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향"(으)로 총 6,20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1. 뇌 조종의 신기원을 열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기술을 도입하기도 했다. 우선 광케이블을 단 쥐를 조그만 공 위에 고정시키고, 움직이는 방향에 맞춰 눈앞의 화면이 바뀌는 방식이다. 쥐는 공 위에 선 채로 미로를 찾을 수 있지만 새로운 실험을 위해 매번 프로그램을 다시 짜야했다.최근에는 아예 광케이블을 없앤 ‘무선마우스’가 등장했다. ... ...
- [Knowledge]파충류의 속사정 ➒ 익룡 中 ‘중생대 뷔페’가 만든 기기묘묘한 머리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사용했을 거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축소모형을 이용해 실험해 본 결과 익룡의 벼슬로는 방향키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없다는 사실이 밝혀졌다.최근에는 성선택 이론이 등장했다. 머리에 거대한 벼슬을 가지고 있는 익룡은 대부분 후기 쥐라기 이후에 등장해 진화한 종류다. 땅에 내려와 다양한 먹이를 ... ...
- Part3.‘표준모형 너머’를 꿈꾸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그 자체가 특이한 존재다. 중성미자는 스핀(질량, 전하량처럼 입자가 가진 고유한 특성) 방향이 늘 한쪽으로만 향하는 이상한 성질을 지니고 있다. 표준모형은 그 현상을 설명할 뿐 왜 그래야만 하는지 이유는 모른다. 심지어 중성미자가 입자와 반입자로 구분이 되는 것인지(디랙 중성미자), 아니면 ... ...
- [Tech & Fun]소녀탐정 ㅊ씨의 S(cience)-File ➊명탐정 코난의 제트 코스터 살인사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부산대 물리교육과 교수는 “이 트릭을 성공하기 위해선 범인이 롤러코스터의 가속도 방향을 초 단위로 일일이 확인해 계산해야 한다”며 “목표물에 정확히 줄을 던지는 건 현실적으로 불가능에 가깝다”고 말했습니다.그렇다면 진짜 범인은 누구일까요? 탄성 있는 줄과 갈고리, 그리고 ... ...
- 그땐 그랬지! 1988 VS 2016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센서와 가속도계, 나침반이 게임기를 착용한 사람의 위치를 정밀하게 파악해 움직이는 방향이나 시선에 따라 렌즈에 보이는 화면을 맞춰 보여 준답니다.어때? 28년이라는 시간 동안 이렇게 큰 변화가 있었다니 참 신기하지? 이번에 본 기사 내용을 엄마, 아빠와 함께 이야기 나눠 보자. 엄마 아빠가 ... ...
- 부르르르~, 자석으로 켜는 진동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가장 중요한 것도 다리랍니다. 다리의 모양과 길이, 각도에 따라 로봇의 속도와 움직이는 방향이 완전히 달라지지요.진동 로봇은 다리가 짧은 쪽으로 움직이게 돼요. 다리가 짧은 쪽으로 무게중심이 기울어지기 때문이랍니다. 진동 로봇을 앞으로 움직이게 하려면 앞다리를 짧게, 뒤로 움직이게 ... ...
- [News & Issue]남자가 길 잘 찾는 이유는 ‘해마’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가게가 나오면 우회전’하는 방식으로 길을 찾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해마는 기본방향 인지와 관련된 뇌부위다. 핀츠카 연구원은 “과거 남자들이 주로 사냥을 하고 여자들은 채집을 했던 것이 뇌에 다른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행동학적뇌연구’ 201 ... ...
- [News & Issue]3.35m 점프하는 메뚜기 로봇 개발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특수한 잠금 장치에 다리가 잠시 고정되도록 설계했다. 이런 상태에서 모터를 반대 방향으로 돌리면 와이어가 풀리면서 힘이 발생한다. 이 힘을 관절과 연결된 스프링에 전달해 튀어 오르는 것이다. 자이트세이브 교수는 “이 로봇을 수색구조, 정찰, 환경 모니터링 등 다양한 임무에 활용할 수 ... ...
- [Knowledge] 마치 누군가 설계한 듯한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복잡한 적응을 만든다. 달리 말하면, 자연 선택은 개체의 번식 성공도(=적합도)를 늘리는 방향으로 작동한다.’ 왜 이 결론을 다음 달까지 기억해야 하냐면, 이 명제는 사회적 행동의 진화에 대해서는 완전히 틀린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아니, 뭐라고? 전중환_evopsy@gmail.com서울대 생물학과에서 ... ...
- Part2.커피잔 속에서 우주의 원리를 보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지금 돌이켜보면, 자연계의 힘들 중 특정한 두 개만을 통합할 목적이었으니 애초에 방향이 잘못됐다고도 볼 수 있다. 하지만 아직 완전한 이론에 도달하지 못한 지금 결론을 내리기엔 성급하다는 생각도 든다.물리학의 역사를 큰 눈으로 바라보면 통합과 일반화의 역사로 볼 수도 있다. 이전에는 ... ...
이전171172173174175176177178179 다음