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초"(으)로 총 5,853건 검색되었습니다.
- 청개구리가 비만 오면 노래하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하는 참개구리의 모습.1년 동안 조사해 보니, 북방산개구리는 주로 2월 말에서 3월 초에 활동했어요. 반면 청개구리와 참개구리는 주로 4월에 출현하여 7월까지 노래를 불렀지요. 노래를 하는 동물 대부분이 그렇듯이 북방산개구리와 참개구리는 주로 온도와 습도에 따라 다르게 노래했어요.하지만 ... ...
- [수학뉴스] 한국 2015 국제수학올림피아드 종합 3위!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중국에 이은 종합 3위입니다.대단하네요! 내년에도 좋은 성과를 낼 수 있겠지요?지난 5월 초부터 대표단 후보 12명과 수학에 재능이 있는 학생 십여 명이 주말마다 모여 수학을 공부하고 있습니다. 내년 국제수학올림피아드도 기대되는 이유입니다. 먼 나라에서 수학 강국의 면모를 가감없이 보여준 ... ...
- 우주 탐사, 제2의 지구를 찾아서수학동아 l2015년 08호
- 궤도를 고안한 건 최소한의 에너지로 우주선을 가능한 한 멀리 보내기 위해서다.197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우주선의 자체 추진력만 활용했기 때문에 목성보다 멀리 있는 행성은 탐사할 수 없었다. 하지만 1977년 발사된 보이저 1호는 행성의 중력을 이용해 추진력을 얻는 ‘스윙바이(중력보조)’로 ... ...
- PART2. 무서운 공포영화엔 이런 장면 꼭 있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한 곳을 응시)을 번갈아 보여주며 뇌파를 측정했다. 실험은 100초의 영상(전조 영상 30초와 아무것도 나오지 않는 영상 20초, 귀신이 등장하는 30초, 아무것도 나오지 않는 영상 20초)을 6번 반복해서 보여주는 식으로 진행됐다. 전조 장면을 중성 자극(삽입된 전조 장면은 주인공이 한 곳을 ...
- 중력파 검출, 초읽기 들어가나?과학동아 l2015년 08호
- 개선해 중력가속도와 중력장의 변화를 측정하는 방식이다. 백 교수의 주장에 따르면, 초전도 양자간섭계를 이용하면 중력파의 변화를 기록할 수 있을 정도로 구배측정기를 민감하게 만들 수 있다.소그로는 라이고처럼 클 필요가 없다. 백 교수는 소그로의 규모로 약 10~100m를 제안했는데, 4km에 이르는 ... ...
- 태양계 끝 명왕성과의 만남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조우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탐사선 뉴호라이즌 호가 7월 14일 오전 7시 49분 57초(한국시간 오후 8시 49분 57초), 명왕성 최근접점을 빠르게 지나쳤다고 밝혔다. 2006년 1월 19일 미국 플로리다 주의 케이프커내버럴 공군 기지에서 아틀라스 V-551로켓에 실려 발사된 지 9년 6개월 만이다. 그간 ... ...
- 손목에 차는 구명 밴드 나왔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있다. 비상시 레버를 당기면 카트리지 속 이산화탄소가 급격히 뿜어져 나오면서 단 1초 만에 구명 풍선이 부풀어 오른다. 풍선은 몸무게 124kg까지 견딜 수 있으며, 6세 이상 누구나 착용 가능하다. 이 제품은 현재 개발 금액을 모으기 위해 크라우드펀딩 사이트 ‘인디고고 (Indiegogo)’에 올라와 있다. ... ...
- 공유경제 ‘프로포즈 공식’으로 거듭난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있고 쓰기 편리해야 한다. 차량 공유 서비스가 대표적인 성공 사례다. 이 서비스는 초기에 주차장이 부족하고 차를 빌린 곳으로 다시 반납해야 하는 등 불편이 많아 소비자들에게 외면 받았다. 지금은 사용자 수가 폭발적으로 늘었는데, 차를 빌리지 않은 곳에 반납할 수 있는 편도서비스 등 고객의 ... ...
- 반사경이 반짝반짝! 표준연구원 우주광학센터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반사경의 지름이 약 1m로, 생각보다 훨씬 컸거든요.“이 반사경과 우리나라 위성 최초로 단 고성능 적외선 센서 덕분에 아리랑 3A호는 한밤중에도 지구를 관측할 수 있답니다. 반사경을 만드는 기술을 갖추게 되면서 비로소 우리나라에서 위성을 완전하게 만들 수 있게 됐지요.”*주경 : ... ...
- Part 1 번개에 대한 진실 BEST 3수학동아 l2015년 07호
- 하늘로 솟구치는 현상이다. 전자가 내려오고 되돌이 뇌격이 일어나는 데는 단 1000분의 1초가 걸린다. 따라서 우리 눈에는 번개가 하늘에서 땅으로 내리 꽂히는 것으로 보인다.전하★ 물체가 띠고 있는 정전기의 양. 양전하와 음전하가 있다. 전하가 이동하는 것을 전류라고 한다. 진실 2 번개는 ... ...
이전1671681691701711721731741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