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등
동일
매한가지
피차일반
매일반
피장파장
d라이브러리
"
마찬가지
"(으)로 총 4,61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당신은 호모 사피엔스 100%인가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한반도는 네안데르탈인의 활동 지역이 아니었다. 하지만 다른 아시아, 유럽 지역과
마찬가지
로 현생인류가 진출해 이동한 경로에 위치해 있다.완전대체론에 따르면 현생인류는 인도와 동남아시아를 통과한 뒤 남쪽해안선을 따라 계속 동쪽으로 나아가 약 3만~1만 2000년 사이에 황해(당시는 육지였다 ... ...
구강 박테리아 다양성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않은 상태임을 시사하는데, 이는 (잇몸처럼) 많이 연구되고 익숙한 미생물 환경에서도
마찬가지
다.]배양 대신 DNA 증폭 이용데이비드 렐먼 교수는 인간과 미생물의 생태학을 연구해왔는데 주로 숙주와 병원체의 상호작용에 관심이 많았다. 인체에서 거주 미생물 때문에 탈이 많이 나는 곳이 입안이다. ... ...
수학으로 쏙쏙 밀어 넣는 포켓 당구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바깥쪽으로 칼을 움직이고, 두껍게 깎으려면 사과의 안쪽으로 칼을 움직이면 된다. 공도
마찬가지
다(그림 3).❶번 상황은 공을 가장 두껍게 친 경우고, ❺번 상황은 가장 얇게 친 경우다. 즉 ❶번에서 ❺번으로 갈수록 두께는 얇아진다.❶번 상황은 앞에서 살펴본 대로 수구는 적구가 있던 자리에 ... ...
[수학으로 생각하기] 구름 모양을 알면 높이가 보인다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정신이 없다. 원래 알던 친구도 방학 동안 몸이 훌쩍 자라서 달라 보이기도 한다. 구름도
마찬가지
다. 구름의 이름을 새롭게 아는 것만큼 끊임없이 변하는 구름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세계기상기구는 1939년, 10가지 구름 유형을 27가지로 세분한 ‘국제구름도감’을 펴냈다. 이는 구름이 변하는 ... ...
게임으로 수학 배운다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바꿀 수 있을까? 개구리가 뒤로는 움직일 수 없기 때문에 성공하기 쉽진 않을 거야.
마찬가지
로 양쪽의 개구리가 1마리나 2마리일 때 또는 양쪽의 수가 다를 때는 어떤지도 직접 해 봐. 게임의 규칙성을 찾다 보면 논리력을 키우는 것은 물론 개구리를 옮기는 횟수를 나타내는 식도 세울 수 있을 거야 ... ...
Part3. 2만4000년 전, 네안데르탈인 최후의 날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사냥한 것은 한 주먹거리밖에 안 돼 보이는 작은 새나 초식 들짐승이었다고 하죠. 저희도
마찬가지
였어요. 일부러 먼 곳에서 큰 동물을 잡기보다는 가까운 곳에서 볼 수 있는 순한 동물을 사냥했지요. 먹을 만큼만 잡으면 되니까 그걸로도 충분했어요. 우리가 사는 동굴 유적에는 식량이 된 ... ...
10억분의 1m 여행으로 꿈을 심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동전은 표면의 흠집과 얼룩 사이에 금가루가 끼어 도금이 잘 되지 않았어요. 반도체도
마찬가지
현상이 생기기 때문에 먼지가 없는 클린룸(clean room)에서 만듭니다. 내일은 실제로 클린룸을 방문해 반도체 장비를 직접 다뤄보도록 합시다.”김 교수의 얘기가 끝나자 학생들은 ‘와∼’하며 다시 ... ...
세 남자와 로봇 이야기, 과학돌 JYJ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한다. 이들도 그때의 경험이 새록새록 떠오르는 것 같았다. 유천은 평범한 남학생들과
마찬가지
로 모형항공기를 좋아했고, 레고도 많이 가지고 놀았다고 밝혔다. 준수는 “초등학교 때 우주에 관심이 많아 한때 과학자가 꿈이었다”며 고무동력기와 관련된 슬픈(?) 사연을 전했다. 그는 우주를 가기 ... ...
“비과학적인 매몰 대책이 침출수 문제 불렀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의해 분해되면서 다량의 질산성 질소 물질과 암모니아성 질소 물질을 만든다. 침출수도
마찬가지
다. 문제는 이들이 보통 미생물로는 잘 분해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미생물은 탄소와 질소 원자를 약 5 : 1 정도의 비율로 먹고 자란다. 탄소가 부족하면 질소도 분해할 수가 없다. 더구나 질소는 악취를 ... ...
신경교세포 100년 만에 입을 열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뇌혈관장벽으로 둘러쌓여 있어 다른 물질이 뇌 속으로 들어오지 못한다. 면역세포도
마찬가지
다. 따라서 뇌에서 활동하도록 분화한 면역세포가 바로 미세교세포(갈색)다.] 이성중 서울대 치의학대학원 교수팀은 미세교세포가 뉴런을 부추기기 때문에 계속해서 통증을 일으킨다는 연구 결과를 ... ...
이전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