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파고캐고 지질학자] 첩첩산중 강원도가 원래는 열대 바다였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구문소’라는 곳에 들렀어요. 이곳에 펼쳐진 석회암 지대는 지난 30년 동안 매년 대학생 제자들과 함께 현장 조사를 하던 장소이기도 합니다. 구문소의 석회암이 특이한 이유는, 첩첩산중인 이곳에 얕고 따뜻한 바다에 살던 생물들의 화석이 남아있다는 거예요. 어떻게 된 걸까요? 4억 년 전 ... ...
- 변이 vs. 백신 재설계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변했다면 백신이 만든 중화항체의 중화 능력도 감소할 수 있다. 신의철 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는 “중화항체는 바이러스에서 인체 침투에 핵심 역할을 하는 좁은 부위를 인식한다”며 “항원의 일부 염기서열 변화만으로도 인식 능력이 떨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실제로 미국 워싱턴대와 ... ...
- [인터뷰]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말한다! 수학으로 통하는 미래수학동아 l2021년 04호
- 힘을 모으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최 장관님이 말하는 미래 ② ‘컴퓨터 사고력’ 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던 교육자 출신답게 최 장관님은 교육에도 관심이 많습니다. 디지털 뉴딜과 각종 과학, 공학기술 발전도 그 근간이 되는 교육이 매우 중요하다는 철학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죠. 특히 ... ...
- [기획] 개미는 빛의 경로를 따르네~!수학동아 l2021년 04호
- 개미의 길도 렌즈를 만나면 굴절된다! 피오트르 야브원스키 교수와 최지범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석박사통합과정 연구원팀은 개미가 렌즈 모양의 장애물을 지나갈 때, 마치 빛이 렌즈를 통과할 때처럼 개미의 경로가 굴절되는 현상을 발견했습니다. 연구팀은 벨크로를 이용해 볼록렌즈, ... ...
- [기획] 소리를 전시하다, 연출가 강신욱과학동아 l2021년 04호
- 그렇듯, 강 연출가는 5살 때 바이올린을 잡은 순간부터 음악가의 삶을 살고 있다. 대학에서 작곡과 전자음악을 전공한 뒤 15년간 광고 음악 감독으로 살았다. 음악을 만들기 위한 기술적인 부분을 익히는 시간이었다. 그는 “광고음악에서는 광고주의 요구에 맞춰 적절한 음악을 빠르게 만들어 내는 ... ...
- [수학게임X파일] 추론 능력이 쑥쑥! 퍼즐 게임 매머드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추론 능력을 이용해 퍼즐을 푸는 게임이에요.” 게임 전문가인 오규환 아주대학교 미디어학과 교수님은 퍼즐 게임 ‘매머드’를 어수동 친구들에게 추천하며 이렇게 설명했어요. 수학적 추론 능력이라고? 다소 어려운 단어인데요, 수학을 잘하기 위해서는 필수로 갖춰야 하는 능력이에요. 어떤 ... ...
- [몬스터를 잡아라!] 비교의 달인, 비와 비율 몬스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4호
- 크기를 비교할 때 등장하는 비와 비율 몬스터가 몬스터 숲에 숨어있어요.저기 비 몬스터가 자신과 똑같이 생긴 초콜릿 조각을 손에 들고 자랑하고 있네요. 비율 몬스터는 입을 크게 벌리며 뾰족한 이를 드러내고 있어요. 게임을 즐기면 숲에 있는 비와 비율 몬스터를 잡을 수 있어요. 몬스터를 게 ... ...
- [지사탐 인터뷰] “개화시기 탐사로 식물 다양성을 지켜요!” 소지현 연구원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연구원의 연구를 보고 관심을 갖게된 것이 계기가 되었지요. “지난 2019년, 이화여자대학교 식물계통분류학 연구실의 김혜원 연구원이 기후 변화에 따른 개화 시기 변화에 대한 연구를 했습니다. 지난 50년 동안 홍릉수목원에 있는 나무 73종의 개화 시기와 기상 정보를 활용했지요. 분석 결과, ... ...
- [과학법정] 인공지능의 창작품, 주인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만들었다’는 별도의 표시를 도입하는 것도 방법”이라 했어요. _ 인터뷰민세희(서강대학교 아트앤테크놀로지과 교수) “인공지능의 창작 능력보단 일부만 기술을 누리는 것이 더 걱정돼요.” Q 인공지능 창작물, 누구 소유일까요?인공지능이 만든 창작물이 누구 것인지 이야기 하려면 창작을 ... ...
- [만화뉴스] 식물 세포 길러 가구를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만들기 위해 굳이 나무를 자를 필요가 없을 거예요. 지난 1월 20일 미국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루이스 페르난도 벨라스케스 가르시아 교수팀이 식물에서 추출한 세포를 나무처럼 단단한 세포로 배양했거든요.나무가 단단한 이유는 세포벽에 있는 화합물 ‘리그닌’ 덕이에요. 연구팀은 백일홍 ... ...
이전1751761771781791801811821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