을 보완한 뉴로모픽 반도체 ‘로이히(Loihi)’를 개발했다. 로이히는 사람이 데이터를 ... ...
- [중국유학일기] 기초과목에 집중하는 1학년 전공 역량 기르는 2학년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조직할 필요가 없다.중국 대학과 한국 대학의 가장 큰 차이점 중 하나는 학생과 교수 사이의 교류가 매우 적다는 점이다. 이 또한 학생 수의 차이에서 비롯된다. 보통 학생 수가 가장 많은 과목은 한 교실에서 약 130명이 함께 수업을 듣는다. 전공 수업도 많게는 90명 정도가 동시에 수강한다. 교수와의 ... ...
- 명화가 훼손되면 어쩌죠?수학동아 l2019년 06호
- 그 때문에 복원하고 난 뒤에는 원본의 아름다움을 얼마나 살려냈는지를 두고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분분한 경우가 있습니다.레오나르도 다 빈치가 그린 ‘최후의 만찬’이 대표적인 사례죠. 1977년부터 22년 동안 신중하게 복원 작업을 진행한 끝에 완성했는데 일부 전문가들은 “원작의 20%만 ... ...
- 맨틀과 외핵, 둘 다 흐르는데 왜 안 섞이지?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불혼화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그보다 압력이 월등히 높은 맨틀과 외핵 사이에도 불혼화성이 존재하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었다. 연구팀은 맨틀과 외핵의 경계와 비슷한 상태인 약 136GPa(기가파스칼·1GPa은=10억Pa)의 압력과 4000K(섭씨 3726.85도)의 온도에서 맨틀과 외핵의 주성분인 철 ... ...
- 게임이 무슨 죄? 청소년 게임 중독 질병일까, 아닐까과학동아 l2019년 06호
- 게임을 과도하게 즐기는 청소년은 뇌의 뒤쪽에 비해 전두엽 주변부에 위치한 신경세포 사이의 연결이 강화돼, 다소 두꺼워진 양상을 보이는 것을 확인했다. 전두엽은 뇌에서 기억력과 사고력을 담당하는 부위다. 한 교수는 “보통 전두엽은 두께가 2~5mm인데, 우리의 활동에 따라 시시각각 ... ...
- [로보트 재권V] 로봇, 1시간 움직이게 해보자과학동아 l2019년 06호
- 필요하고, 이에 따라 더 많은 전기를 소모해야 합니다. 대용량 배터리와 전기 소모량 사이에서 딜레마에 빠져버리는 것이지요. 그러므로 로봇의 성능을 향상시킬 때 중요한 점은 작고 가벼우면서도 많은 전력을 담을 수 있는 배터리입니다. 최근에는 휴대전화 기술이 발전하면서 배터리 기술도 함께 ... ...
이전1671681691701711721731741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