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 호랑이 찾아 지구 13바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7호
- 보호 구역을 설치하는 것, 셋째는 호랑이 보호구역 안에 살던 사람들이 정착지를 다른 곳으로 옮길 수 있게 지원하는 것입니다. Q호랑이 보호를 위해 어린이들에게 부탁하고 싶은 것이 있다면?어린이는 어른이 남긴 유산을 바탕으로 지구의 미래를 이끌어 갈 겁니다. 저는 어린이들이 지구의 생명을 ... ...
-
- [탐험대학] 하루종일 탐험, 우리는 우주로 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7호
- 신동윤 멘토님의 설명을 듣고 학생들은 카이스트로 이동했어요. 이곳에서 위성 팀과 로켓 팀으로 나뉘어 각각 미션에 도전했지요. 먼저 로켓 팀은 다양한 형태의 노즈콘(로켓 맨 앞의 뾰족한 부분)과 꼬리날개, 로켓 몸체 등의 재료를 활용해 로켓을 만들었어요. “로켓은 과산화수소를 연료로 ... ...
-
- [현장취재] 지구사랑탐사대, 백두대간에서 생물의 흔적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7호
- 후각으로 먹이를 찾기 때문에 이렇게 밤새 땅을 헤집어 놓지요.” 멧돼지 흔적은 길 곳곳에서 관찰됐지만 다행스럽게도 실제로 멧돼지를 만나진 않았어요. 대원들은 멧돼지가 출몰하는 길목과 먹이터에 트랩 카메라를 설치해 두고 하루 더 기다려 보기로 했지요. 이어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정금선 ... ...
-
- [Go!Go!학자] 고고학자들도 속아 넘어간 희대의 사기극?!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6호
- 방식으로 사람들을 속여온 것이죠. 조사 결과, 후지무라 신이치는 약 20년 동안 무려 162곳의 구석기 유적을 날조했다는 사실이 드러났어요. 일본은 발칵 뒤집혔지요. 왜 어떤 학자들은 거짓말을 할까?명예와 부를 얻고 싶어서, 다른 사람의 주목을 얻고 싶어서, 혹은 자신의 믿음 때문에, 사람들은 ... ...
-
- [섭섭박사 실험실] 과즙이 팡팡! 열대과일 파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6호
- 때문이랍니다. 물질 속에는 (-)전하를 띠는 ‘전자’들이 분포하고 있는데, 전자가 한곳에 몰려 있으면 그 부분은 (-)전하, 다른 한쪽은 (+)전하를 띠어 ‘극성 물질’이 된답니다. 반면, 전자가 고르게 분포하면 극성을 띠지 않는 무극성 물질이 되죠. 무극성 물질은 무극성 물질을 잘 녹이는데, 풍선의 ... ...
-
- [통합과학교과서] 부자가 된 흥부의 의뢰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6호
- 빠져나가지요. 기체들은 온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농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퍼지는 성질이 있거든요. 이 과정을 4~5번 반복하면 유해 물질을 집에서 내보내고 새집증후군을 피할 수 있답니다. 비상! 초등학교 과학실에서 포르말린이 유출되다!7월 25일 오전 10시 ... ...
-
- 집안 해충 잘 죽지도 않아!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6호
- 곤충학과의 마이클 샤프 교수 연구팀은 6개월 동안 바퀴벌레를 없애는 실험을 했어요. 3곳의 아파트에서 여러 살충제를 각각 다른 방식으로 섞어서 사용했지요. 그 결과 한 종류를 제외한 모든 살충제가 바퀴벌레를 잡지 못했어요. 심지어 세 가지 살충제를 돌아가며 써도 죽지 않았지요. 바퀴벌레는 ... ...
-
- 비자림로 확장 논쟁 2 삼나무 토양 산성화?! VS 생명의 보고!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6호
- 전했어요. 시민모임의 김순애 녹색당원은 “제주도는 천혜의 자연을 간직하고 있는 곳인데, 그 자연이 당연하고 영원할 것이라고 생각하면 안 된다”고 말했어요. 이어 “유네스코에서 제주 전 지역을 생태적 가치가 큰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한 만큼 제주도는 그에 맞게 정책도 바꿔야 ... ...
-
- 벌레로 벌레를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6호
- 협력하여 단원구에서 모기가 많이 나타나는 장소 중 잔물땡땡이가 살기에 적합한 곳을 찾았어요. 잔물땡땡이는 흙을 파고 들어가 번데기가 돼요. 성충은 초식성으로 수초를 먹지요. 즉, 잔물땡땡이가 살려면 흙과 함께 수초가 자라고 있어야 하는 거예요. 모기방제 연구단의 과학자들은 이 조건에 ... ...
-
- [식물 속 동물 찾기] 까치가 좋아하는 음식은? 까치밥나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6호
- ‘까치밥’이라고 불러요. 동물을 배려하는 조상들의 마음이 엿보이는 말이지요.산 높은 곳에도 까치밥이 있어요. 바로 지리산과 북부지방의 고산지대에 주로 사는 ‘까치밥나무’예요. 까치와 같은 새들이 까치밥나무의 열매를 좋아해서 이런 이름을 갖게 됐지요. 앵두와 비슷하게 생긴 열매는 ... ...
이전1681691701711721731741751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