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4컷 만화] 바다의 비밀 요원들이 대기 중 탄소를 줄인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월 17일, 미국 럿거스대학교 해양해안과학과 그레이스 사바 박사 연구팀은 바다의 물고기들이 연간 약 16억 5000만t의 탄소를 바다 밑으로 보내 가둬둔다고 발표했어요.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증가하면, 일부는 바다에 녹아요. 식물성 플랑크톤은 녹아 있는 이산화탄소로 광합성을 해서 ... ...
- [가상 인터뷰] 화성에서 필요한 산소, 직접 만들어 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주목했지. 화성에 산소는 거의 없지만 질소와 이산화탄소는 있거든. 2월 17일, 독일 브레멘대학교 응용우주기술 미소중력연구센터 시프리앙 베르수스 박사팀은 화성과 비슷한 환경에서도 ‘PCC 7938’라는 이름의 ‘아나베나 시아노박테리아’가 광합성으로 산소를 만들었다고 밝혔어.Q. 화성 같은 ... ...
- [기획] 얼매나 소중한 긴데! 사투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안녕? 나는 세종. 2021년 대한민국에서 사투리가 점점 사라지고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어. 한글을 사랑하는 나, 세종이 가만히 있을 순 없지. 그런데 사투리를 왜 지켜야 하냐고? 어허! 이거 안 되겠구만! 사투리가 얼마나 소중한 건지 알려줘야겠군!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기획] 얼매나 ... ...
- [기획] 사투리를 사랑한 사람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여러 단어의 등어선을 겹쳐 굵기를 살펴보면 지역별 언어의 특징을 알 수 있지요.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정승철 교수는 “사투리엔 각 지역의 역사도 담겨 있다”고 말했어요. 예를 들어 ‘부추’라는 단어로 고대 국가 국경선의 모습을 볼 수 있어요. 부추는 고대 신라에서는 ‘정구지’, ... ...
- [통합과학 교과서] 기억력을 높이는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것보다 더 높은 학습 능력을 통해 게임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어요. 미국 퍼듀대학교 동물복지과학센터의 칸다이스 크로니 교수팀은 돼지가 단순한 명령 훈련만이 아니라 더 높은 수준의 학습을 통해 게임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 지난 2월 발표했지요. 연구팀은 먼저 요크셔종 돼지 ... ...
- [수학뉴스] 수학으로 건물에 필요한 엘리베이터 개수 찾기수학동아 l2021년 06호
- 21대의 엘리베이터가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논문 제1저자인 지제 펑 미국 보스턴대학교 물리학과 박사과정연구원은 “비선형 역학 성질 때문에 엘리베이터 대기 시간을 정확히 계산할 수 없지만, 적어도 특정 층만 운행하는 방식을 제안하거나 알맞은 엘리베이터의 개수를 정하는 데 ... ...
- 연립방정식으로 쑥쑥 AI 지능을 키워라!수학동아 l2021년 06호
- 두둥! 이곳은 대한민국에 있는 어느 인공지능(AI) 연구소야. 저기 기계학습 알고리듬을 탑재한 AI 로봇 ‘아이폴리’가 곧 탄생하려고 해! 아이폴리는 반복적인 경험을 통해 스스로 학습하며 똑똑해질 거야! 이때 중요한 요소는 데이터야.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규칙을 찾아내 결과를 예 ... ...
- 전략 회의 10분 전! 폴리매스란 무엇일까?수학동아 l2021년 06호
- 히어로들의 놀이터, 폴리매스!1998년 필즈상 수상자인 티모시 가워스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 교수는 여러 사람이 힘을 합쳐 수학 문제를 풀 수 있는지 궁금해했습니다. 그러던 2009년 2월 1일 가워스 교수는 증명이 어려운 수학 문제 하나를 자신의 블로그에 올립니다. 이 문제는 7주 만에 40여 명이 힘을 ... ...
- [수담수담] 수학과 문학의 수상한 만남-함기석 작가수학동아 l2021년 06호
- 수를 다루는 분야보다 공간을 상상하는 일이 더 흥미롭다고 운을 뗐습니다. 그래서 대학을 졸업한 뒤에도 도형의 위치와 형상을 연구하는 분야인 위상 수학을 혼자서 공부했죠. 함 작가님은 위상 수학을 통해 여느 작가와는 다른 새로운 시각을 갖게 됐습니다. 전혀 다른 도형으로 여겨지는 ... ...
- [IBSX수학동아] 수학자는 수학세계를 탐험하는 모험가-황준묵 교수수학동아 l2021년 06호
- 아주대 총장) 황준묵 단장은 한국이 배출한 세계적인 기하학자입니다. 저와 같은 대학교에서 함께 물리학을 전공한 뒤부터 오랜 기간 지켜본 황 단장은, 논문을 쓰기 좋은 연구 주제가 아닌 쉽게 해결할 수 없으나 파급 효과가 큰 기하학 분야의 난제를 골라서 연구하는 학자입니다. 또 연구뿐 ... ...
이전1701711721731741751761771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