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식물 속 동물 찾기] 줄기가 뱀처럼 자라는 '뱀딸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논밭과 숲, 들판의 양지바른 곳에 가면 도톰하고 둥근 빨간색 열매를 볼 수 있어요. 바로 ‘뱀딸기’지요. 뱀딸기는 산에 가면 흔히 보이는 산딸기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산딸기가 나무인 것과 달리 뱀딸기는 풀이에요. 또 산딸기가 꽃줄기마다 2~6개의 흰색 꽃을 피우는 반면, 뱀딸기는 꽃줄기마다 ... ...
- [과학뉴스] 틀린 그림 찾기? 다른 유전자 찾기!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인 제네틱스’ 11월 8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중국 내륙 칭하이 호수 한 곳과 최남담 하이난섬부터 북부 탕산시까지 해안을 따라 이동하며 물떼새 22마리의 근육과 혈액 시료를 채취해 유전자를 분석했다. 연구팀은 특히 북쪽에 서식하는 흰물떼새와 남쪽의 흰얼굴물떼새의 유전체를 ... ...
- 2019 과학기술 10대 뉴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영상을 통해서 1959년 처음 그 모습이 공개된 이후 다시는 인류의 손길이 미치지 못한 곳이었습니다. 달의 자전주기와 공전주기가 27.3일로 같아 지구에서는 항상 달의 앞면만 보이고, 달 뒷면에 탐사선을 보내면 지구와 직접 교신을 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중국은 통신 중계를 위해 오작교라는 뜻의 ... ...
- 실전 상황! 꽉 막힌 도심에서 파티장에 도달하라!수학동아 l2019년 12호
- 피하도록 간선 버스 노선을 짜는데, 심야는 승객의 시간 민감도가 높지 않고 주로 번화한 곳에 사람들이 모여있기 때문이다. 당시 통신회사 KT에서 일하던 김이식 대표는 늦은 밤 귀가하는 사람들이 주로 집에 안부 전화를 거느라 통화량이 증가한다는 사실을 깨닫고 심야 시간 대 통화량이 몰리는 ... ...
- 괭이갈매기 알로 어떤 연구를 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것이라고 추측했지만 지금 와서 보니 불법 채취를 당한 후 새로 낳은 알이라서 다른 곳보다 작을 가능성도 있어서요. 같은 부모일 때 나중에 태어난 알의 크기가 더 작거든요. 태안해경에서 받은 알과 올해 저희가 난도에서 잰 알의 크기를 비교해서 확인하려고요. 또 야외에선 정확히 구별할 수 ... ...
- 150만 년 전 지구의 기록 빙하코어에서 찾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원인과 해결방안을 마련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선도하는 곳은 유럽이다.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영국 등 유럽 국가들이 참여하는 ‘Beyond EPICA’ 프로젝트가 2016년 시작됐고, 마침내 올해 6월부터 남극에서 빙하코어 시추를 시작했다. 국제학술지 ‘네이처’와 ... ...
- 2020년 전망, 어떤 과학 이슈가 주목 받을까?과학동아 l2019년 12호
- UK National Quantum Technologies Programme)’을 시작한 영국 정부는 양자기술허브 4곳을 지정해 2024년까지 대규모 연구비를 지원하기로 했으며, 국립양자컴퓨팅센터에도 3500만 파운드(약 582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양자기술 연구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 ...
-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1단 조립완료, 시행착오 1000번 혹독한 지상 검증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극저온이나 극고온 상태, 또는 일정한 온도를 유지해야 하는 시스템의 경우 아주 사소한 곳에서 민감한 문제가 종종 발생한다. 나로호는 영하 196도에 이르는 액체질소, 영하 183도에 이르는 액체산소를 사용하기 때문에 극저온에 대한 대비가 중요했다. 이러한 물질들이 길이가 100m가 넘는 배관을 ... ...
- 영웅의 탄생! 우리 손으로 그리는 빅데이터 도시의 미래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영상도 올라올 것”이라며 관심만 있으면 누구나 쉽게 빅데이터를 즐길 수 있는 곳으로 만들 거라 강조했어요. 평범한 중학생 수동이 빅데이터 히어로로 거듭났듯, 여러분도 누구나 빅데이터로 세상을 바꿀 수 있어요. 바로 지금, 주위를 한번 둘러보세요. 바꾸고 싶은 점을 찾았나요? 그러면 얼른 ... ...
- [수학미술관] 매듭의 마술사 김윤철수학동아 l2019년 12호
- 것이 있죠? 너무 흔해서 특별하다고 생각하지 못했던 ‘매듭’입니다. 눈을 돌리는 곳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매듭은 사실 굉장히 수학적인 존재랍니다. 수학 연구의 큰 축을 담당하고 있는데다, 기하학적으로 아름다운 구조물이기 때문인데요, 이렇게 아름다운 매듭의 매력을 최대로 끌어올린 ... ...
이전1721731741751761771781791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