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유지"(으)로 총 5,684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펭귄의 남극살이수학동아 l2015년 02호
- 너무 크면 눈에 잘 띄고 전염병에 약합니다. 서로 말은 안 해도 적당한 크기의 무리를 유지하면서 살아가는 겁니다.김 박사님은 올해부터 펭귄 연구에 더 집중할 계획입니다. ‘바이오로깅’이라는 기술을 이용하면 먹이를 찾아다니는 펭귄의 위치와 기온, 수온, 잠수 깊이 등을 자동으로 측정할 수 ... ...
- [과학뉴스] 온실가스 배출권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이날, 톤당 7860원에 거래를 시작, 8640원에 마감했다고 하는데요. 기업들이 관망세를 유지한 가운데 총 거래대금은 1000만 원을 넘지 못했다고 합니다.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는 기업별로 온실가스 배출 허용량을 정한 뒤, 이를 초과한 기업은 초과한 양만큼 배출권을 사야 하는 제도입니다. 반대로 ... ...
- [Hot Issue] 전기, 이제 주변에서 수확한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나노구조로 만들면 효율이 높아진다. 전기를 계속 생산하려면 열을 차단해 온도 차를 유지해야 하는데, 우리가 아는 대부분의 물질은 전기가 잘 흐르면 열도 잘 흐른다. 이 때 재료를 특정 나노구조로 만들면 우리가 원하는 대로 열은 차단한 채 전기만 흐르게 할 수 있다. INSIDE ◀ 캐나다의 ... ...
- 동물들이 싸움을 싫어하는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2호
- 그 이후에는 더 이상 경쟁이 일어나지 않지요. 이후 무리 내의 평화는 아주 오랫동안 유지된답니다. 경쟁을 한 뒤에는 경쟁자와의 승패를 기억해 같은 경쟁자와 다시 싸우는 것을 피하기 때문이에요.개체의 수가 아주 많은 큰 무리에서는 모든 경쟁자와의 승패를 기억하기가 어려워요. 그래서 큰 ... ...
- [Life & Tech] 단식 반복하면 음식 중독 된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대한 쾌감 회로가 강해지면 같은 음식을 먹더라도 더 큰 기쁨을 느낀다. 이런 쾌감을 유지하기 위해 배가 고프지 않더라도 음식을 계속 섭취한다. 점점 더 많이 먹는 ‘내성’이 생기거나 음식을 먹지 않으면 불안하고 초조한 ‘금단’ 증상이 나타난다. 급기야는 음식에 대한 민감성이 높아지면서 ... ...
- [Life & Tech] 사랑은 얼음스케이트를 타고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너무 많이 생겨도 스케이트를 즐기기 어렵기 때문에 얼음 온도를 보통 영하 15~20℃로 유지합니다.고개를 들어 주변을 둘러보니, 딱 붙어 떨어질 줄 모르는 커플이 여럿 눈에 띕니다. 그럴 수 밖에요. 작정하고 영하 17℃ 빙판 위를 구른 자들인걸요(>. ...
- [수학뉴스] 뒤틀리는 비누막의 비밀수학동아 l2015년 01호
- 유지한다.연구팀은 먼저 비누막으로 채워진 닫힌 고리의 길이를 늘이거나, 길이는 유지하고 고리의 모양을 비틀면서 이때 작용하는 표면장력과 저항력을 측정했다.그 결과 고리의 길이가 길어지면 평면이었던 비누막이 아령 모양으로 바뀌었다. 고리의 길이가 늘어남에 따라 저항력이 감소하기 ... ...
- [Knowledge] 매혹의 공생 생물, 지의류의 ‘버티는 삶’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열이나 동결 현상으로 지의체가 망가지는 것을 막는다. 스스로 반건조 상태가 돼 생명을 유지하는 ‘버티기’의 귀재인 셈이다.지의류는 심지어 우주의 가혹한 환경까지 견딘다. 유럽우주국(ESA)은 2008년 2월부터 2009년 9월까지, 어떤 생명체가 진공과 초고온 혹은 초저온에 노출된 우주 환경에서 ... ...
- 원자핵공학과 - 핵융합 에너지 더 이상 꿈이 아니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중성자입니다. 중성자는 핵분열 후 초속 10만km가 넘는 속도로 튀어나오는데, 이 속도를 유지하면서 연쇄적으로 다음 반응을 일으키는 게 중요합니다. 만약 물을 냉각제로 사용하면 물속 수소와 중성자가 부딪히게 되는데요. 운동량 보존법칙에 의해 수소 같은 가벼운 원소와 중성자가 부딪히면 ... ...
- [지식] 첫 번째 요리_영양 가득 오일러 공식수학동아 l2015년 01호
- 미분과 적분을 꼭 거쳐야 한다는 뜻입니다. 지수함수는 미분과 적분을 해도 모양이 유지됩니다. 덕분에 파동함수를 구하기가 간편해지고, 여러 가지 물리현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죠. 양자역학에 지수함수가 꼭 필요한 이유입니다.물리학을 전공한 고독한 미식가는 대학교에서 양자역학이 제일 ... ...
이전1681691701711721731741751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