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0"(으)로 총 5,77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메가이터, 생태계를 바꾸고 진화를 일으키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120cm였던 벼의 키는 74cm까지 줄었다. 쌀 생산량은 1930년대 1헥타르(1만m2)당 2.98t에서 2000년대 7.53t까지 늘었다.돌연변이를 일으켜 이삭의 성분을 바꾸기도 한다. 특정 화학 물질을 희석한 물에 벼 이삭을 담갔다가 말린 뒤 심으면 가지각색의 벼가 나온다. 4만 개 유전자를 다 건드려 놓기 때문.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SW in Science ➒ 선수 추적프로그램] 축구 경기장 뒤의 12번째 선수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알고리즘도 더 복잡해질 수 밖에 없다. 김종윤 중앙대 첨단영상대학원 연구원은 2010년, 칼만 필터를 발전시킨 ‘다이나믹 칼만 필터’로 축구공을 추적하는 방법을 개발해 논문으로 발표했다. 기존 칼만 필터에 몇 가지 매개변수를 넣어 발전시킨 형태다. 예를 들어 영상에서 공과 선수가 겹쳐 보일 ... ...
- “디젤도 할 말 있다” 클린 디젤의 꿈과 현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원에서 2015년 1455억 원으로 늘었다. 그러나 내연기관 과제에 지원되는 돈은 167억 원에서 50억 원으로 4년새 70%나 줄었다. 전체 예산의 69%인 1006억 원이 자동차 부품 품질인증센터 구축 등 지역자동차 사업에 들어간 것에 비교하면 턱없이 적은 액수다.민 교수는 “클린 디젤의 조건을 만족시키 ...
- 빛을 멈추게 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불가능하다. 같은 이유로 음파를 이용한 수중물체 식별도 제한적이다. 최근 북한 잠수함 50여 대가 사라졌을 때 속수무책이었던 것이 이 때문이다. 느린 빛과 음파의 상호작용으로 수중 광영상통신 장비를 개발하면 잠수함이나 해저자원의 위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될 것이다 ... ...
- [Knowledge] 꿈틀대는 강속구의 비밀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된다. 우리나라에서는 LG 트윈스의 우규민이 대표적인 사이드암 투수다. 우규민은 올해 150이닝 이상을 던졌는데, 플라이볼에 대한 땅볼의 비율이 1.1이 넘는다. 올해 리그평균인 0.94에 비하면 꽤 높은 수치다. 해설자들이 흔히 말하는 사이드암이 싱커를 잘 던진다는 말이 과학적으로도 틀린 말은 아닌 ... ...
- 손톱만 만지작거려도 이메일이 척척?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연구팀은 앞으로 더 얇은 네일오를 만들 예정이에요. 그래서 중국의 한 배터리 회사와 0.5mm 두께의 손톱크기 배터리를 개발할 계획을 세우고 있답니다. 배터리가 작아지면 센서와 여러 가지 마이크로칩을 넣을 공간이 더 생기기 때문이지요 ... ...
- [스마트하게 날아오르다 DRONE] PART2 똑똑한 드론의 임무 수행기!수학동아 l2015년 10호
- 한 대로 음악도 듣고 문서도 작성할 수 있는 멀티태스킹의 원리와 비슷하다”며, “0.001초 이하로 시간을 잘게 쪼개서 순차적으로 명령을 내리기 때문에 우리가 눈치채지 못하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군집드론이 펼치는 마법의 세계라파엘로 교수는 육각형 모양의 드론을 이용해 퍼즐 같은 ... ...
- [Life & Tech] 사찰 김치, 세계인의 보약 될까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양파, 부추, 파, 생강 등이 듬뿍 들어간다. 마늘은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이 세계 10대 건강식품으로 선정했을 정도다.그런데 파는 김치는 어떨까. 김치연구소 장지윤 연구원은 “영양학적으로 그렇게 차이는 없다”고 밝혔다. 파는 김치의 장점도 있다. 김치의 단점으로 꼽히는 염분, 즉 소금을 ... ...
- 깨끗한 수돗물이 퐁퐁~! K-water 성남 정수장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샤워 시간 줄이기, 설거지나 빨래는 모아서 하기 등 누구나 쉽게 따라할 수 있는 10가지 방법이 정리돼 있지요.“물을 깨끗하게 만드는 것만큼 깨끗한 물을 아껴 쓰는 것도 중요해요. 물 아끼기, 친구들부터 실천하기로 해요!”취재를 마친 기자단 친구들은 물을 아껴 쓰기로 ... ...
- [과학뉴스] 3만 년 전 바이러스, “기상~!”과학동아 l2015년 10호
- PNAS)’ 9월 8일자에 발표했다.이번에 발견된 바이러스는 크기가 0.6μm(1μm는 100만 분의 1m)로 바이러스치고는 매우 큰 편이다. 연구팀은 새롭게 발견된 바이러스의 이름을 ‘시베리아에서 온 부드러운 바이러스’라는 뜻에서 ‘몰리바이러스 시베리쿰(Mollivirus sibericum, 사진)’이라고 지었다.인류가 ... ...
이전1711721731741751761771781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