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0"(으)로 총 5,772건 검색되었습니다.
- 2015 바이오블리츠-생물다양성탐사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0호
- 펼쳐진다고 해. 아쉽게도 연어는 볼 수 없었지만, 대신 은어를 만날 수 있었어. 은어는 9~10월에 알을 낳으러 바다에서 태화강으로 돌아오는데, 맑은 물이 아니면 살지 않는대. 그만큼 태화강의 물이 깨끗하다는 거지.그런데 사고뭉치 친구들도 만날 수 있었어. 바로 배스와 블루길이야. 원래 미국과 ... ...
- 변신 로봇이 뚝딱! 종이접기 과학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9호
- 모양대로 변하는 금속이에요.이 유리 섬유에 전기를 흘리면 온도가 올라가는데, 약 70℃가 넘으면 합금이 구부러지면서 섬유가 접힌답니다. 즉, 원하는 모양에 맞게 전기를 흘리면 다양한 모습으로 접히고 변신할 수 있지요. 이런 원리를 이용해 크기를 더 크게 만들면 실제 변신하는 로봇을 만들 ... ...
- 생체모방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8호
-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요. 나일론 낚시줄을 꼬거나 감는 방법으로 사람 근육보다 100배나 더 무거운 짐을 들어 올리는 인공 근육을 만들 수 있다는 이론도 있고, 아주 얇은 탄소 나노튜브 여러 가닥을 그래핀과 합성하는 방법도 논의되고 있어요. 근육은 아주 얇은 실 형태의 근섬유가 다발처럼 ... ...
- 보아뱀이 먹이를 먹는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6호
- 자랄 수 있죠. 보통은 암컷이 수컷보다 더 몸집이 큰 편이에요. 다 자란 암컷은 2.1~3.0m, 수컷은 1.8~2.4m 정도거든요. 게다가 몸무게도 많이 나가요. 덩치가 더 큰 암컷이 보통 10~15kg 정도지요. 흔한 일은 아니지만 45kg짜리 보아뱀이 발견되기도 했죠.또 다른 뱀들처럼 열을 감지할 수 있어요. 입술 주변에 .. ...
- 10년의 대탐험 뉴호라이즌호, 명왕성을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6호
- 대기층을 30km 정도로 예측했어요. 하지만 뉴호라이즌호가 직접 관측한 결과, 예상보다 100km나 더 두터운 대기층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답니다. 5 명왕성 색깔은 붉은 갈색뉴호라이즌호에 달려 있는 카메라 ‘로리(LORRI)’는 흑백 사진만 찍을 수 있어요. 대신 다른 관측 기기들이 수집한 정보를 ... ...
- 풍선으로 띄우고, 우주로 보내고~ 새로운 인터넷이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5호
- 정보를 담아 보내면 통신을 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조명이 켜졌을 때를 1, 꺼졌을 때를 0으로 정하고 정보에 맞춰 깜빡이는 횟수나 강약을 조절하는 거예요.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정보가 1과 0, 두 가지 숫자로만 이루어졌다는 사실을 이용한 거죠.ETRI의 강태규 LED연구실장은 “LED 전구가 정보를 담은 ... ...
- 바다의 숨은 지배자 플랑크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5호
- 있어요. 2010년 캐나다 댈하우지대 연구팀은 식물 플랑크톤이 1950년부터 매년 1%씩 줄어, 1950년과 비교했을 때 무려 40%나 감소했다고 발표했어요. 식물 플랑크톤이 줄어드는 이유는 아직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어요. 다만 바닷물의 온도가 변했기 때문이라고 추측하고 있어요. 온도에 민감한 ...
- 우주먼지부터 인공먼지까지, 먼지를 팝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뒤에 숨은 범인도 찾아낼 수 있지요. 무슨 말이냐고요?법과학의 아버지, 에드몽 로카르1910년 프랑스 리용대에서 화학을 공부한 한 젊은이가 프랑스 리용 경찰국을 찾아갔어요. 그는 경찰 수사에 자신의 분석기술을 적용하면 범인을 잡는 데 도움이 된다고 주장했지요. ‘두 물체끼리 접촉이 있으면 ... ...
- 불심에 담긴 수학을 찾아 황금의 땅 미얀마로수학동아 l2015년 12호
- ‘골든락(황금 바위)’이라는 이름으로 더 잘 알려진 짜잇티요 불탑입니다. 바간에서 10시간 버스를 타고 양곤으로 돌아와서 다시 왕복 8시간의 버스와 1시간 반의 산악 트럭을 타야만 다녀올 수 있는 험난한 곳. 미얀마 사람들이 죽기 전에 꼭 한 번은 다녀오고 싶어 한다는 성지 중의 성지입니다. ... ...
- Part3. 미래엔 소프트웨어가 사라질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하나를 찾는다고 했을 때 지금의 컴퓨터는 50만 번을 확인해야 하지만, 양자컴퓨터는 1000번 만에 찾을 수 있다.두 알고리듬 모두 비교적 적은 수의 연산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양자컴퓨터의 가능성을 보여줬지만, 양자컴퓨터를 써야 하는 결정적인 이유가 되지는 못했다. 배준우 한양대 응용수학과 ... ...
이전1681691701711721731741751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