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등
동일
매한가지
피차일반
매일반
피장파장
d라이브러리
"
마찬가지
"(으)로 총 4,61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데이터 과학, '소셜'을 분석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그 패턴은 시간과 공간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를 연구했다. 그 결과 다른 데이터 과학과
마찬가지
로 일정한 패턴이 발견됐다.패턴이 중요한 이유는 앞으로 유행할 문화가 무엇인지 예측할 수 있게 해 주기 때문이다. 불규칙해 보이는 주가 그래프 속에서 패턴을 찾으면 앞으로의 주가를 예측할 수 ... ...
[life & tech] 세척사과 정말 먹어도 되나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떨어져 나간 사람은 무엇인가를 잡아야 한다. 오존에서 떨어져나간 산소라디칼도
마찬가지
다. 양손을 둘 데가 없어 주변 물질에 달라붙는 것이다. 산소 라디칼은 미생물의 세포벽, 효소, DNA에 붙어 구조를 망가뜨려 기능을 없앤다.➋ 오존수로 세척하기 전과 세척한 후 사과 표면을 광학현미경으로 ... ...
그림자도 지우는 숨기의 달인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붙으면 나뭇잎 색이 된다. 넓은 장소뿐 아니라 나뭇가지, 풀포기처럼 작은 환경에서도
마찬가지
다. 꼭 들러붙어 주변 환경과 더욱 비슷하게 스며들 듯이 살아야 한다. 계절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여름에는 풀과 나무가 푸르러지므로 애벌레도 푸르러진다. 나뭇가지나 잎으로 ... ...
서류와 캠프 두 마리 토끼잡기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확대 그렇다면 입시 전형에는 어떤 변화가 있을까? 작년부터 외고, 자사고와
마찬가지
로 과학고 역시 선행 학습지식을 평가하는 방법을 배제하고 학생의 잠재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평가하는 형태로 변화했다. 구체적으로 자기주도학습전형(정원의 30% 선발)과 과학창의성전형(70% 선발)의 ... ...
한국 우주 전파 관측망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본부장은 “병원에서 엑스레이와 MRI를 따로따로 찍다가 한꺼번에 찍을 수 있게 된 것과
마찬가지
”라며 “천체를 더욱 자세히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활동성 은하핵이 있는 M87 은하를 허블 망원경으로 관측한 모습. KVN은 이와 같은 활동성 은하핵을 관측해 성질을 알아낸다.]KVN은 마치 거대한 ... ...
왜 0으로는 나눌 수 없나?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3이 되나요? 이런 수는 없어요. 물론 3이 아니라 영이 아닌 어떤 수에 대해서 생각해도
마찬가지
예요.a(0이 아닌 수)를 0으로 나눈 값을 c라고 하면 0×c=a가 돼야 하는데, 0에는 어떤 수를 곱해도 항상 0이 되니까 식 0×c=a를 만족시키는 c가 없어요. 그래서 0으로 나눌 수가 없답니다. 간단히 말하면 0으로 ... ...
아름다움과 슬픔의 공존 - 서해5도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와중에도 그 아래 갯벌에서는 개의치 않는다는 듯 생명을 꽃피우고 있는 셈이다.사람도
마찬가지
다. 언제 북한군과 교전이 벌어질지 모르지만 주민들은 농사를 짓고 고기를 낚으며 살아간다. 신 작가는 백령도에서 이른 새벽에 출항하는 한 어민의 꽃게잡이 배를 함께 타고 나갔을 때의 느낌을 ... ...
길고양이의 겨울나기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말한다. 길고양이가 쓰레기봉투를 찢거나 시끄러운 소리를 내는 건 전 세계가 다
마찬가지
다. 이런 이유로 길고양이를 소탕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나라는 우리나라밖에 없다.일본이나 스페인, 그리스처럼 고양이의 천국에서는 고양이가 사람을 봐도 좀처럼 도망치지 않는다. 사람이 고양이에게 ... ...
비상! 슈퍼박테리아 한국 상륙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건강한 사람이라면 감염이 됐다고 해서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 다른 병균과
마찬가지
로 슈퍼박테리아도 건강한 사람이라면 수년 째 보균하고 있어도 아무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하지만 면역력이 떨어진 환자들이라면 얘기가 달라진다. 병원에서 오랫동안 치료를 받아온 환자거나 ... ...
우주엘리베이터의 상상과 현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철은 3만 6000km는 커녕 몇 km도 버티지 못하고 끊어지고 만다. 좀 더 가볍고 강한 금속도
마찬가지
다. 현재 가장 유력한 후보는 탄소나노튜브다. 탄소나노튜브는 인장력에 매우 강하기 때문에 이론적으로는 우주엘리베이터를 만들기에 충분하다. 과학동아 2010년 12월호 ‘라이프 스타일 혁명 10대 기술 ... ...
이전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