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초"(으)로 총 5,853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를 향해 크게, 더 크게! 거대망원경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큰 ‘플라스틱 원반’도 있어요. 미국 콜로레도대학교 연구팀과 NASA가 공동으로 만드는 초대형 우주망원경 ‘아라고 (Aragoscope)’가 그 주인공이지요. 아라고는 지난해 6월 NASA가 상상 속의 기술을 현실에 구현하기 위해 연 아이디어 대회 ‘NIAC’에서 선발된 신개념 우주망원경이에요.아라고에서는 ... ...
- [지식] 무엇이든 붙여 드립니다~!수학동아 l2015년 06호
- 10’이라는 이름을 붙여 제품으로 출시했다. 사용하는 사람이 1부터 초를 세기 시작해, 10초면 모든 것이 달라붙어서 붙은 이름이다. 결과는 대성공이었다. 떨어진 컵 손잡이도, 밑창이 떨어진 구두도 이 접착제만 있으면 10초 안에 원래의 모습으로 돌아왔다.이렇게 탄생한 접착제는 화석을 발견하는 ... ...
- 엄마도 깜짝 놀란 채소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되고 싶다면 우주로 떠나라~!”우주여행 하면 슈퍼 채소 된다?2006년 9월, 중국에서 세계 최초로 우주 육종 연구만을 위한 인공위성인 스젠 8호가 발사됐어요. 우주 육종이란, 종자나 식물을 우주로 보내 돌연변이 품종을 만드는 것을 말해요. 식량난을 해결하기 위해 커다란 채소를 만들거나, 다양한 ... ...
- 아이돌 매니저의 스타 만들기수학동아 l2015년 06호
- 따라 골라서 쓴다.듣기 좋은 음의 발견피타고라스음계 (‘도-레-미-파-솔-라-시-도’의 시초)방법 : 5도 관계인 음은 진동수의 비가 2:3이고, 진동수가 2배가 되면 계이름이 같고 한 옥타브 높은 음이 된다.(솔의 진동수)=(도의 진동수)×3/2 (높은 레의 진동수)=(솔의 진동수)×3/2이런 방식으로 ... ...
- 달에서 씽씽 달려라~! 한국형 달 탐사 로버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주고받을 수 있지요.”달에 있는 로버가 보낸 통신을 지구에서 받는 데 걸리는 시간은 3초. 그러니까 우리가 보는 영상은 로버가 3초 전에 찍은 영상이 될 거예요. 7분이 걸리는 화성에 비하면 로버의 주변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셈이지요. 그래서 로버는 자동운전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 ... ...
- PART2. 현실 닮아가는 가상현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콘서트에 놀러갔을 때 소리진동을 가슴으로 느낄 수 있는 것과 같은 원리”라며 “40kHz 초음파는 눈에 보이지 않고 소리도 없지만 손바닥에 촉감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5. 가상과 현실에서 함께 달린다가상움직임 장비는 옴니 트레드밀(Omni-Treadmill)이 선두다. 현재 사전주문을 받는 단계다. ... ...
- 그 여자, 그 남자의 사정 [1]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쥐들도 향 나는 먹이가 있는 차단막 앞에서 기다리더래요. 근데 기다리는 시간이 25초를 넘어서니까 포기하고 돌아서서 별로 안 좋아하는 먹이를 먹었는데, 뇌를 촬영하니 후회할 때 활동하는 '안와전두엽 피질'이 활성화 됐다더군요. 재미있지 않아요?"메뉴판 속 스윗스팟은 없다?어색함을 줄이기 ... ...
- 동아사이언스 기자단 기자교육 드디어 밝혀진 섭섭박사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많은 친구들이 머리를 모아 고민 해결!이번 기자 교육에 참가한 금예원 기자(서울 미래초 5)는 “모르는 것이 많은 내가 이번 기자교육을 통해 많이 발전 했던 것 같다”며 “앞으로도 포기하지 않고 내 꿈인 기자를 향해 달리고 또 달리면 언젠가는 기자가 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어.앞으로도 ... ...
- PART2. 지진과 빅데이터 - 빅데이터로 경보하고 대피한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4월 10일자에 실렸다. 연구를 진행한 사라 민슨 박사는 “스마트폰 GPS 지진 경보 시스템은 초기에 네 트워크 설치비용이 거의 들지 않는다”며 “스마트폰에 어플리케이션을 깔게 하는 것만으로 인구 5000명 정 도의 도시를 충분히 커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물 론 한계는 있다. 현재로선 규모가 7.0 ... ...
- 바야흐로 생체 인증의 시대!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염려도 없어, 이를 암호로 사용하려는 시도는 예전부터 있었다. 우리나라에서는 2000년대 초 우리은행이 처음으로 ATM기기에 지문인식 기술을 도입했다. 하지만 단말기 보급이 부족하고 바이오인식 기술의 정확성이 떨어져서 널리 보급되지 못했다. 이후 기술이 발전하며 이 문제는 자연스레 ... ...
이전1691701711721731741751761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