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인
수락
접수
수납
수령
승인
시인
뉴스
"
수용
"(으)로 총 1,923건 검색되었습니다.
니코틴 중독 만드는 건 ‘마이크로RNA’
2015.08.12
많으며 금단현상 등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동안 하베뉼라에서는 니코틴
수용
체 자체에 대한 연구는 많이 수행돼 왔지만 연구팀은 시각을 바꿔 마이크로RNA에 주목했다. 그 결과 연구팀은 이 부위에서 유전자 발현 정도를 바꾸는 여러 마이크로RNA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었다. ... ...
종교는 과학을 도울 수 있을까?
2015.08.10
제목의 기사가 실리면서 우리나라 과학계는 국제적인 망신을 당했다(결국 청원
수용
은 번복됐다). 당시 “그냥 무시할 단계는 아닌 것 같다”는 한 진화생물학자의 이메일을 받은 필자는 내키지 않았지만(시간낭비로 느껴져서) 관련 기사를 쓰기도 했고, 이게 계기가 돼 이듬해 출간된 ‘청소년이 꼭 ... ...
몸속 ‘킬러 세포’의 본능 깨우는 알람은?
2015.08.04
붙는다. 단백질에 붙어있는 동안
수용
체의 모양이 바뀌면 두번째 분자(Lck)가 와서
수용
체의 결합이 유지되도록 돕는다. ZAP-70이 T세포에 머무는 동안 T세포는 돌아다니며 적을 찾아 없애는 활동을 이어간다. 비요른 릴리베이어 조교수는 “이번 연구로 ZAP-70과 다른 분자가 어떻게 동시에 같은 ... ...
분. 자. 요. 리.
수학동아
l
2015.07.28
과일주스에 알긴산나트륨을 섞어 주사기나 스포이트에 넣고 염화칼슘(또는 젖산칼슘)
수용
액이 든 비커에 한 방울씩 똑똑 떨어뜨리면 과일주스 맛 캐비어가 된다는 것을 알아냈다. 과일주스 물방울이 떨어지면서 순식간에 겉에만 둥근 모양대로 굳고, 안쪽은 즙이 그대로 남아 있기 때문이다. ... ...
달콤한 소주 전성시대
과학동아
l
2015.07.28
있다. 이중 청징법은 과즙을 탁하게 하는 물질을 제거해 투명하게 만드는 방법이다.
수용
성 단백질을 응고해 침전시키고 분해효소로 전분이나 섬유질 등을 제거한다. 청징농축액은 이렇게 만든 과즙에 고형으로 만든 과일과 향이 나는 합성착향료를 섞은 것이다. 조판기 팀장은 “제품을 처음 ... ...
메르스 종식 선언 앞두고 메르스 무력화 시키는 항체 발견
2015.07.28
바이러스를 무력화시키는 과정도 밝혀냈다. 메르스 바이러스는 숙주세포에 달린 ‘CD26’
수용
체에 자신의 S단백질을 넣어 숙주세포로 들어간다. CD26이 문에 달린 자물쇠라면 바이러스의 S단백질은 열쇠인 셈이다. 연구팀은 돌연변이 연구와 컴퓨터 모델링 등을 통해 이 항체가 메르스 바이러스의 ... ...
머리 겔만과 펜타쿼크
2015.07.27
반물질인 반쿼크의 전하는 -2/3 또는 +1/3이다. 도저히 받아들이기 어려운 이 가설을
수용
하기만 하면 물리학자들도 ‘입자동물원’이라고 개탄할 지경인 수많은 강입자들이 쿼크 세 가지(업쿼크, 다운쿼크, 스트레인지쿼크)의 조합으로 멋지게 설명된다. 즉 양성자는 전하가 +2/3인 업쿼크 두 개와 ... ...
난치성 염증 질환, 패혈증 치료 가능성 열렸다
2015.07.27
패혈증을 일으켜 사망에 이르게 만든다. 연구진은 과도한 염증반응을 억제하는 핵
수용
체 단백질을 찾는 연구 과정에서 ‘ERRalpha’라는 단백질에 주목했다. 이 단백질이 결핍된 생쥐에게서 염증 반응을 억제하는 세포 내 단백질(A20)이 감소된 현상을 발견한 것이다. ERRalpha는 세포의 에너지 대사와 ... ...
아프냐? 통증과 고통 느끼는 경로 다르다
2015.07.19
CGRP
수용
체를 가진 편도핵 신경세포에 저장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편도핵에서 CGRP
수용
체를 가진 신경세포를 억제했을 때는 통증을 가해도 공포 기억이 저장되지 않는 반면 이 세포를 활성화시키면 정상 상황에서도 두려움을 나타냈다. 한 연구원은 본보와의 e메일 인터뷰에서 “감정 변화를 ... ...
도라지와 관중 성분, 혈전증 위험 낮춘다
2015.07.14
혈전이 생성됨을 확인했다. 또 관중이라는 한약재 추출물인 W197-C1의 경우 혈소판 내
수용
체의 활성을 54.5% 낮춰 혈액응고 능력을 떨어뜨린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마 연구원은 “이번에 개발한 소재는 한약재에서 추출한 만큼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라며 “국내 기업에 기술 ... ...
이전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