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이"(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 새로운 인류 조상 ‘호모 루조넨시스’ 발견과학동아 l2019년 05호
- 007년 필리핀 북부 루손섬 칼라오 동굴에서 발허리뼈(발목뼈와 발가락뼈 사이의 발뼈)가 발굴됐다. 이 유골은 사람속에 속하는 것으로 밝혀졌지만, 당시 정확한 종은 특정하지 못했다.그런데 최근 프랑스자연사박물관 연구팀 등 공동연구팀이 필리핀에서 추가로 발견된 유골을 분석해 이 유골이 ... ...
- 라돈침대 1년...국가대표 '라돈헌터' 라돈아이과학동아 l2019년 05호
- 효과를 강조하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라돈아이는 이온 챔버의 바깥벽과 속의 탐침 사이에 전기장을 걸고, 알파 입자가 만든 이온을 탐침으로 측정해 전기 신호를 받는다. 이때 알파 입자가 발생하는 횟수로 방사능의 농도를 유추한다. 알파 입자가 2분에 1번 나오면 1피코큐리(pCi)다. 이온 챔버 ... ...
- 과학은 실험이다_ 김정민 교사과학동아 l2019년 05호
- 국가대표였던 ‘팀킴’처럼 이뤄졌다. 랩걸 부원인 서영은 양은 “모두가 서로 알던 사이는 아니었지만, 각자 친분이 있긴 했다”며 “마음이 맞는 친구를 서로 데려오면서 동아리가 결성됐다”고 말했다. 랩걸의 첫 프로젝트는 ‘분배 크로마토그래피’다. 분배 크로마토그래피는 1952년 노벨 ... ...
- [수동TV] 수프라이즈~수학자들은 24가족?수학동아 l2019년 05호
- 실렸다. 현대 수학자의 65% 이상이 24명의 학자에게서 파생됐다는 내용이었다. 스승-제자 사이를 부모-자식 관계라고 치면 수학자 세계는 24개 가문으로 이뤄졌다는 뜻! 수학자의 조상을 조사하다니 도대체 누가, 그리고 왜 그런 일을 한 걸까? 황당하게 들리는 전세계 수학자 조상 찾기 프로젝트를 ... ...
- 대륙 스케일 자랑하는 중국판 SF '유랑지구'과학동아 l2019년 05호
- 계기가 될 겁니다. 다양성이란 좋은 것이죠. 고호관. 건축과 과학사를 공부했고 동아사이언스에서 과학기자로 일했다. 지금은 SF와 과학에 대한 글을 쓰거나 번역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 , , 등이 있고 최근 달 이야기를 유쾌하게 다룬 책 을 ... ...
- [융복합 파트너] 배터리의 생로병사, 최장 수명 예측한다과학동아 l2019년 05호
- 2017.08.094 이 교수는 “추운 겨울에는 리튬이온의 이동 속도가 느려져 배터리 양쪽 전극 사이의 전압이 당초 설계된 값보다 낮아지면서 스마트폰이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며 “이런 경우에는스마트폰을 손으로 비벼 열을 발생시키면 전압이 순간적으로 회복돼 긴급 통화 정도는 할 수 있다”고 ... ...
- 주기율표, 누가 만들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5호
- 규칙을 찾아라!화학이라는 학문이 만들어지던 18세기 초부터 화학자들은 원소들 사이의 규칙을 찾으려 했어요. 원소에 규칙이 있다면 기존의 원소들을 정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견되지 않은 새 원소를 예측하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될 테니깐요. 처음으로 원소의 규칙을 찾아낸 사람은 독일의 ... ...
- [실전! 반려동물] 금붕어가 삐딱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염증을 가라앉힌다고 추측하고 있지요.완두콩 치료법은 간단해요. 수온을 24℃에서 27℃ 사이로 맞춰 준 후, 매일 간 완두콩을 약간씩 금붕어에게 주세요. 이때 물에 뜨는 플레이크 사료는 끊어야 해요. 완두콩으로도 차도가 없다면 3~4일 정도 굶겨 보세요. 그래도 증세가 점점 더 심해진다면 ... ...
- 케플러-47 행성계에서 세 번째 행성 발견과학동아 l2019년 05호
- 확인됐다. 제롬 오로스 미국 샌디에이고주립대 천문학과 교수팀이 케플러-47의 두 행성 사이에서 중심 항성을 공전하고 있는 세 번째 행성을 발견해 ‘케플러-47d’로 이름 붙였다고 국제학술지 ‘천문학 저널’ 4월 16일자에 발표했다.케플러 행성계의 중심 항성은 약 35억 년 전에 생성된 것으로 ... ...
- [정수론 어벤져스] 편지에 기록된 수학난제수학동아 l2019년 05호
- 골드바흐의 추측은 논문이 아니라 편지에서 처음 언급된 수학 난제입니다. 18세기 러시아 수학자 크리스티안 골드바흐와 스위스 수학자 레온하르트 오일러가 주고받은 편지에 적힌 내용이었죠. 편지가 남아 있지 않았다면 둘 사이의 이야기로만 남을 수도 있었습니다. ...
이전1701711721731741751761771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