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인
수락
접수
수납
수령
승인
시인
뉴스
"
수용
"(으)로 총 1,821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카린은 설탕을 대신할 수 있을까
2014.08.11
분명한 실험결과는 2008년 학술지 ‘뉴런’에 발표됐다. 미국 듀크대 연구자들은 단맛
수용
체 유전자가 고장나 단맛을 느끼지 못하는 생쥐를 대상으로 흥미로운 행동실험을 했다. 이런 쥐들은 정상 쥐들과는 달리 설탕물을 그냥 물보다 선호하지 않는다. 그러나 한 쪽에는 그냥 물이 들어있는 ... ...
빛만 쪼여주면 암 치료 할 수 있다고?
과학동아
l
2014.07.29
’ 단백질을 이용했다. 연구팀은 이렇게 결합시킨 세포에 ‘광활성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수용
체1(optoFGFR1)’라는 이름을 붙였다. 이 세포를 이용해 수차례 실험한 결과 기존에 없던 새로운 성질의 세포가 발견됐다. 빛의 세기, 빈도, 지속성 등을 바꿔가며 쪼여주자 빛을 켜고 끄는 것만으로도 ... ...
뇌전증의 과학
2014.07.28
뇌전증이 유발되는 경우도 있다. 도스토예프스키의 경우도 사형장 체험이나 시베리아
수용
소 생활이 계기가 된 것으로 보인다. 소설 속 스메르쟈코프 역시 따귀를 맞은 충격이 발병 요인일 수 도 있지 않을까. 지난 100여 년 동안 뇌전증 치료제가 여럿 개발됐는데, 다수가 이온채널의 민감도를 ... ...
“당신은 동요하고 있습니까?”
과학동아
l
2014.07.27
탈출하기로 마음 먹는다. 외계인 의족의 힘을 빌려 헤일리와 함께 닉은 가까스로
수용
소를 탈출하지만 바깥도 정상이 아니기는 마찬가지다. 가까스로 얻어 탄 자동차에서 정체모를 늙은 여성은 뜻을 알 수 없는 말들과 함께 “안에서 바깥으로 밀면 열린다”는 말을 되풀이한다. ... ...
자신이 가장 똑똑한 사람일 필요는 없다
과학동아
l
2014.07.27
없어요.” 실제로 왓슨이 한 말로 전해진다. 저자는 똑똑한 동료들의 능력을 인정하고
수용
할 수 있는 능력 덕분에 왓슨이 업적을 남길 수 있었다고 평가한다. 양자역학의 태동기만큼이나 흥미로운 DNA에 얽힌 과학사 이야기를 들어보자. 나무생각힐링 제공 ◆ 나는 내가 아픈 줄도 모르고 ... ...
사고만큼 두려운, 반복되는 그날의 기억
2014.07.16
후 스트레스 장애 환자들은 노르아드레날린·도파민·내재성 아편양계‧벤조다이아제핀
수용
체‧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피질축 이상을 보인다는 사실이 발견됐다. 공포핵인 편도체(Amygdala)는 과활성을 보이며, 감정의 조절에 관련된 내측 전전두엽(Medial prefrontal cortex)과 기억저장과 관련된 해마 ... ...
2NE1 박봄이 구매한 암페타민 ‘필로폰과 사촌’
과학동아
l
2014.07.01
치료제로도 쓰이는 약물이다. 암페타민은 대뇌의 도파민
수용
체, 노르에피네프린
수용
체와 결합한다. 따라서 일시적으로 각성효과를 불러와 언어 능력과 육체활동 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런 효과를 입증 받아 암페타민은 이미 1930년 대 초반부터 우울증, 뇌전증(간질) 등을 ... ...
물고기 복지에 대한 고찰
2014.06.23
따라서 횟집에서 몸에 칼이 들어와 파닥거리는 활어도 고통을 의식해서가 아니라 ‘통각
수용
체’가 자극을 받아 신호가 전달된 것뿐이라고. 미국 와이오밍대 제임스 로즈 교수가 이런 주장을 대표하는 학자로, 최근 학술지 ‘생선과 어업’에 ‘물고기가 정말 고통을 느낄 수 있나?(Can fish really ... ...
마약처럼 금단증상 생기는 ‘자외선 중독’
과학동아
l
2014.06.20
불린다. 실제로 베타엔도르핀과 마약의 일종인 모르핀이 체내에서 달라붙는
수용
체는 같다. 베타엔도르핀이 모르핀과 동일한 역할을 한다는 뜻이다. 베타엔도르핀이라는 이름도 ‘몸속의 모르핀’이란 의미를 갖고 있다. 실험에서 자외선을 쪼인 쥐의 체내에는 베타엔도르핀이 더 많이 ... ...
브라질 월드컵엔 '아침형 인간'이 유리
과학동아
l
2014.06.11
시간이 3시간이나 당겨졌다. 브레이너드 교수는 “눈에서 빛을 받아들이는 단백질
수용
체가 특히 푸른빛에 민감하기 때문에 이런 현상이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 ...
이전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