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넓이
크기
너비
폭
건평
용적
지적
d라이브러리
"
면적
"(으)로 총 1,984건 검색되었습니다.
동물전기설을 극복하고…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결과 금속판의 직경을 크게 하면 할수록 감전(전기)의 세기가 증가함을 알았다. 금속판의
면적
과 쌓은 빌라의 수, 결국 빌라가 직렬로 접속된 수와는 같은 결과를 가져옴을 알아냈다. 그때까지 실험에 이용된 전기는 모두 마찰전기 또는 정전기였기 때문에, 그것을 라이든병이나 전기쟁반에 모아서 ... ...
5.극심한 생물계의 수난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없어진다고 한다. 이것은 열대우림지역이 차지하고 있는
면적
의 약 1%에 해당하며, 남한
면적
을 윗돈다.열대우림지역의 1% 벌채만으로도 이곳에 사는 생물종의 0.2~0.3%가 매년 사라지게 된다고 한다. 적게 잡아서 열대우림지역에 2백만종의 생물이 살고 있다고 가정하면, 삼림벌채로 말미암아 ... ...
동물들의 여름나기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모든 동물은 팔 다리 목 귀 꼬리와 같이 신체에서 길게 돌출한 부분이 많으면 체표
면적
이 커지기 때문에 체열방산량은 그만큼 많아진다. 사슴은 1년중 체열방산을 가장 많이 할 때에 맞춰 남에게는 없는 특수한 돌출물인 뿔의 성장이 왕성하니 그야말로 안성맞춤이다.발한(發汗)은 동물의 체온조절상 ... ...
1%만 절약하면 제주도에서 2년 쓴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연구검토되고 있다. 초고압 또는 직류송전에 의해 손실률을 줄이는 기술은 이미 국토
면적
이 넓은 나라에서는 장거리 송전에 부분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미국이나 일본과 같은 기술선진국에서는 손실을 근원적으로 줄이기 위한 새로운 개념의 송전기술이 적극적으로 연구되고 있다.즉 송전선으로 ... ...
생생한 체험으로 살아있는 과학교육을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맛볼 수 있는 '살아있는' 과학박물관이 최근 홍콩에서 문을 열었다. 2만7천㎢의
면적
에 약 3백억원의 돈을 들여 세워진 이 박물관은 '참여를 통한 과학교육'을 캐치프레이즈로 내걸고 있다. 특히 유아 및 학생관람자를 위해 연령별 구역을 설정하고 연령별로 수준에 맞는 전시물을 설치해놓고 있다 ... ...
1백m를 10초내에 주파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때문에 체적은 여덟배(2×2×2)가 된다고 했다. 반면 몸을 유지하는 다리가 땅을 디디는
면적
은 폭과 길이만이 변하기 때문에 네배만 증가한다. 따라서 동물의 크기가 증가하면 점점 몸을 움직이기 힘들다고 밝히고 있다.아무튼 알렉산더는 갈릴레이 이후 가장 공학적인 방법을 활용해 지구상에 ... ...
낙수가 만들어낸 구혈과 폭호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떨어지는 부근에 소규모의 자갈이 쌓이고 이곳에 물이 괴어 있을 때를 말한다.22만㎢의
면적
과 3천7백여개의 섬으로 구성된 남북으로 길게 뻗친 우리나라의 경우는 태백산맥 지역을 제외하고는 어느 정도 규모를 갖춘 폭포의 발달이 미약한 편이다. 한반도는 대체로 육지가 생성된 이래 장구한 세월 ... ...
1 전화벨에서 비행기까지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dB(A)를 사용하며, 소리의 단위로는 dB(데시벨)을 쓴다. dB이란 음원을 향해 있는 1㎡의
면적
당 받고있는 W(와트)수에 따라 정해지는 하나의 물리적인 양이며, dB(A)란 dB의 단위를 인간의 청감에 맞게 보정해, 시끄러움의 정도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한 하나의 감각적인 양이다.따라서 모든 소음은 dB(A ... ...
여름휴가를 차안에서 망치지 않으려면···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DDS를 개발한 이래 피부를 통한 약물투여가 큰 관심을 끌고 있다. 인간의 몸중에서 가장 표
면적
이 큰 곳이 피부이므로 이 경피 DDS에 대한 연구는 앞으로 더욱 가속화될 것"이라고 서울대 약대 심창구교수는 예상하고 있다.이렇게 약을 먹지 않고 피부에 붙이면 간 장애나 위장장애를 피할 수 있다는 ... ...
가장 깊은 호수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호수밑 어디에 핫 스풋들이 나타나는지에 대해선 약간의 의문이 있다. 바다에선 바다
면적
이 넓어지고 용암이 솟구치는 곳에 핫 스폿들이 나타난다. 그러나 바이칼 호수의 경우엔 그렇지 않은 것이다.바이칼 호수의 열수출구들은 호수밑 계곡의 축으로부터 11마일이상 떨어진 단층을 따라 발견된다. ... ...
이전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