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위치
소재지
공간
자리
현장
집
d라이브러리
"
곳
"(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초소형 벌새 로봇 개발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1호
벌새는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빠르게 날갯짓을 하며 민첩하게 비행해요. 최근 미국 퍼듀대학교 신얀 덩교수가 이끄는 바이로로보틱스 연구팀은 생김새 ... 물체와 접촉하면서 공간을 파악하기 때문에 재난 현장과 같이 지도가 없고 어두운
곳
에서 활약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어요 ... ...
노트르담 지킴이, 앤드루 탤런 교수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1호
그 동안 노트르담 대성당을 지켜온 우리 가고일들이 봐도 정말 든든한걸? 처음 이
곳
에 살게된 때보다 훨씬 과학기술이 발전하면서 성당을 지키는 방법도 많이 바뀌었다는 게 느껴져. 앞으로 노트르담 대성당은 또 어떻게 바뀔까? 노트르담 대성당 이 복원될 모습에도 꾸준히 관심을 가져줘~ ... ...
[통합과학교과서] 이 하늘에서 떨어졌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1호
GPS는 오차가 약 30m일 정도로 정밀해요. 해안 경비대 등 더욱 정밀한 위치 측정이 필요한
곳
에서는 GPS 수신기를 하나 더 사용하여 오차를 1m까지 줄인 ‘DGPS’ 같은 기술도 쓰인답니다. 통합과학 넓히기 : 나침반이 가리키는 북극이 점점 바뀌고 잇다?! 나침반의 N극은 어디를 가리킬까요? N극의 ... ...
백골 시체의 조용한 아우성 치아가 알려주는 진실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이뤄지기 2년 전인 2000년, A 씨는 우울증으로 병원에서 입원 치료를 받았다. 그리고 그
곳
에서 알코올 중독으로 치료 중이던 남편 B 씨를 만났다. 그리고 2002년 2월 집을 나가 남편과 동거를 하다가 2002년 11월 결혼했다. 하지만 이후 그의 행적이 묘연했다. 그렇다면 범인은 남편인 B 씨일 수도 있었다. ... ...
빅뱅 이후 우주의 설계도를 그리다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먼 과거에 질량이 태양의 1000조 배 정도 되는 초은하단들이 먼저 생성됐고, 이들이
곳곳
에서 쪼개지며 붕괴해서 더 작은 천체들이 만들어졌다. 이를 위해서는 운동속도가 빛과 같고 높은 압력을 지닌 뜨거운 암흑물질이 존재해야 한다. 수십 년간 은하 공간분포 연구를 통해 현재는 피블스 ... ...
충전 가능한 시대를 열다 리튬이온전지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당시 시카고대 물리학과는 전 세계 이론물리학 연구를 이끌던 ‘천재’들이 많이 다니던
곳
이었다. 그는 ‘제너 다이오드’로 잘 알려진 클래런스 제너 교수의 지도를 받거나, ‘페르미 준위’로 유명한 엔리코 페르미 교수의 수업을 들었던 얘기를 가끔씩 꺼냈다. 당시 페르미 교수의 수업은 많은 ... ...
처음부터 특별할 필요 없어요. 꾸준히 도전한다면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안전화 사이즈가 240mm 미만으로는 나오지 않던 시절, 그는 225mm의 작은 발로 전국 100여
곳
의 가스 공급관리소 현장을 누볐다. 50m 높이의 천연가스(LNG) 저장탱크를 기어오르며 직접 설비를 점검했다. 이후 원전에서 수행하는 정량적 안전성평가기법을 가스공사의 설비에 도입해 사고 위험성을 사전에 ... ...
[영국유학일기] 악명 높은 난이도 낙제는 곧 퇴학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굉장히 높은 편이기 때문에, 우스갯소리로 ‘임페리얼칼리지에서 B를 받으면 다른
곳
에서는 A를 받을 수 있다’고도 한다.최대한 어렵게 문제를 내는 만큼 성적은 절대평가로 매겨진다. 모든 학생이 최고점을 받을 수도 있다는 뜻이다. 절반 이상이 낙제하는 경우에는 무리한 난도의 문제였다고 ... ...
[통합과학 교과서] 형의 집이 위험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0호
건물 안에서 햇볕을 쬘 수 있을까? 사방이 콘크리트로 둘러싸인
곳
에 있다고 생각해 보세요. 한 줌의 빛도 들어오지 않아 어둡고 답답하겠죠? 헝가리 건축가 아론 로손치는 이러한 편견을 깨고 사방을 콘크리트가 둘러싸고 있어도 답답하지 않은 건물을 만들고 싶었어요. 연구 끝에 빛을 ... ...
[과학뉴스] 구부리고 늘리고 비틀어도 되는 전극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국지화는 기판에 원하는 패턴을 새긴 뒤 액체 전도성 고분자를 기판에 적셔 패턴을 새긴
곳
에만 전도성 고분자를 입히는 방식이다.연구팀은 실리콘의 일종인 폴리디메틸실록산 소재에 방향성 젖음 국지화 기술을 적용해 신축성이 있는 전극을 만들었다. 개발된 전극은 40%가량 늘려도 전기적 특성을 ... ...
이전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