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향"(으)로 총 6,206건 검색되었습니다.
- [재미] 에피소드수학_키가 쑥쑥! 자라는 비법수학동아 l2016년 02호
- 척추측만증), 발이 안쪽으로 꺾여 안짱다리가 될 수 있거든요. 그래서 연구팀은 일정한 방향에서 뼈에 힘을 가할 때 뼈가 어떤 모양으로 자랄지 예측하기 위해 이 수학모형을 만들었답니다.그런데 이 수학모형을 이용한 결과, 키가 크는 데 아주 중요한 요인을 하나 더 밝혀낼 수 있었어요. 연구팀은 ... ...
- [재미]동아리 탐방-인천 가좌고 ‘PAPER’ 딱딱한 통념을 접다수학동아 l2016년 01호
- 가로 길이인 16πt, 12πt, 11πt, 15πt를 모두 더했다. 결과는 54πt다.그런데 갤리번의 양쪽 방향 접기 공식에 따르면 종이를 다섯 번째 접을 때 필요한 종이의 가로 길이는 n이 5일 때의 값인 64πt에서 n이 3일 때의 값인 8πt를 뺀 56πt다. 2πt만큼의 차이를 알게 된 학생들은 종이 길이의 규칙을 찾아 갤리번의 ... ...
- [Knowledge]전투면역 세포 백혈구의 재발견, 뉴트로필 리턴즈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이렇게 숫자가 많다보니 저희들이 어떻게 신호를 만들어내느냐에 따라 면역의 방향이 결정되는 셈이지요. 사회자 역시 머릿수로 밀어붙이는 전형적인 세포이기주의입니다! 뉴트로필 저희는 T 세포가 현장에 찾아올 수 있는 길라잡이 역할도 합니다. 이름하여 ‘헨젤과 그레텔 전략’입니다. ... ...
- [Career] 공간에 이야기를 입히는 학문, 건축학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인공적인 환경을 조성해 삶의 질을 높이는 역할을 하며, 또 그것이 공대가 추구하는 방향이라고 생각하는데요. 이런 관점에서 건축학과가 공대에 속해있다는 것은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조항만 그렇습니다. 저는 건축을 미학과 공학이 결합된 학문이라고 봐요. 건축물은 그 시대의 최고 첨단 ... ...
- [지식]2억 년 뒤 세계지도는? 대륙 퍼즐 맞추기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암석에 들어 있다. 세계 곳곳에 널려 있는 암석의 자기 정보를 분석하면 판의 이동속도와 방향을 알 수 있다.판이 이동하는 속도는 각각 조금씩 다르다. 나스카판은 머리카락이 자라는 속도(1년에 약 160mm씩) 정도로 빠르지만, 중앙대서양해령은 손톱이 자라는 속도(1년에 약 40mm씩)만큼 느리다.미래 ... ...
- [소프트웨어]웰컴 투 게임카페수학동아 l2016년 01호
- y) 좌표에 놓여 있다고 생각하고, 초기속도도 앞으로 나아가는 방향과 수직으로 올라가는 방향으로 나눠 υ0x와 υ0y로 정했어요. 초기속도는 삼각함수로 설명했어요. υ0x= υ0 cosθ, υ0y= υ0sinθ처럼 말이지요(오른쪽 그림). 그리고 시간(t)에 따라 달라지는 새의 위치는 다음과 같아요. 이렇게 구한 ... ...
- Part 1.표준모형이 지배하는 일상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물질을 통과하는 성질이 강한데, 우라늄처럼 밀도가 높은 물질을 만나면 흡수되거나 진행방향이 바뀐다.일본 물리학자들은 원자로 내부를 지나온 뮤온을 측정해 X선처럼 원자로 내부를 들여다봤다. 이를 바탕으로 일본 나고야대 모리시마 구니히로 교수는 후쿠시마 제1원전 2호기 원자로 노심의 ... ...
- [가상 인터뷰]킬리피시가 빨리 죽는 건 유전자 때문?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발표했어요.연구팀은 먼저 킬리피시가 진화하는 과정에서 종족을 이어가는 데 유리한 방향으로 변화시킨 유전자를 알아냈어요. 이 결과를 유난히 수명이 긴 브랜트박쥐, 북극고래, 벌거숭이두더지쥐의 유전자에 대한 기존 연구결과와 비교했지요. 그 결과 기존 연구에서 수명과 관련 있다고 보이는 ... ...
- 꼭꼭 숨어 있는 사인곡선 찾기!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시각이 어떻게 변하는지 그래프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이 나타납니다.마치 서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는 것 같네요. 하지만 그래프가 한쪽으로 치우쳐 있어 우리가 알고 있는 사인 곡선과는 모양이 다릅니다. 그런데 각 일몰 시각에서 일출 시각을 빼서 낮의 길이를 구해보면 신기한 일이 ... ...
- [지식]왜 내게 이런 일이!- 스마트폰 잔혹사-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수 있다.계산 결과, 이렇게 회전하면서 떨어지는 스마트폰은 한 바퀴 이상을 돌아 뒷면 방향으로 떨어지기가 어렵다. 사람이 스마트폰을 들고 있는 높이는 사람 키의 절반 정도로 그리 높지 않고, 회전하는 속도가 충분히 빠르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스마트폰의 화면이 바닥에 부딪히며 떨어질 ... ...
이전1701711721731741751761771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