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자"(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시체부패는 ‘2차 방정식’을 따른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score, TBS)’라는 개념이 나오기도 했다. 현재 필자와 같은 연구소에서 근무하는 법의인류학자인 메리 메기에시 박사는 2005년, 당시로선 획기적인 논문 한 편을 발표했다. 머리와 몸통, 사지의 부패 정도를 기준으로 3~35점까지의 종합신체점수를 계산한 뒤 누적온도일과의 관계를 방정식으로 정리한 ... ...
- [Tech & Fun] ‘고독한 미식가’, 독될까 득될까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있다는 얘기다.이는 혼밥혼술족의 절대적인 수가 늘어난 덕이 크다. 일본의 범죄심리학자 무기시마 후미오는 사회적 일탈자에 대해 ‘퍼센트의 벽’이라는 개념을 제시했다(범죄학논집, 1979, 32(6), 57-76). 어떤 드문 행동을 보이는 사람이 전체 구성원의 1% 미만일 때 그 사람은 전적으로 ‘별종의 ... ...
- Part 1. 60배씩 커지는 단위의 정체수학동아 l2016년 05호
- 대부분이다.왜 바빌로니아인은 복잡한 60진법을 사용했을까? 확실히 밝혀진 이유는 없다. 학자들은 여러 가지 추측만 내놓을 뿐이다. 60의 인수★가 많아 셈하기가 편했을 것이라는 추측이 있고, 당시 1년을 360일로 두었다는 점에서 60을 사용했다는 추측도 있다.[인수★ 어떤 정수를 나눌 수 있는 수. ... ...
- [지식] 인터뷰_최수영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5호
- 그 접점을 찾은 거죠. 그렇게 엄상일 교수님과 합심해 관련 논문을 발표했답니다.수학자로서 앞으로 목표가 있다면 무엇인가요?‘실원환체 공간’이라는 분야에 대해 더 많이 알고 싶어요. 너무 어려워서 사람들이 연구를 많이 하지 않았는데, 이 분야에서 선구적인 연구를 하는 것이 가장 큰 ... ...
- [과학뉴스] 스티븐 호킹의 ‘인터스텔라’ 계획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이 러시아의 IT 재벌 유리 밀너, 페이스북 최고경영자(CEO) 마크 저커버그 등과 함께 태양계 밖 탐사를 추진한다. 호킹 박사는 미국 뉴욕에서 현지시간으로 4월 12일에 열린 기자회견에 참석해 “세상에서 가장 가벼운 우주선을 만들어 한 세대(30년) 내에 탐사를 시작할 것”이라고 ... ...
- Part 1. 최소유전자로 디자인 생물학 문 열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짧은 시간 안에 저렴한 가격으로 유전자를 합성하는 시대도 곧 올 것”이라고 말했다.과학자도 탐내는 생명체이 기술들의 합심으로 만들어진 Syn3.0이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는 건, 처음으로 한 생명체의 게놈을 처음부터 끝까지 설계한 사례기 때문이다. 합성생물학이 처음 등장한 2000년대 초반부터 ... ...
- [Knowledge] 과학인가 사기인가 과학 데이터와 통계 논란(下)과학동아 l2016년 05호
- 과학 분야에 ‘재현성 논쟁’이 뜨겁다. 과학 전반의 신뢰성을 떨어뜨릴 수 있는 문제로 결코 쉽게 볼 일이 아니다.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최근 특히 통계 기법 ... 보여줄 수 있는 절호의 기회이기도 하다. 과학의 건전성을 스스로 증명하기 위해, 과학자들은 오늘도 노력하고 있다 ... ...
- [Tech & Fun] 막스플랑크 화학생태학연구소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살아있는 예나독일은 오랫동안 예나에 과학 투자를 해왔습니다. 동독 시절에는 북한 과학자들이 예나에 와서 유학을 많이들 했다고 해요. 통일이후에 본격적으로 발전하면서 막스플랑크연구소가 생기고 칼 자이스 같은 세계적인 광학기계 회사도 발전했고요. 주민들도 대부분 연구원이나 ... ...
- [INFO] 새 책_배경으로 숨어버린 것들에 대한 애정과학동아 l2016년 05호
- 가질 수 있는 의문과 한번쯤 들어본 소문을 과학적으로 분석한다. 중국인 물리학자가 쓴 ‘이공계의 뇌로 산다’는 좀 더 노골적이다. 근거 없는 상식과 비논리로 가득 찬 세상을 하나하나 물고 뜯고 씹는다. 기자도 뜨끔할 정도. 취향에 따라 골라 읽어보자. 세계를 바라보는 새로운 눈으로써의 ... ...
- PART 2. 호기심에서 재미찾다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수학자를 꿈꿨을 것 같은데…, 어땠나요?고등학교 3학년 때까지 꿈이 수학자 아니면 과학자였어요. 그런데 현실을 바라보는 시각이 생기면서 치과대학에 진학했지요. 아마 조금만 더 용기가 있었더라면 원래의 꿈을 밀고 나갔을 것 같아요. 그러면 지금과는 전혀 다른 삶을 살고 있겠지요?수학이 ... ...
이전1671681691701711721731741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