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본"(으)로 총 3,668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 곳곳, 무엇을 먹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0810
- 단 하나뿐인 채식주의자를 위한 피자헛이 있을 정도랍니다. 1년에 106.6㎏을 먹는, 호주일본이 생선을 많이 먹는 나라라면 고기를 많이 먹는 나라도 있어요. 바로 호주랍니다. 호주 리버뷰에 사는 브라운 씨 가족이 일주일치 음식을 보여 주고 있어요. 한눈에 보기에도 고기가 무척 많죠? 호주는 ... ...
- 우주에서 몸무게 0, 다이어트 고민 끝?과학동아 l200810
- 한국의 교육실험장치를 사용하겠다는 의견은 이소연 박사가 ISS에서 실험하는 장면을 본 많은 이들의 생각이었다. 맨 처음 내가 이 박사에게 의견을 얘기했을 때 러시아 우주인 올레그 코노넨코가 이미 똑같은 요청을 했다는 사실을 전해 듣고 깜짝 놀랐다. 교육실험장치를 ISS에서 오랫동안 여러 ... ...
- 유기농이 오히려 더 위험할 수 있다?과학동아 l200809
- 일본국립과학박물관, 초고속열차 신칸센, 친환경자동차, SF만화 등을 체험하며 일본의 힘이 과학문화의 대중화에서 나온다는 사실을 보여준다.성도조상호 지음ㅣ사이언스북스ㅣ208쪽ㅣ3만 원사계절 별자리, 성운, 성단, 은하를 모두 담은 우리 밤하늘 지도가 나왔다. 천체사진작가인 저자가 1년 동안 ... ...
- ‘검은 태양’ 아래서 꿈을 꾸다과학동아 l200809
- 일어난 곳에서의 감동을 10% 라도 느낄 수 있다면 말이다. 황인준 천체사진가 일본 근기대(近畿大)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링컨대에서 MBA 과정을 마쳤다. 현재 천문기자재 회사 아스트로드림테크의 대표를 맡고 있다. 어린 시절 앞마당에 펴놓은 멍석에 누워 바라봤던 별빛에 매료된 뒤 30년 넘게 ... ...
- [생물]생체인식 기술의 특성과학동아 l200809
- 9개의 영역이 존재한다. 따라서 경우의 수는 가 나온다. 세계 인구를 60억 명으로 본다면 지문인식을 할 때 같은 사람으로 인식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를 방지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첫째, 만약 영역을 12개로 나눈다면 경우의 수는 가 된다. 이렇게 되면 세계 인구에 비해 10배에 가까운 경우의 ... ...
- ‘양날의 검’ 항생제과학동아 l200809
- 페니실리움 노타툼으로부터 페니실린 발견.1940.05페니실린 최초 생산플레밍의 논문을 본 영국 옥스퍼드대의 생화학자 에른스트 체인 박사와 병리학자 하워드 플로리 박사가 페니실린을 약품으로 만드는 데 성공.1942페니실린 대량 생산제2차 세계대전 동안 수많은 부상자가 발생하자 약 20개 ... ...
- [지구과학]구름이 하늘에 떠 있는 이유과학동아 l200809
- 는 별 A의 몇 배인지 구하라. 2) 철수는 별 B와 태양의 시직경(관측자가 항성의 지름을 본 각도)을 관측하고 이를 이용해 별 B의 반지름이 태양 반지름의 45배임을 알아냈다. 1)의 결과를 이용해 태양 반지름에 대한 별 A의 반지름 비를 구하라. 3) 태양의 표면온도는 약 6000K로서 복사에너지가 최대인 ... ...
- 한우 꽃순이의 독백과학동아 l200809
- 하는 일소였죠. 쟁기를 맨 누런 소를 농사꾼이 “이랴, 이랴”하면서 모는 모습 TV에서 본 적 있죠? 지금은 농사도 기계가 하는 시대라 저희 역할이 많이 줄었지만 아직도 시골에서는 쟁기를 끄는 친구들이 있답니다.아무튼 옛날 농경사회 때는 사람들이 소를 잘 먹을 수 없었다는군요. 사람 먹고 살 ... ...
- 소금쟁이가 물 위에서 점프할 수 있는 이유과학동아 l200808
- 오므리는 과정을 서너 번 반복하면 물방울을 목구멍까지 밀어 넣을 수 있다.이것은 기본적으로 부리 표면이 물을 좋아하는 친수성이기 때문에 일어날 수 있는 일이다. 사실 아래 위 부리가 평행하지 않게 살짝 벌어져만 있어도 부리 표면이 물과 최대의 면적에서 접촉하도록 물방울이 목구멍 쪽으로 ... ...
- '명왕성'을 찾아 떠난 여행, 그 뒤과학동아 l200808
- 1844~1912 독일의 식물세포학자 본·예나 대학에서 공부하고 예나 대학 교수를 거쳐 본 대학 교수가 되었다 종자식물의 수정(受精) 과정을 연구하고 베네덴, 기냐르와 감수분열을 발견(1888), 식물의 발생학을 개척했다 유전자 조작기술로 만든, 체중이 평상의 2배가 넘는 마우스 1982년 미국 워싱턴 ... ...
이전1691701711721731741751761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