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양"(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섭섭박사] 칠교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친구들이 고학년보다 모양을 더 잘 맞춰서 깜짝 놀랐다”며, “집에 가서 더욱 다양한 모양을 만들어 보고 싶다”고 말했답니다.수학 원리가 담긴 전통놀이 만들기도 대성공! 다음에는 또 어떤 실험이 펼쳐질지 기대해 주세요~ ... ...
- Part 3. 미션 ➋ 태양전지로 에너지를 얻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주노는 태양전지를 달고 가장 먼 곳으로 날아간 탐사선이에요. 지금까진 목성처럼 지구와 멀리 떨어진 행성으로 이동하는 탐사선들 대부분이 플루토늄을 재료로 하 ... 1. 주노는 왜 목성으로 갔을까?Part 2. 미션 ➊ 강력한 방사성 물질을 피하라!Part 3. 미션 ➋ 태양전지로 에너지를 얻어라 ... ...
- [도전! 코드 마스터] 컴퓨터는 내가 원하는 정보를 어떻게 찾아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데이터 검색부터 ‘알파고’ 같은 인공지능의 학습에까지 두루두루 쓰이고 있지요.다양한 검색 알고리즘의 기본이 되는 건 ‘순차 검색’과 ‘이진 검색’이에요. 순차 검색은 처음부터 끝까지 차례로 찾는 방법이에요. 예를 들어 1부터 10까지 숫자 중에서 8을 찾는다고 해요. 그럼 1부터 하나씩 ... ...
- Part 3 세번째 작전. 소행성 충돌의 결과를 조심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당시 이 지역 대기권에 소행성이 충돌하며 폭발한 결과, 엄청난 양의 열이 북아메리카 대륙의 빙하를 한꺼번에 녹여 버렸다고 밝혔어요.빙하를 이루는 물은 미네랄이 풍부한 바닷물보다 밀도가 낮아요. 그래서 이 물이 바다에 한꺼번에 들어간 뒤에도 바다에 원래 있던 짠물 ... ...
- [도전! 코드 마스터] 엉망진창 책장 속 책들, 어떻게 정렬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3호
- 해요. 즉 1, 2, 3, 4, 5라는 결과가 나오며 정렬 완료! 만약 이보다 데이터가 많으면 기준 값 양 옆을 다시 한 번 정렬해 줘야 해요. 이런 식으로 기준인 데이터를 다른 값들과 바꿔 가며 데이터들을 작게 나누고, 그 데이터를 빠르게 정렬하는 것이 퀵 정렬의 특징이랍니다.거품 정렬 알고리즘도 많이 ... ...
- [가상인터뷰] 찌릿찌릿~, 전기뱀장어가 공격하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3호
- 전기세포는 이 과정을 더 빠르고 격렬하게 일으키기 때문에 다른 세포에 비해 많은 양의 전기를 만들 수 있지요. 또한 각각의 전기세포가 직렬로 연결돼 있어서 몸에서 나오는 전기를 모두 합쳐 높은 전압을 만들 수 있답니다.일리 : 왜 물 밖으로 뛰어오른 거니?전기뱀장어 : 전기뱀장어는 보통 ... ...
- 친환경 비행기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3호
- 요트가 더 높이 떠오를 수 있답니다. 오라클 USA팀은 A320에 사용한 샤크렛과 똑같은 모양의 날개를 만들어 요트에 달았어요. 또한 요트에 300개의 센서를 붙여 풍속과 풍향 등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팔목시계를 통해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했지요. 그 결과 더 빠른 기록을 세우며 우승할 수 ... ...
- 벌레의 습격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3호
- 부분이 고장났다는 증거이기 때문이에요.과학자들은 곤충의 습격이 지구온난화와 생물다양성 감소가 맞물려 일어나는 재해로 보고 있어요. 그리고 이렇게 고장 난 생태계에서는 인간도 살아남을 수 없다고 경고하고 있답니다. 으앙~! 무시무시한 벌레들의 습격은 결국 우리가 만든 지구온난화 ... ...
- Part 1. 세포를 죽이는 살균제의 능력!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대량으로 사용하면 더욱 빠르게 많은 양을 없앨 수 있어요. 그래서 살균제를 건물이나 토양에 뿌려 넓은 범위를 소독하거나, 생활용품에 넣어 오랫동안 제품을 보존할 수 있도록 한답니다.살균제는 하나의 세포로 이루어진 세균의 세포막 단백질의 구조에 영향을 미치거나, DNA를 바꿔요. 그러면 ... ...
- [과학뉴스] 사람 소장의 융모 흉내 낸 배터리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띤 기자리튬이온을 포획하는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연구팀은 이를 극복하기 위해 양전극 부분에 리튬이온을 추가로 포획할 수 있도록 산화아연층을 쌓아 올렸다. 이 층은 우리 몸의 소장에서 표면적을 넓혀 소화를 돕는 융모 구조를 본떴다. 실험 결과, 산화아연층이 리튬-황 화합물과도 강하게 ... ...
이전1691701711721731741751761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