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즉시
당장에
바로
직접
d라이브러리
"
곧
"(으)로 총 3,232건 검색되었습니다.
4 광촉매로 에너지 추가 없이 수소 생산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수소와 산소가 발생되는 현상을 발견했다. 이 성과는 1972년 ‘네이처’에 발표됐으며
곧
전세계의 과학자로부터 주목을 받았다.비록 혼다와 후지시마 박사의 실험에서 발생한 수소의 양은 매우 적었지만, 그동안 꿈으로만 여겨졌던 ‘물+햇빛+광촉매=에너지’를 세계 최초로 성공시킨 논문이었기 ... ...
목숨 걸고 경고음 내는 땅다람쥐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포식자가 주위에 나타나면 경고음을 내곤 하죠. 이 경고음을 듣고 다른 땅다람쥐들은
곧
피신하지만 정작 경고음을 낸 자신은 포식자의 표적이 되기 쉽습니다.그렇다면 어떻게 이런 이타적 행동이 진화했을까요? 코넬대의 행동생태학자 셔먼 교수는 이런 경고음이 ‘친척들’을 위험에 잘 ... ...
2 미생물을 이용해 생산하는 21세기 청정연료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수소를 잘 만들다가 명반응이 진행돼 산소 농도가 높아지면 산소의 방해를 받아
곧
작용을 멈춰 버린다. 현재는 이런 저해 작용을 극복하기 위해 명반응에서 발생되는 산소를 제거하는 방법과 산소에 민감하지 않은 수소생성효소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수소생성 미생물을 이용한 두번째 방법은 ... ...
손해보기 거부하는 원숭이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포도를 줬다. 서로 보고 들을 수 있도록 인접한 우리 속에 갇힌 원숭이는 이 모습을 보고
곧
화를 냈다. 일부 원숭이는 토큰 지불하기를 거부했고, 일부는 지불하기는 했지만 오이 먹기를 노골적으로 거부했다.브로스넌 교수는 “공평하지 못한 보상이 주어지는 것에 부정적인 행동을 보이는 것은 ... ...
박테리아가 만든 황제의 상징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간 보관했습니다. 여기에 양모를 집어넣었더니 처음엔 초록색을 띠다가 햇빛에 말리자
곧
자주색으로 변했다고 합니다.에드몬드는 지난 9월 초 영국 멘체스터대학에서 개최된 사이언스 페스티벌에서 고대 자주색 염색법을 재현했을 뿐 아니라 영국 레딩대 필립 존 박사와 함께 밝힌 염색 메커니즘도 ... ...
동물실험으로 독살 판정한 선조들의 지혜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경우, 죽기 전에 불을 피해 도망치다가 입을 벌려 재와 그을음이 들어갔을 것이므로,
곧
입과 코 안에 검은 재와 그을음이 있는지 없는지 살핀다. 있다면 생전에 불에 타 죽은 것이요, 없다면 그렇지 않은 것이다.-화재 현장에서 발견된 주검이 화재 당시에 생존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일은 ... ...
산모 음식이 자식 유전자의 기능 바꾼다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아기가 태어나듯이 말이다. 하지만 실험의 좀더 상세한 조건을 알고 나면 이런 의문은
곧
사라진다.저틀 교수가 실험에서 사용한 새끼 쥐는 사실 보통 쥐가 아니다. 이들은 모두 ‘아구티’라는 유전자를 갖도록 특별히 설계된 모델쥐였다. 아구티 유전자는 쥐의 털 색깔을 노란색으로 만드는 기능을 ... ...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모래사막 해안사구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해안사구 식물들은 뿌리가 잘 발달돼 있다. 모래로 구성된 해안사구에서는 비가 와도
곧
물이 빠진다. 사구의 저지대는 지하수면과 가깝지만 30여m 가까이 성장한 이차사구의 정상부는 지하수면과 멀리 떨어져 있다. 따라서 사구지대에 사는 식물이 지하수를 이용하려면 뿌리가 길어야 한다. 또는 ... ...
3 21세기 미라 냉동인간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것이다.이러한 냉동보존의 결과는 가령 콩팥이나 배아의 연구를 통해 확인된 것이므로
곧
바로 뇌에 적용될 수는 없다. 뇌를 냉동했을 때 각 부위의 세포와 조직에 대해 그 구조와 기능이 보존되는 상태를 면밀히 검토해야 하기 때문이다. 물론 아직까지 뇌의 모든 부위에 대해 그러한 연구가 이뤄진 ... ...
우주에서 벌어지는 기상천외한 실험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그러면 더 많은 수소, 산소와 접촉해 불꽃이 커지면서 순식간에 연료를 다 써버리고
곧
꺼질 것이다. 반면 무중력에서는 대류보다 기체의 이동이 훨씬 늦은 확산만 일어나기 때문에 불꽃이 오래간다. 중력에서는 짧고 굵게 살고 무중력에서는 길고 얇게 사는 셈이다.연소에 대한 이해가 더딘 이유는 ... ...
이전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