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양"(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20억t 천지 물이 마그마와 만나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각종 미네랄이 들어있다며 홍보하고 있다.문제는 이런 백두산 광천수 사업이 난개발 양상을 보인다는 것. 현재까지 개발한 수원지만 130곳이 넘고, 여기서 한해 평균 150만t의 광천수를 생산해내고 있다. 2010년 생산량이 30만t이었는데 6년 만에 5배 가량 늘었다. 최근엔 1500만t 규모의 광천수 생산시설도 ... ...
- [Tech & Fun] 고요한 시대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독립적이다. 하지만 마음의 대화는 서로 섞였다. 호수에 물이 흘러드는 것처럼.다양하고 다채로우면서도 질서 있었다. 먼 옛날의 종로 거리에서처럼. 자신이 지금 지키는 것이 고귀하고 자랑스러운 것이라 믿는 사람들만이, 삶을 축제로 여기리라 다짐하는 사람들만이 가질 수 있는 생명력으로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요구르트 병 로켓을 발사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요구르트 병 로켓은 위로 솟구친다.원리요구르트 병 안에 공기를 계속 주입하면 공기의 양이 점점 많아지고 병 안의 압력이 올라간다. 압력이 높아진 공기는 지우개 뚜껑을 서서히 밀어내고, 뚜껑이 빠지는 순간 요구르트 병이 위로 밀리면서 발사된다.페트병으로 만드는 물로켓처럼 요구르트 병 ... ...
- [소프트웨어] 꼬마 스티브 잡스 키운다수학동아 l2016년 12호
- 끼웠다. 블록을 연결하면 어떤 일이 생기는지 묻자, 김은서 학생은 “블록 속에 빛의 양을 감지하는 센서가 있는데, 이 센서를 손으로 가리면 밤이고, 손을 떼면 낮이라는 뜻”이라고 알려줬다.아침이 되면 캐릭터를 깨우기 위해 알람소리가 울려야 한다. 프로그래밍 언어인 ‘스크래치’로 ‘아침이 ... ...
- [News & Issue] 감칠맛=글루탐산 맛!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천연재료를 끓여 나온 MSG와 동일하다. | MSG 조미료1g고기단백질 함량이 많아서 MSG의 양도 많다. 그러나 워낙에 단백질을 많이 필요로 하는 생물이라 MSG의 99%는 덩치가 큰 단백질 상태로 존재한다. 유리MSG는 1%에 불과하다. | 닭1867g◎ 발효 : 단백질을 끊어서 감칠맛 성분을 극대화하는 과정이다.◎ ... ...
- [Career] 나노물질과 인체의 ‘궁합’ 봅니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새로운 독성평가 방법으로 활용될 가능성이있다. 현재 연구팀은 양자점을 포함한 다양한 나노입자의 구조와 화학적 특성에 따라 독성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확인하는 연구를 계획 중이다. 세 사람은 “DGIST가 융합 연구를 적극적으로 장려하기 때문에 함께 연구를 할 수 있었다”고 입을 모았다. ... ...
- Part 5. 비행기가 활주로를 뜨지 못하는 이유수학동아 l2016년 12호
- 무게와 달리 온도와 습도, 풍속 등은 변화무쌍합니다. 이럴 때를 대비해 와후류의 모양과 속도 데이터를 예측한 값과 실제 값의 차이를 나타내는 함수를 만들어 놓습니다. 그다음 앞서 비행기가 뜨면서 만들었을 와후류의 속도 데이터를 예측해 이 함수에 대입합니다.이때 함숫값을 가장 작게 만드는 ... ...
- Part 2. 백두산 최신 연구 업데이트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밑 상부 맨틀에 거대한 열구조대(마그마 방)의 존재를 알아냈다. 그리고 이것이 태평양판의 탈수작용으로 생겼다는 주장을 제기했다. >> 논란 하지만 백두산에서 검출된 미량원소가 섭입대 조성과 별다른 관련성을 보이지 않아 이 설을 반박하는 주장도 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 ...
- Part 2. 가상현실(VR) 드론의 미래를 만나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 “예?”“엎드린 후 양 팔을 활짝 펴고 움직여보세요.”9월 28일 가상현실(VR) 비행 시뮬레이션 분야의 권위자인 스위스 취리히예술대 인터랙션디자인학과 맥스 라이너 교수는 자신의 연구실에 있는, 안마기 같은 요상한 흰 기계 위에 다짜고짜 엎드릴 것을 권했다. ‘헤드셋과 선풍기까지 연결된 ... ...
- Part 1. 제2의 지구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그래서 많은 과학자들은 지구에서 더 오랫동안 살 수 있는 방법들을 연구하고 있어요. 태양열이나 지열 같은 석유의 대체자원 연구는 물론, 에너지 재활용 등도 활발히 연구되고 있지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구의 수명이 언젠가는 다할 것이라는 사실은 변하지 않아요. 그래서 스티븐 호킹 교수를 ... ...
이전1701711721731741751761771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