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인
수락
접수
수납
수령
승인
시인
뉴스
"
수용
"(으)로 총 1,92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회]
2014.12.22
식욕억제호르몬을 렙틴(leptin)이라고 명명했다. 물론 db유전자 역시 콜맨의 예상대로 렙틴
수용
체를 암호화했다. 흥미롭게도 렙틴은 주로 지방세포에서 만들고 db유전자는 뇌의 시상하부에서 발현된다. 즉 식욕은 에너지 상태를 파악한 몸이 주는 정보를 토대로 뇌가 판단을 내린 결과라는 말이다. ... ...
올해의 바이오뉴스 키워드는 에볼라-기초연구비-나고야의정서
2014.12.21
△ 세포 스스로 목숨 끊어 결핵 치료한다 - 조은경 (충남대 의대) △ 비만 조절하는 핵심
수용
체 발견 - 김효수 (서울의대, 서울대병원) △ 철 대사를 조절하여 병원성 세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항균제제 후보물질 발견 - 최현일 (전남대 의대), 최흥식 (전남대) ▽2014 일반뉴스 Top5 △ “대학원생 40% ... ...
몸속에서 뺏고 빼앗는 ‘철(Fe)의 전쟁’
2014.12.14
생명 현상을 유지할 에너지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가장 마지막으로 전자를 받는
수용
체이며 DNA를 합성할 때는 조효소로 작용한다. 사람 몸에 들어온 세균의 경우 철을 얻기가 매우 힘들다. 이 때문에 세균이 선택한 전략은 바로 ‘해적질’. 표면에 ‘TbpA’라는 단백질을 붙여 사람 몸 안에서 철을 ... ...
물-기름 ‘상극’인 물질 결합시켜 나노복합체 개발
2014.12.11
필요하고 흡착량마저 낮은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추가 공정 없이 무극성 나노입자와
수용
액에 분산된 극성물질을 직접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다층 박막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고분자나 탄소기반 물질이 가지고 있는 작용기와 무기 나노입자 표면 사이의 결합력을 이용한 ... ...
왜 나쁜 기억은 잘 잊혀지지 않을까
2014.12.09
편도체가 기억을 더 잘 담아두도록 돕는 것이 세포의 표면에 있는 ‘노르아드레날린’
수용
체라는 사실을 밝혔다. 즉 노르아드레날린이 기억을 강화시킨다는 것이다. 요한슨 박사는 “노르아드레날린은 나쁜 감정을 기억으로 번역하는 역할을 한다”며 “개에 물렸을 때처럼 안 좋은 ... ...
거짓말만 하면 딸꾹질 ‘피노키오 증후군’ 진짜 있나?
2014.11.23
fMRI를 이용한 거짓말 탐지기도 경험적 검증을 거쳐야 하고 과학자 사회에서 널리
수용
돼야 증거로 채택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다시 드라마 얘기로 돌아가자. 여주인공은 선의의 거짓말도 못하기 때문에 학교와 사회생활에 어려움을 겪는다. 하지만 여주인공의 말이라면 무조건 믿기 때문에 ... ...
줄기세포치료제 손상 없이 전달하는 기술 개발
2014.11.18
가능한 원래 상태로 돌아가게 되는 원리를 이용, 효모세포를 탄닌산
수용
액과 철이온
수용
액을 섞어 세포를 하나씩 금속-폴리페놀박막으로 감싸는 데 최초로 성공했다. 연구팀은 또 세포를 감싼 박막이 중성에서는 안정적이지만 약한 산성조건에서는 빠르게 분해 되는 특성을 이용해 원하는 ... ...
국가 R&D 혁신 통해 사업화 해법 찾는다
2014.11.14
“연구 과제 선정에 대한 투명성을 높여 달라” 등의 요청에 대해 미래부 관계자는 적극
수용
방침을 내비쳤다. 최양희 미래부 장관은 “국가 R&D 예산이 18조 원에 달하지만 성과가 부족한 현실에서 지금이야말로 R&D 혁신을 위한 ‘골든타임’”이라며 “토론회에서 나온 의견을 잘 검토해 정부 ... ...
“성 행위 조절 단백질이 수면에도 관여”
2014.11.12
있었다. SPR이 성행위 뿐 아니라 다른 신경계 항상성에도 관여한 것이다. 연구팀은 이
수용
체가 SP단백질뿐 아니라 ‘MIP 단백질’과 결합해 수면을 유도할 수 있다는 사실을 새롭게 밝혀냈다. SPR이나 MIP이 없는 초파리는 암수를 가리지 않고 잠을 자지 못하거나 수면시간이 크게 줄어든다는 사실을 ... ...
위를 줄인다고 비만이 해결될 수 있을까?
2014.11.03
실렸다. 즉 수술을 받은 동물은 쓸개에서 담즙산의 분비가 늘어나는데, 그 결과 FXR이라는
수용
체가 활성화돼 일련의 생리반응이 일어난다는 것. FXR은 간과 지방조직, 소장 등에 존재하는데 작용이 활발해지면 지방흡수율이 떨어지고 혈당 조절도 개선된다. 아울러 장내미생물의 조성에도 영향을 ... ...
이전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