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자"(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고양이의, 고양이에 의한, 고양이를 위한 나라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있습니다.주인 덕분에 물리학자가 된 고양이도 있습니다. 1975년 미국 미시간대의 물리학자 잭 헤더링턴은 저온 물리학에 대한 논문을 써서 ‘피직스 리뷰 레터스’라는 유명 학술지에 기고했습니다. 하지만 논문을 읽은 담당자가 논문 곳곳에 문장의 주어로 쓴 ‘We(우리)’를 ‘I(나)’로 고쳐야 ... ...
- Part 4. 눈 폭풍 비밀 풀면 태양이 뜬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JET에서 연구를 하는 한국 과학자가 저뿐이었지만, 이번 DT 실험에는 많은 한국인 과학자들이 꼭 참여했으면 좋겠습니다. 미래에 ITER 실험에 참가할 때 좋은 경험이 될 테니까요. 기회가 된다면 한국과 유로퓨전 간의 협력연구를 추진하고 싶습니다.Q 다양한 핵융합 플라스마 연구의 최종 목표는 ... ...
- [과학뉴스] ‘슈퍼 화산’ 옐로스톤 탄생의 비밀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중부의 옐로스톤 화산은 규모로 보나 폭발위력으로 보나 ‘슈퍼 화산’이다. 지질학자들은 오랫동안 옐로스톤 화산이 1600만 년 전 거대한 암석 덩어리가 맨틀 밖으로 솟아올라 만들어졌다고 추정해왔다. 이에 대해 미국 일리노이대 린주 리우 교수팀은 맨틀에서 암석이 한 번에 올라오는 것은 ... ...
- [News & Issue] 아홉 번째 행성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명왕성보다 조금 작은 왜행성 ‘세드나’가 발견됐다. 세드나는 발견 초기부터 천문학자들의 주목을 받았다. 궤도가 매우 독특했기 때문이다. 세드나의 궤도는 근일점(태양과 가장 가까워지는 지점)이 76AU(1AU는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 장반경(타원에서 긴 축의 절반)이 480AU로 매우 긴 타원형을 ... ...
- [Knowledge] 직립보행의 선구자 원시 악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분류군 이름은 ‘가짜 악어’라는 뜻이다.이 이름에는 사연이 있다. 1887년 독일의 고생물학자 칼 알프레드 폰 치텔은 악어처럼 생긴 화석파충류들을 한 분류군으로 묶었는데, 당시 그는 이 파충류들이 오늘날의 악어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이들에게 그리스어로 ... ...
- [Tech & Fun] 박승휴 망해라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사람 수준을 차차 넘어 서게 되었다. 모짜렐라 정리를 완성하지 못하고 결국 사망한 수학자의 뇌를 나에게 연결시킨 후에, 내가 완성해 발표한 일은 결정적인 전환점이었다. 보통 사람이 할 수 없는 일을 연결된 뇌 덩어리인 내가 한 사건이었다. 내가 더 많은 역할을 해 주기를 바라는 기대도 컸다. ... ...
- 새와 공룡 너무나 닮은 우리 사이수학동아 l2016년 03호
- 고생물학계에서는 거의 정설이 됐지만 새의 조상이 공룡일 리 없다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까지 연구 결과만 봐도 새와 공룡은 공통점이 참 많은 것 같습니다. 새와 공룡 사이에 대한 다음 증거는 무엇이며, 그때 수학은 어떤 역할을 하게 될까요 ... ...
- [재미] 개는 늑대의 후손?!수학동아 l2016년 03호
- 했어요. 그래서 개가 사람에게 길들여지는 쪽을 택해 오래 살아남았다는 주장입니다.과학자들은 지금처럼 개가 품종이 다양해진 건 사람들이 필요로 하거나 기호에 따라 개량시켰기 때문으로 보고 있어요. 맹인을 안내하는 개, 마약을 찾는 개, 사냥을 돕는 개처럼 특정 역할을 담당하는 품종이 ... ...
- [쇼킹 사이언스] 얼음 호수 속에서 기체가 방울방울~!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안에 갇힌 유기물이 썩으며 나오는 메탄이 함께 수면으로 올라오고 있답니다. 몇몇 환경학자들은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 걸 걱정하기도 해요.미국 알래스카대 케이티 월터 안소니 교수는 “이제 냉동고의 문이 열린 셈”이라며, 극지 호수에서 강력한 온실가스인 메탄이 많이 방출되는 것을 ... ...
- [Knowledge] 대의를 위한 희생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오가던 생물학계는 1962년에 이르러 커다란 분수령을 맞게 된다. 스코틀랜드의 어느 조류학자가 집단 선택설을 왕좌에 올리는 653쪽짜리 대작을 출간한 것이다. 대작답게(?) 저자 이름도 길고 제목도 길었다. 베로 콥너 윈-에드워즈가 쓴 ‘사회적 행동에 관한 동물 분포’였다.윈-에드워즈는 어느 섬의 ... ...
이전1711721731741751761771781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