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노트르담 지킴이, 소방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샤크 로보틱스에서 개발한 소방 로봇 ‘콜로서스’였지요. 콜로서스는 약 300m 떨어진 곳에서도 조이스틱으로 조종할 수 있고, 250m 앞까지 세게 물을 내뿜을 수 있어요. 1분에 약 2500L의 물을 뿜어낼 수 있지요. 또 물과 불에 강한 소재로 만들어져 화재 현장에 고인 물이 있거나 뜨거운 열기가 있어도 ... ...
- [실전!반려동물] 우리 새가 달라졌어요 : 편식 편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받지 않도록 조심하세요.새장을 구입했다면 안에 횃대가 설치돼 있을 거예요. 앉아 쉴 곳이 있어야 하므로 꼭 필요한 것은 맞지만, 잘못하면 횃대로 인해 발톱과 피부가 상할 수 있어요. 플라스틱 재질은 너무 무르고, 나무 횃대라도 지름이 작으면 안 돼요. 단단한 과일 나무의 가지가 가장 ... ...
- 세포 15개면 잡아낸다 0.1ng의 과학, DNA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상피세포가 새로운 증거물로 주목받고 있다. 모자, 양말, 의류 등 피부와 접촉한 모든 곳에서 피부세포를 채취할 수 있으며, 이 중 DNA 프로필을 얻을 수 있는 성공률 또한 30% 이상으로 높은 편이다. 보통 기사에서 땀이라고 표현하는 증거물은 실제로는 피부에서 떨어져 나온 피부세포를 의미한다 ... ...
- [화보] 생태연구자 봄을 봄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도롱뇽의 서식지를 찾아다니고 있답니다. 올 봄에는 우리나라 전체 서식지 중 총 50곳을 위도별로 골고루 골라 찾아갔지요. 누구보다 먼저 보려고 서둘렀기 때문에, 어쩌면 이 친구들이 겨울잠에서 깨어나자마자 본 사람이 저일지도 몰라요! 어쩌다 마주친, 파충류와 여러 동물들도마뱀과 ... ...
- [과학뉴스] 초소형 벌새 로봇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벌새는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빠르게 날갯짓을 하며 민첩하게 비행해요. 최근 미국 퍼듀대학교 신얀 덩교수가 이끄는 바이로로보틱스 연구팀은 생김새 ... 물체와 접촉하면서 공간을 파악하기 때문에 재난 현장과 같이 지도가 없고 어두운 곳에서 활약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어요 ... ...
- 노트르담 지킴이, 앤드루 탤런 교수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그 동안 노트르담 대성당을 지켜온 우리 가고일들이 봐도 정말 든든한걸? 처음 이곳에 살게된 때보다 훨씬 과학기술이 발전하면서 성당을 지키는 방법도 많이 바뀌었다는 게 느껴져. 앞으로 노트르담 대성당은 또 어떻게 바뀔까? 노트르담 대성당 이 복원될 모습에도 꾸준히 관심을 가져줘~ ... ...
- 처음부터 특별할 필요 없어요. 꾸준히 도전한다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안전화 사이즈가 240mm 미만으로는 나오지 않던 시절, 그는 225mm의 작은 발로 전국 100여 곳의 가스 공급관리소 현장을 누볐다. 50m 높이의 천연가스(LNG) 저장탱크를 기어오르며 직접 설비를 점검했다. 이후 원전에서 수행하는 정량적 안전성평가기법을 가스공사의 설비에 도입해 사고 위험성을 사전에 ... ...
- 좌충우돌 보드게임 제작기수학동아 l2019년 11호
- 전하며 살았다. 그러다 2018년 겨울, 돌연 새로운 일을 벌이기 시작했다. 여전히 기회 닿는 곳마다 글을 쓰며, ‘수학 문화’를 널리 알리고 있지만, 수학 전문기자 경력을 뒤로한 채, 전직 기자, 수학전문 에디터, 작가, 보드게임 개발자, 스타트업 OhY LAB.의 공동대표이자 직원, 두 아이의 엄마로 살고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왜 나만 고양이 없어? 고양이를 만들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할 수 있기 때문이랍니다. 높은 산에서는 면이 빨리 익지 않아 불어버려요. 이는 높은 곳으로 올라갈수록 공기가 희박해 기압이 낮아지 \기 때문이에요. 액체 상태의 물 분자는 뜨거워지면 기체 분자로 변하며 하나, 둘 공기 중으로 나가요. 이때 수증 기의 압력이 수증기를 누르던 기압을 이겨낼 ... ...
- [과학뉴스] 구부리고 늘리고 비틀어도 되는 전극과학동아 l2019년 10호
- 국지화는 기판에 원하는 패턴을 새긴 뒤 액체 전도성 고분자를 기판에 적셔 패턴을 새긴 곳에만 전도성 고분자를 입히는 방식이다.연구팀은 실리콘의 일종인 폴리디메틸실록산 소재에 방향성 젖음 국지화 기술을 적용해 신축성이 있는 전극을 만들었다. 개발된 전극은 40%가량 늘려도 전기적 특성을 ... ...
이전1751761771781791801811821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