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페로몬만 믿고 따라와!수학동아 l2021년 04호
- 결과를 이끌어내기도 하는 것이죠. 더 나아가 오드리 듀스투어 프랑스 폴사바티에대학교 연구원은 먹이까지의 거리와 걸리는 시간이 같은 두 가지 이상의 경로가 있을 때, 개미들이 페로몬이 뿌려진 경로만 이용하는 것을 발견하고 그 결과를 2004년 3월 1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습니다. ... ...
- 코로나19도 막을 수 없는 열정 마스크 쓰고 파이데이!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참여했던 것처럼 후배들에게 좋은 경험을 선물하고 싶었다”고 말했습니다.치열한 대학 입시를 경험했던 김 기자는 이 부분이 잘 이해되지 않았습니다. 공부하기 바쁜 3학년이 행사를 기획하는 것은 무척 부담스러운 일이라는 생각이 들었거든요. 공부하는 시간을 뺏긴다는 생각이 들지 않았냐는 ... ...
- [인공지능, 수학으로 타파]수학동아 l2021년 04호
- 네트워크로 신경망 구성하기신경계의 기본 단위인 뉴런의 작동 원리를 이용해 만든 인공신경망에서는 인공 뉴런이 입력 신호를 처리합니다. 인공 뉴런으로 구성된 층은 입력층과 중간층, 그리고 출력층으로 이뤄져 있습니다. 각 층은 한 층으로만 이뤄진 것이 아니라 경우에 따라 여러 개의 층으로 ... ...
- [이달의 수학자] 위대한 업적, 그리고 위대한 선생님 히로나카 헤이스케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수학을 가르쳤습니다. 그때 강의를 들은 사람들 중 한 사람이 바로 허준이 미국 스탠퍼드대학교 수학과 교수입니다. 허 교수는 여러 수학 난제를 증명하며 한국인 최초로 필즈상을 받을 수 있을 거라 점쳐지는 수학자입니다. 그런 허 교수가 수학에 뜻을 품게 된 계기가 바로 히로나카의 강의라고 ... ...
- [기획] 음악으로 발견한 소통의 본질, 뮤지션 박새별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연구자로 살고 있다. 박새별 연세대 심리학과를 졸업하고 KAIST 문화기술대학원 박사과정에 재학 중이다. 안테나뮤직 소속 뮤지션으로 ‘새벽별’ ‘하이힐’ ‘Ballades OP.3’ 등의 음반을 발표했다. 정승환의 ‘이 바보야’와 린의 ‘이별의 온도’ 등 다양한 곡의 작곡, 작사 및 프로듀싱에도 ... ...
- [특집] 막아라! 여섯 번째 대멸종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과학과), Nicholas Guttenberg(도쿄공업대학교 지구생명과학연구소), Elise F Zipkin(미시간주립대학교 생물학부),김산하(생명다양성재단 사무국장), 현희진(이야기와 동물과 시 ... ...
- [여섯 번째 대멸종] 아직 희망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식량 생산이 일차 목표이기 때문에 개발을 우선할 수 있기 때문이지요. 서울여자대학교 화학생명환경과학부 이창석 교수는 “생태계를 복원해야 대멸종을 막을 수 있다”고 설명했어요. 이어 “생태계를 정확히 진단해 훼손되기 전의 모습을 재현한 뒤, 생물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관찰해야 ... ...
- [이달의 과학사] 1920년 2월 3일 ‘하임리히 요법’의 창시자 헨리 하임리히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요법’을 만든 주인공이죠.1920년 2월 3일, 미국에서 태어난 헨리 하임리히는 코넬의학대학교를 졸업하고 흉부외과 의사로 일했어요. 1972년, 그는 많은 사람이 식사 도중 질식해 숨진다는 이야기를 듣고 이를 막을 방법을 고안했어요. 하임리히는 마취한 개의 목에 튜브를 삽입하고, 여기에 질긴 고기 ... ...
- [매스미디어] 듣도보도 못한 놈들의 우주 청소가 시작된다! 승리호수학동아 l2021년 03호
- 해결하지 못한 일을 처리해 낼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또 스위스의 로잔연방공과대학교(EPFL)가 운영하는 스타트업 ‘클리어스페이스’는 2025년까지 우주 쓰레기를 회수하는 로봇을 지구 상공 궤도로 발사해 고도 664~801km 사이의 우주 공간을 청소할 계획이다. 2021 vs 2092 만능 통역기가 있다 ... ...
- 20년 만에 실마리 찾았다! 4차원 궁극의 모양수학동아 l2021년 03호
- 그중 하나가 ‘켈러 다양체’에요. 이 켈러 다양체를 연구하는 티엔 강 중국 베이징대학교 교수가 1997년 자신의 논문에서 ‘켈러 다양체를 리치 흐름에 따라 변화시키면 특이점의 차원은 켈러 다양체의 차원보다 4 이상 작을 것이다’라는 추측을 발표했죠. 이 추측은 리치 흐름을 만든 리처드 ... ...
이전1791801811821831841851861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