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용어"(으)로 총 2,133건 검색되었습니다.
- 2. 홀로그래피과학동아 l1996년 06호
- 갖고 있다. 머지 않아 홀로그램으로 제작된 상품 선전 카탈로그를 보게 될 것이다. 용어설명회절빛은 직진만 하지 않고 방해물이 있으면 진행방향이 바뀌는 현상이다. 빛이 아주 작은 틈새를 진행할 때 그 틈새 옆에서도 퍼진 빛을 볼 수 있다.간섭2개 이상의 빛이 합쳐질 때 두 물결이 합치는 것처럼 ... ...
- 4. 가상현실과학동아 l1996년 06호
- 산업의 요소 기술을 종합하는 가상현실 기술은 21세기의 기간 산업이라고 할 수 있다.용어설명크로마키 기법텔레비전의 화상 합성을 위한 특수 기술로 빨강, 녹색, 파란색의 3원색 신호를 이용한다. 청색 스크린 앞에 인물이나 피사체를 배치하고 카메라로 촬영한 후 피사체의 상을 다른 화면에 끼워 ... ...
- 3. 입체 TV과학동아 l1996년 06호
- 개발이 먼저 추진될 것이다. 완벽한 3차원TV는 21세기 초 그 실체가 드러날 것 같다. 용어설명HD(고선명)TV35mm 영화를 보는 것과 같이 화질이 선명하고 음질이 깨끗한 TV를 HDTV(high definition television)라 한다. 기존의 TV의 주사선수가 5백25개(또는 6백25개)인데 비해 HDTV는 1천50개 이상으로 화 ...
- 뇌 필름 끊기는 이유과학동아 l1996년 06호
- 못하는 진행성(anterograde) 증상이 나타날 때 흔히 '필름이 끊겼다'고 말한다. 이를 의학 용어로 '일시적 기억상실'(blackout)이라고 부른다. 이때 다른 정신 기능은 유지되기 때문에 겉으로는 멀쩡해 보인다. 그래서 주변 동료들은 이를 전혀 눈치채지 못한다.필름이 끊기는 대표적인 원인은 알코올이다. ... ...
- 전화가 바뀐다, 세상이 바뀐다과학동아 l1996년 06호
- 핸드폰이나 삐삐 정도를 첨단으로 알고 있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요즘 영어 약자와 전문용어가 뒤범벅된 신문의 '첨단 정보통신' 기사만 나오면 겁부터 난다고 한다. 중학생 수준이면 충분히 이해된다는 신문이건만 이들 기사는 "읽기조차 힘들다"고 푸념이다.작년부터 서서히 시작된 이런 불평은 ... ...
- 공기흐름 막는 액세서리, 달면 손해?과학동아 l1996년 05호
- .3전후, 버스는 0.38,트럭은 0.8 정도다.공기역학이라는 말이 어색한 일반인들도 cd계수라는 용어는 광고를 통해 익숙해 있다. 3가지 공기저항력중에서 전면에 미치는 항력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보통 자동차의 공기역학적 특성은 cd계수의 높낮음에 따라 판단한다. 국내생산 승용차 ... ...
- 우리집 홈페이지 만들기과학동아 l1996년 05호
- 메뉴의 'SETUP' 을 실행시키면 앞 페이지와 같은 화면이 나타난다. 여기에 등장하는 각종 용어를 살펴보자.IP address: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전송할 때 자신의 주소로 사용되는 주소를 적는 부분.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에서 알려주는 대로 적는다. 나우누리의ppp서비스 경우에는0.0.0.0이라고 입력하면 ... ...
- 새로운 인터넷 언어 자바과학동아 l1996년 04호
- 몇 배 더 강력한 기술로 재탄생할 수 있는 교두보 역할을 자바가 톡톡히 해 나갈 것이다.용어설명자바: 선 마이크로시스템스(Sun Microsystems)에서 개발한 객체지향프로그래밍 언어(Object Oriented Programming Language)의 일종.핫자바: 자바로 만든 프로그램(애플릿)을 실행시킬 수 있는 웹 브라우저로 자바 .. ...
- 1. 대도시에 지진이 일어난다면과학동아 l1996년 04호
- 경우가 자주있다. '리히터지진계'라는 관측기는 존재하지 않는다. 또 '강도'라는 용어는 공식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한편 '진도' 는 지진을 피해정도에 따라 평가하는 기준으로 신문이나 방송에서 흔히 사용된다. 진도는 객관적인 계측이 아닌 매우 주관적인 판단에 의해 설정되며, 로마숫자를 ... ...
- 아마추어천문 단계별 입문법과학동아 l1996년 04호
- 망원경은 1백50mm 이상이 좋다. 특히 사진 촬영에서는 모터의 정밀성이 매우 중요하다.용어설명별의 등급 : 별의 밝기를 숫자로 나타낸 것. 기원전 2세기 경 히파르쿠스라는 사람이 눈으로 볼 때 가장 밝은 별을 1등급, 가장 어둔 별을 6등급으로 정한데서 출발됐다. 후에 1등성은 6등성보다 1백배 밝고 ... ...
이전1691701711721731741751761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