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인
수락
접수
수납
수령
승인
시인
뉴스
"
수용
"(으)로 총 1,923건 검색되었습니다.
1조 분의 1초, 분자 탄생 순간 눈으로 봤다
2015.02.23
김종구 KAIST 박사과정 학생이고 오른쪽은 김경환 IBS 연구위원이다. - IBS 제공 금 삼합체
수용
액에 특수광원과 레이저를 쏘아주면 일정 시간이 흐른 뒤의 엑스선 회절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 IBS 제공 그 결과 금 원자끼리 화학결합을 형성해 분자가 되는 과정을 담은 데이터를 얻었다. 금 원자 ... ...
펭귄은 ‘쓴·단·감’ 못 느끼는 ‘미맹(味盲)’
2015.02.17
알아냈다. 다른 조류와 달리 펭귄은 단맛뿐 아니라 쓴맛과 감칠맛을 느끼게 해주는
수용
체 유전자도 함께 고장 나 작동하지 않게 된 상태였다. 연구팀은 펭귄이 쓴맛은 물론 주식인 생선이 주는 감칠맛도 느끼지 못하게 된 이유로 2300만 년 전 찾아온 빙하기를 지적했다. 단맛과 쓴맛, 감칠맛을 ... ...
셀카봉 비켜~ ‘셀카 드론’ 나가신다!
2015.02.01
찍어준다는 개념이었다. 닉시는 허무맹랑한 상상을 덜어내고 물리 법칙을 그대로
수용
하면서 모바일 환경과 로봇 기술 등을 접목해 상상을 실현해 냈다. 곧 출시를 앞둔 닉시가 지난해의 발명품인 셀카봉의 운명까지 위협할 지 지켜볼 일이다. 닉시 개발팀이 기술자와 디자이너를 모집하고 있다고 ... ...
허니버터칩 왜 맛있는 거야?
과학동아
l
2015.01.30
아니다. 혀에서 단맛을 느끼는
수용
체는 ‘T1R2-T1R3’라는 단백질 단 하나다. 반면 쓴맛
수용
체는 10여 개가 넘는다. 쓴맛을 내는 음식이 단맛을 내는 음식보다 훨씬 다양한 걸 생각해 보면 이해가 된다. 어쩌면 우리가 아직 모르는, 제조사도 모르는 허니버터칩의 또 다른 비밀이 있을지 모른다. ... ...
간편요리 허니버터칩, 직접 만들어보니...
2015.01.30
위해서는 쓴맛과 짠맛이 함께 있어야 한다. 그런데 지나치게 많은 소금은 혀에 있는 쓴맛
수용
체를 활성화해 오히려 쓴맛을 더 쓰게 하고 단맛을 떨어뜨릴 수 있다. 따라서 최적의 비율이 필요하다. 허니버터칩 맛의 비법은 단맛-쓴맛-짠맛의 황금비를 찾아낸 것이다. 과학동아 1월호, 「허니버터칩 ... ...
[동아쟁론]월성원자력발전소 1호기 운전 연장
동아일보
l
2015.01.30
발전차량 확보 등의 추가적인 안전성 향상조치도 취했다. 이에 더해 2012년에는 국민
수용
성을 높이기 위해 IAEA로부터 점검을 받아 안전성을 확인했다. 최근에는 박근혜 대통령 공약사항인 유럽형 스트레스테스트를 통해 대형 자연재해 대응 능력을 평가했고 이에 대한 민간검증단의 검증까지 완료된 ... ...
1800대 1 경쟁률 뚫고 비목나무, 미역취 당선
2015.01.27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번 연구결과를 응용하면 곤충의 유충호르몬에 직접 작용하는
수용
체를 찾아내 복제할 수 있게 됐다. 다른 동물에는 전혀 해가 없는 선발법을 개발해 사용할 수 있게 됐으며, 살충물질의 탐색시간과 개발비용이 크게 줄어들 전망이다. 오현우 연구원은 “기존 방법에 ... ...
자폐증 환자가 사회성 떨어지는 이유 찾아내
2015.01.27
확인했다. 연구팀은 이 쥐의 뇌 부위 가운데 해마에서 단백질의 하나인 ‘흥분성 NMDA
수용
체’가 과도하게 활성화돼 있다는 사실을 새롭게 발견했다. 이 단백질은 이온을 통과시키는 이온통로로, 활성이 증가하면 더 많은 이온을 통과시킨다. 연구팀이 이 단백질의 활성을 줄이는 약물인 ... ...
‘감칠맛’ 잃으면 건강 잃는다
2015.01.26
데는 전혀 문제가 없는 반면 감칠맛만 제대로 느끼지 못한 것이다. 감칠맛을 느끼는
수용
체는 혀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장에도 있기 때문에 이 감각에 문제가 생기면 장에서 일어나는 영양분 흡수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다. 그 결과 살이 빠지고 건강에 전반적으로 이상이 생길 수 있다. ... ...
미라 100만 구 묻힌 거대 묘지 발견
과학동아
l
2015.01.21
점령했던 1~7세기에 묻혔을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해당 시기에는 묘지 근처에 시신을
수용
할 만한 큰 도시가 없어 100만 구가 넘는 시신이 어디서 왔는지는 수수께끼로 남아있다 ... ...
이전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