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존
지속
보전
기름종이
지탱
관리
보유
d라이브러리
"
유지
"(으)로 총 5,68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5. 핵융합의 난관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인류는 수십 년의 연구를 통해 이 괴물 같은 자연과 싸워 이기는 방법(열 비평형 상태를
유지
하는 방법)을 어느 정도 터득했다. 그런데 자연은 결코 만만치 않아서, 이번에는 새로운 카드로 연구자들을 괴롭히고 있다. 바로 고온과 저온의 영역이 잘 나뉘어 있는 플라스마를 난류 상태로 휘저어 ... ...
[시사] tvN 월화드라마 라이어게임 극한심리추적극 필승법은 수학이다!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관용을 베푼다.➍ 한번 대결을 펼친 상대와 또 대결을 해도 사이가 좋도록 좋은 관계를
유지
한다.이 원칙 아래 경기를 진행해 간다. 그런데 만약 참가자가 다음 게임이 마지막이라는 것을 알면 자연히 더 많은 상금을 얻기 위해 배신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상대방이 이게 몇 번째 죄수의 딜레마 ... ...
PART1. 혜성과의 짧았던 첫키스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한 번씩 자전하는 게 더 골치였어요. 큰 행성 같았으면 중력이 있으니까 일정한 궤도를
유지
하며 저도 공전하겠는데, 추리는 중력이 워낙 미약해서 필래를 착륙시키기까지 무지 복잡한 곡예비행을 해야 했어요.한국시각으로 12일 저녁 6시, 필래를 떨어뜨렸어요. 필래는 천천히 걸어가는 속도로 7시간 ... ...
[career] “3D 프린터로 하늘 나는 새를 만든다”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빠져나갈 수 있게 해줍니다. 게다가 날개 부위별 깃털의 차이, 몸의 전체적인 균형
유지
같은 복잡한 요소까지 고려해야 새의 움직임을 제대로 모델링 할 수 있습니다. 궁극적인 목표는 3D 프린터를 활용해 새의 움직임을 똑같이 따라할 수 있는 로봇을 만드는 것입니다. 3D프린터로 새를 출력해 ... ...
월드컵 유니폼의 충격 고백 “전 플라스틱 조각이었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2호
들어 있는 충전재도 원래는 페트병이었을 가능성이 높지요. 건물을 따뜻하고 시원하게
유지
해 주는 건축단열재나 벽을 아름답게 꾸미는 플라스틱 미관재도 만들고요. 재활용 옷걸이나 플라스틱 계란판도 페트병의 새로운 모습이랍니다.플라스틱은 모두 재활용 할 수 있어!페트병만 재활용에 ... ...
[생활] 영화 한 편 내려받는 데 1초 LTE-A보다 1000배 빠른 5G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동영상 같은 멀티미디어 신호로 바꾼다. 사용자가 특정 기지국을 벗어나도 서비스가
유지
되도록 기지국은 벌집처럼 다닥다닥 붙어 있다. 그런데 이때 서비스를 받는 사용자들은 정해진 용량을 나눠서 사용한다. 이 때문에 야구장과 같이 사람들이 붐비는 곳에서는 멀티미디어의 전송속도가 ... ...
PART 1. 일본 노벨상의 비결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이후로도 일본은 GDP 대비 연구개발비, 기초과학 투자비 등에서 꾸준히 세계 최고 수준을
유지
했다(107쪽 그래픽). 일본이 2000년대 이후 노벨상을 휩쓸고 있는 것은 이렇게 100년이 넘는 기간 동안 이뤄진 긴 기다림과 투자 덕분이다.일단 세계적인 학자가 나오면, 이들은 자국에서 후학을 기르는 데 온 ... ...
[hot science] IQ떨어지는 인류, 혹시 바보가 되는 중?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근거는 전혀 없는 셈이다. 게다가 만약 린 박사의 예상처럼 앞으로 IQ가 계속 하락세를
유지
한다 해도 큰 문제는 아니다. 애초에 이들 국가에서 IQ가 계속 올라갔던 것도 딱히 인류가 머리가 좋아져서는 아니었기 때문이다. 선진국에서 시간이 흐름에 따라 IQ가 오르는 현상을 ‘플린 효과’라고 ... ...
[knowledge] 생명의 양자도약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있는 역할을 한다는 어떤 실험적 증거도 아직 없기 때문이다. 생명체 내에서 결맞음을
유지
하는 것이 어렵다. 더구나 양자 중력까지 등장하는 그의 이론은 지나치게 앞서 갔다는 평가가 많다. 양자 중력은 아직 아무도 알지 못하는 물리학의 성배이기 때문이다.진화의 역사를 보라. 양자역학이 ... ...
종이학부터 변신로봇까지 오리가미의 진화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변신하기 전 로봇이 쉽게 완성된다.오리가미 로봇을 만들 때 가장 중요한 점은 기능을
유지
한 채로 부피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이를 로봇 연구에 적극 활용하기 위해, 최근에는 국내에서도 오리가미 로봇 연구를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조규진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는 최근 자동차 바퀴를 ... ...
이전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