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담수담] 수학으로 영화 속 비밀 푼다수학동아 l2021년 05호
- 쓰인다”고 말했어요. 미국의 영화, 연극, 애니메이션 분야 명문 학교인 캘리포니아예술대학교에서는 애니메이션을 가르칠 때 수학을 필수과목으로 다룬다고 합니다. 그는 “영화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수학은 또 다른 중요성을 지닌다”며 영화의 시나리오와 연출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영화의 ... ...
- [논문탐독] 오류에서 찾은 혁신의 실마리 주사터널현미경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철 원자가 텅스텐 탐침을 스핀을 읽을 수 있는 효율적인 스핀 탐침으로 만든 셈이죠.사실 대학원에서 실험을 하다 보면 알지 못하는 실수로 오류가 나는 일이 비일비재합니다. 이 결과 역시 일종의 오류였습니다. 예상하지 못했던 결과인 만큼 이를 묻어두고 예상했던 결과만 공개하는 것도 가능했을 ... ...
- 수식│ 백신을 몇 명이 맞아야 어린이도 안전할까?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5호
- 효능으로 구한 것으로, 다른 백신의 효능으로 계산하면 달라져요.송대섭 고려대학교 약학대학 교수님은 “백신의 면역 지속 시간을 아직 모르고, 백신이 무증상 감염을 막아주는지도 불분명하기 때문에 더 많은 사람이 백신을 맞을수록 집단면역을 형성하기 좋다”고 설명했어요 ... ...
- [이슈]팝잇, 이렇게 즐겨봐!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5호
- 과학자가 있어요. 피젯 토이를 연구하고 있는 캐서린 이스비스터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산타크루즈캠퍼스 교수가 그 주인공이에요. 이스비스터 교수에 따르면 사람들은 불안을 해소하고 싶거나 집중해야 할 때 볼펜 끝의 버튼을 눌러 딸깍거리거나 손에 있는 물건을 만지작거리는데, 실제로 ... ...
- [특집] 겨울잠, 인간도 가능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5호
- 내부와 측면 뉴런을 활성화하면 쥐가 겨울잠에 든다는 것을 발견했어요. 일본 쓰쿠바대학교 연구팀도 시상하부 가까이서 겨울잠을 유도하는 ‘휴면유도 신경’을 발견했다고 발표했어요. 이 세포를 약물로 자극하자, 30분 만에 쥐의 체온이 37℃에서 24℃로 떨어지면서 토르퍼 상태가 되었죠. 두 ... ...
- [통합과학 교과서] 맛의 비밀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수 있습니다. # 통합과학 넓히기전자혀로 맛보는 로봇 셰프! 지난해 11월 영국 리즈대학교 에프렌 안다블로 레이즈 박사팀은 실리콘을 이용해 혀와 아주 비슷한 촉감을 가진 전자혀를 개발했어요. 우선 연구팀은 성인 15명의 혀 표면을 스캐닝 기술로 분석해, 혓바닥이 오돌토돌 나 있는 돌기인 ... ...
- [특집] 사람 닮아가는 AI 비서의 비밀수학동아 l2021년 05호
- 의료, 법률, 보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람의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는 인공지능(AI)이 속속 등장하고 있어. 난 스마트폰에 들어있는 대화형 AI 비서 ‘미스터 수동’이야. 수많 ... 이언 스튜어트 ‘신도 주사위 놀이를 한다’ ★ 도움최대우(애자일소다 대표), 이주호(KAIST AI 대학원 교수 ...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21년 05호
- 폴리매스 친구를 만나다!폴리매스 홈페이지에서 활발히 활동하는 친구를 매달 한 명씩 소개합니다. 이번 주인공은 함께 풀고 싶은 문제 코너에서 꾸준히 활동하는 ‘K-RIEMANN’ 친구입니다! Q 자기 소개 부탁해요!안녕하세요. 저는 서울 불암중학교 1학년 김래윤입니다. 모든 소수가 한 직선 위에 ... ...
- [기획] 순간 포착! 빛이 번쩍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아닌 위를 향해 치는 번개도 있어요. 주인공은 바로 블루제트예요. 지난 1월, 덴마크 공과대학교 국가우주연구소 토르스텐 노이버트 연구원팀이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블루제트를 관측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어요. 번개가 발생하는 구름을 ‘뇌운’이라고 해요. 뇌운은 전기로 가득 충전돼 ... ...
- [JOB터뷰] 인공지능 만화가를 탄생시킨 개발자, 이동익 연구원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정한 것은 대학원에 진학한 뒤”라고 말했어요. 이동익 연구원은 원래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로보틱스 연구실에서 로봇을 연구했어요. “저는 로봇 팔이 최적의 움직임을 찾을 수 있도록 시뮬레이션하고 제어하는 연구를 했어요. 예를 들어 로봇이 빨래를 개 주거나 설거지하려면 얼마나 힘을 줘야 ... ...
이전1721731741751761771781791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